$\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종자형성능과 기능성 성분이 높은 대추 유전자원 '일본'의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bon' (Ziziphus jujuba) with Higher Seed Produ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4, 2020년, pp.293 - 302  

오하경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오세원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한현대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박희순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이경희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신현만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 ,  김대일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대추 유전자원 중 형태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일본'과 주요 대추 유전자원의 형태형질을 조사하고, 대추 육종 소재로서 '일본'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본'은 주요 대추 유전자원과 비교하여 엽과 과실의 크기가 뚜렷하게 작고 당도가 낮았다. 하지만 과실에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능력 또한 가장 높았다. 또한 '일본'은 종자형성능이 가장 높았다. 대추 유전자원들의 형태형질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리적 기원에 따라 유전자원들이 분류되었다. 특히 '일본'은 한국 및 중국 유전자원들과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종자형성능이 우수하고 기능성 성분이 높은 '일본'은 추후 대추 유전연구 및 교배육종을 통한 품종 육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iziphus jujuba accessions, including 'Ilbon', were investigat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Ilbon' as a breeding material. 'Ilbon' has smaller leaves and fruits and a lower total soluble solids content compared to the major Z. jujuba accessions. However, total pol...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을 포함한 주요 대추 유전자원의 형태 형질을 조사하고 비교하여 대추 유전자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실생 획득이 어려운 대추 교배육종의 소재로서 ‘일본’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대추 유전자원 중 형태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일본’과 주요 대추 유전자원의 형태형질을 조사하고, 대추 육종 소재로서 ‘일본’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대추 유전자원 중 ‘일본’의 형태적 특성이 다른 유전자원들과 비교하여 육안상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충실한 종자가 발달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추후 유전 연구를 위한 육종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주요 대추 유전자원들과 형태형질을 비교하고 유연관계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는 어디에 속하는가?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에 속하는 대추(Ziziphus jujuba)는 중국이 원산지로 중국 및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유럽,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30여개국에서 재배되고 있다(Liu, 2003). 대추는 중국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과일로서 연간 43백만톤이 생산되고 있다(Huang et al.
대추의 당류는 어떠한가? 핵과류인 대추의 과육에는 당질과 비타민C, 아미노산, 폴리페놀이 풍부하다. 당류는 사탕무 보다 2배, 비타민C는 키위에 비해 약 4배 높다(Li et al., 2007; Liu et al.
일본은 대추 유전자원과 비교하여 엽과 과실의 크기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대추 유전자원 중 형태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일본'과 주요 대추 유전자원의 형태형질을 조사하고, 대추 육종 소재로서 '일본'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본'은 주요 대추 유전자원과 비교하여 엽과 과실의 크기가 뚜렷하게 작고 당도가 낮았다. 하지만 과실에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능력 또한 가장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ckerman, W.C. 1961. Flowering, pollination, self-sterility and seed development of Chinese jujube. Proc. J. Am. Soc. Hortic. Sci. 77:265-269. 

  2. Asatryan, A. and N. Tel-Zur. 2013. Pollen tube growth and self-incompatibility in three Ziziphus species (Rhamnaceae). Flora Morphol. Distrib. Funct. Ecol. Plants 208:390-399. 

  3. Assefa, A.D., Y.J. Jeong, J. Rhee, H.S. Lee, O.S. Hur, J.J. Noh, R.Y. Ro, A.J. Hwang, J.S. Sung and J.E. Lee. 2020. Using phenolic compounds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as distinguishing factors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perilla genetic resources. Korean J. Plant Res. 33:40-49.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5. Dewanto, V., X. Wu, K.K. Adom and R.H. Liu.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3010-3014. 

  6. Grygorieva, O., V. Abrahamova, M. Karnatovska, R. Bleha and J. Brindza. 2014.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ruits, drupes, drupes and seeds in genotypes of Ziziphus jujuba Mill. Potravinarstvo Slovak J. Food Sci. 8:306-314. 

  7. Han, B.H. and M.H. Park. 1987. Sedative activity and its active components of Zizyphi fructus. Arch. Pharm. Res. 10:208-211. 

  8. Huang, J., C. Zhang, X. Zhao, Z. Fei, K.K. Wan, Z. Zhang, X. Pang, X. Yin, Y. Bai, X. Sun, L. Gao, R. Li, J. Zhang and X. Li. 2016. The jujube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genome evolution and the domestication of sweetness/acidity taste in fruit trees. PLoS Genet. 12:e1006433. doi:10.1371/journal.pgen.1006433. 

  9. Jang, Y.S., M.H. Lee and S.I. Hwang. 200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Zizyphus cultivars in Korea by multivariative analysis. Korean J. Plant Res. 19:105-111 (in Korean). 

  10. Kim, S.H., M.S. Kim, J. Han, H. Kim and H.K. Moon. 2013.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25 selected clones of Aralia elata Seem. Korean J. Plant Res. 26:36-43 (in Korean). 

  11. Kim, S.J., S.M. Jung, Y.Y. Hur, J.C. Nam, S.E. Kim, K.H. Cho, J.G. Park and S.J. Park. 2017. Analysis of relationship based on growth period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blueberry (Vaccinium spp.). Korean J. Plant Res. 30:101-109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KFS). 2016. Production of Forest Products. Daejeon, Korea. pp. 21. 

  13. Lee, J.W., C.W. Kim, H.K. Oh, K.H. Lee, S.K. Lee, S.H. Kim and E.Y. Hong. 2017. Effect of root pruning on growth and fruit setting in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Korean J. Med. Crop Sci. 25:160-164 (in Korean). 

  14. Li, J.W., L.P. Fan, S.D. Ding and X.L. Ding. 2007. Nutritional composition of five cultivars of Chinese jujube. Food Chem. 103:454-460. 

  15. Li, L., J.Y. Peng and R.X. Bai. 2010. Analysis of the genetic relationships in Chinese Ziziphus with SRAP markers. Agric. Sci. China 9:1278-1284. 

  16. Liu, M.J. 2003. Genetic diversity of Chinese jujube (Ziziphus jujuba Mill.). Acta Hortic. 623:351-355. 

  17. Liu, J., H. Liu, L. Ma, S. Wang and J. Gao. 2014a. A Chinese jujube (Ziziphus jujuba Mill.) fruit-expressed sequence tag (EST) library: Annotation and EST-SSR characterization. Sci. Hortic. 165:99-105. 

  18. Liu, M.J., J. Zhao, Q.L. Cai, G.C. Liu, J.R. Wang, Z.H. Zhao, P. Liu, L. Dai, G. Yan, W.J. Wang, X.S. Li, Y. Chen, Y.D. Sun, Z.G. Liu, M.J. Lin, J. Xiao, Y.Y. Chen, X.F. Li, B. Wu, Y. Ma, J.B. Jian, W. Yang, Z. Yuan, X.C. Sun, Y.L. Wei, L.L. Yu, C. Zhang, S.G. Liao, R.J. He, X.M. Guang, Z. Wang, Y.Y. Zhang and L.H. Luo. 2014b. The complex jujube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fruit tree biology. Nat. Commun. 5:5315. doi: 10.1038/ncomms6315. 

  19. Ma, Q.H., G.X. Wang and L.S. Liang. 2011.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SSR markers in Chinese jujube (Ziziphus jujuba Mill.) and its related species. Sci. Hortic. 129:597-602. 

  20. Na, H.S., K.S. Kim and M.Y. Lee. 1996. Effect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the hepatotoxicity in CCl4-treated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839-845 (in Korean). 

  21. Nam, J.I. 2016. Development of genetic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jujube (Ziziphus jujuba Mill.) cultivars. Department of Horticulture,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28-38 (in Korean). 

  22. National Forest Seed and Variety Center (NFSV). 2009. Test guideline for common jujube. Daejeon, Korea. pp. 1-13 (in Korean). 

  23. Oh, H.K., J.W. Lee, C.W. Kim, K.H. Lee, S.K. Lee, S.H. Kim, H.J. Yoon and K.Y. Lee. 2017. Effect of insect pollinators for Chinese jujube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in rain shelter house. Korean J. Appl. Entomol. 56:365-370 (in Korean). 

  24. Park, Y. and J.H. Kim. 2016.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vitamin C and sugar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of five different jujube cultivars. Korean J. Plant Res. 29:539-546 (in Korean).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Manual for agricultural investigation. RDA, Suwon, Korea. pp. 619-621 (in Korean). 

  26. Tian, H.Q. and D.Z. Ma. 1987. The embryological observation on a parthenocarpy's Ziziphus jujuba Mill. Acta Bot. Sin. 29:29-33. 

  27. Wang, S., Y. Liu, L. Ma, H. Liu, Y. Tang, L. Wu, Z. Wang, Y. Li, R. Wu and X. Pang. 201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s and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Chinese jujube (Ziziphus jujuba Mill.). PLoS ONE. 9:e99842. doi:10.1371/journal.pone.0099842. 

  28. Zhang, Z., J. Gao, D. Kong, A. Wang, S. Tang, Y. Li and X. Pang. 2015. Assessing genetic diversity in Ziziphus jujuba 'Jinsixiaozao' using morphological and microsatellite (SSR) markers. Biochem. Syst. Ecol. 61:196-2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