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Case Report of 20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Patients due to Polycystic Ovarian Syndrome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9 no.3, 2016년, pp.47 - 56  

이지현 (인애한의원) ,  정소영 (인애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evaluated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 in case of irregular menstruation (amenorrhea, oligomenorrhea) due to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Methods: 20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Patients with PCOS were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at least 3 months. We analy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경구 피임약을 복용 할 경우 자궁내막의 과도한 증식으로 인한 자궁내막암에 대한 예방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근본적인 배란부전을 해결하는 효과는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는 다낭성난소증후군에 있어 배란 회복 및 월경주기 개선에 대한 한방 치료의 효과를 연구해보고자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희발월경, 무월경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 대해 한방 치료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T. Current View of Polycystic Ovarian Syndrome.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2; 31:38-44. 

  2. Azziz R, et al. The prevalence and features of the polycystic ovarian syndrome in an unselected populatio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4;89:2745-9. 

  3. Sung YA. Polycystic ovary syndrome of Korean women: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tic criteria. Korean endocrine society. 2011;26(3):203-7. 

  4.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Ha. 1 st edition. Seoul: Euiseongdang. 2012:225-33. 

  5.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4th edition. Seoul:Korea medical book. 2008:362-71. 

  6. Kim DI, et al. Literature Review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7;10(1):73-91. 

  7. Kwon SR,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on Samŭmgyo (SP-6)⋅ Chagung(CA-111) on polycystic ovary in ra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3;16(2):76-86. 

  8. Yeo EJ, et al. Effects of Pinelliae Rhizoma(PR) on Ovarian Tissu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Ra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2;25(2):66-77. 

  9. Yang DS, et al. Effects of Cyperi Rhizom a (CR) on the Polycystic Ovaries Induced by Estradiol Valerate in Ra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23(4):35-46. 

  10. Ryu KJ, Cho SH. Effects of Angelicae Gigantis Radix on Gene Expression of Ovarian Tissu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Ra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1;24(3):28-47. 

  11. Gu HJ, Cho SH. Effects of Gleditsiae Spina(GS) on the Polycystic Ovary Induced by Estradiol Valerate in Ra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23(2):71-84. 

  12. Yang JM, et al. Effects of Jokyeongjongok-Tang on the Maturation of Follicles and NGF Expression in Rats with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e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1;24(2):52-67. 

  13. Kim JD, et al. Effects of Ojeok-san on the Maturation of Follicles and NGF Expression in Rats with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e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1;24(1):27-41. 

  14. Yun MH, et al. Effects of Gaeullijin-Tang on the Progression of the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es in Ra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23(2):1-19. 

  15. Nam EJ, et al. Effects of Jeongkyeong-Tang on the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y in Ra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20(1):99-113. 

  16. Yang SJ, et al. Effects of ChangbuDodam Tang on the Polycystic Ovaries Induced by Estradiol Valerate in Ra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2;15(2):1-11. 

  17. Yoon SY, Kang MJ. Clinical Study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Polycystic Ovarian Diseas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0;13(2):437-51. 

  18. Oh TG, et al. Clinical Study for the One Case that Diagnosed Polycystic Ovarian Diseas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8;21(2):284-91. 

  19. Kim DH. A Case Study on Obese Patient with Oligomenorrhea and Polycystic Ovary.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2008;8(1):101-8. 

  20. Kim JY, Jung SY. Clinical Study for the One Case that Diagnosed Polycystic Ovarian Diseas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4;27(3):15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