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가 지각하는 불확실성, 우울, 삶의 질
Uncertain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7 no.2, 2020년, pp.189 - 198  

강유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유혜진 (서울아산병원) ,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evalence rate of stroke is increasing due to the rise in the aging population. The stroke sequela, including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remain even though patients are alive, and these circumstances are causing major problems, both socially and economically. This correlation s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울,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에 따라 우울이나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를 마련하는데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어떤 뇌혈관 질환인가? 뇌졸중은 신경학적 결손을 수반하는 뇌혈관질환으로 이로 인한 사망률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중 단일질환으로는 2위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8). 최근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식습관 문제,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40대 성인에게도 뇌졸중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2050년에는 현재에 비해 뇌졸중 환자의 수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Mozaffarian et al.
배우자, 자녀와 함께 살거나 혼자 사는 대상자의 불확실성이 자녀와 사는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우자, 자녀와 함께 살거나 혼자 사는 대상자의 불확실성이 자녀와 사는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가족의 안정된 지지를 받는 뇌졸중 환자들의 신체적 기능 회복 정도와 극복력이 가족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Choi et al., 2016; Jeon et al., 2013), 단기간에 호전되지 않는 자신을 돌보면서 가족이 경험하는 경제적 압박이나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 대한 환자들의 부담(Ch'ng et al., 2008; Ni et al., 2018)이 반영되어 나타난 복합적인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은 같은 질병으로 연결된 지지 그룹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족이 대신할 수 없는 부분을 채우면서 삶의 만족을 느끼고 있어(Ch'ng et al.
40대 성인에게서 뇌졸중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뇌졸중은 신경학적 결손을 수반하는 뇌혈관질환으로 이로 인한 사망률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중 단일질환으로는 2위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8). 최근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식습관 문제,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40대 성인에게도 뇌졸중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2050년에는 현재에 비해 뇌졸중 환자의 수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Mozaffarian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rschmann, K. N., & Hayward, K. S. (2020).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is greatest early after stroke but does continue to improve during the chronic phase: A two-year, observational study. Physiotherapy, 107, 216-223. https://doi.org/10.1016/j.physio.2019.10.001 

  2. Chen, R., Ovbiagele, B., & Feng, W. (2016). Diabetes and stroke: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pharmaceuticals and outcomes. The American Journal of the Medical Sciences, 351(4), 380-386. https://doi.org/10.1016/j.amjms.2016.01.011 

  3. Ch'ng, A. M., French, D., & McLean, N. (2008). Coping with the challenges of recovery from stroke: Long term perspectives of stroke support group member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8), 1136-1146. https://doi.org/10.1177/1359105308095967 

  4. Cho, O. H. (2000). Uncertainty, anxiety and coping with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4), 1006-1017. 

  5. Cho, S. H., & Yun, K. S. (2016). Influence of uncertainty, physiologic risk factors, self-efficacy on self-management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2), 114-124. https://doi.org/10.5953/JMJH.2016.23.2.114 

  6. Choi, E. S., Lee, E. N., & Cho, J. L.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1), 19-27. https://doi.org/10.5953/JMJH.2016.23.1.19 

  7. Chon, K. K., & Rhee, M. K.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8. Haghgoo, H. A., Pazuki, E. S., Hosseini, A. S., & Rassafiani, M. (2013).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328(1-2), 87-91. https://doi.org/10.1016/j.jns.2013.02.027 

  9. Han, Y. H., Lim, A. J., Kim, S. R., Kim, J. Y., & Kam, K. Y. (2011). The effect of changes in post-stroke depression on cognition and upper extremity recove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2), 39-51. 

  10. Hannah, D., Lindholm, B., & Maisch, L. (2014). Certain uncertainty: Life after stroke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Circulation: Cardiovascular Quality and Outcomes, 7(6), 968-969. https://doi.org/10.1161/CIRCOUTCOMES.114.001315 

  11. Jeon, Y. H., Lee, J. S., Kim, S. K., & Jeon, B. J. (2013). The effect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social networks of patients after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2), 49-60. 

  12. Jun, H. J., Kim, K. J., Chun, I. A., & Moon, O. K.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ke patients'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ir quality of life: The 2010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3), 781-784. https://doi.org/10.1589/jpts.27.781 

  13. Kim, C. G., & Park, H. A.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condary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47-60. https://doi.org/10.4040/jkan.2011.41.1.47 

  14. Kim, K. S., & Han, S. S. (2005). Affect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 caring for the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5(2), 69-77. 

  15. Kim, K., Kim, Y. M., & Kim, E. K. (2014).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in a community setting and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6(3), 417-419. https://doi.org/10.1589/jpts.26.417 

  16. Kim, M. Y., & Kim, K. S. (2005). Quality of life and the related factors in cerebrovascular surgery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8(1), 5-12. 

  17. Kim, Y. J., & Choi, H. J. (2012). The influe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on general well-being among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5(1), 20-29. https://doi.org/10.7587/kjrehn.2012.20 

  18. Kumar, S., Selim, M. H., & Caplan, L. R. (2010). Medical complications after stroke. The Lancet Neurology, 9(1), 105-118. https://doi.org/10.1016/s1474-4422(09)70266-2 

  19. Lee, J. M., Kim, H. M., & Kim, J. H. (2015). The effects of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5(1), 1-9. 

  20. Lee, K. S., & Kang, G. W. (201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 aged women in an a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6(2), 1171-1179. https://doi.org/10.15205/kschs.2018.12.31.1171 

  21. McCarthy, M. J., Lyons, K. S., Powers, L. E., & Bauer, E. A. (2013). Gender, health ambiguity, and depression among survivors of first stroke: A pilot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4(1), 193-195. https://doi.org/10.1016/j.apmr.2012.07.019 

  22. Mishel, M. H. (1988). Uncertainty in illness.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4), 225-232. 

  23. Mozaffarian, D., Benjamin, E. J., Go, A. S., Arnett, D. K., Blaha, M. J., Cushman, M., et al. (2016).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2016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33(4), e38-e360. 

  24. Ni, C., Peng, J., Wei, Y., Hua, Y., Ren, X., Su, X., et al. (2018). Uncertainty of acute stroke patient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udy.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50(4), 238-243. https://doi.org/10.1097/JNN.0000000000000373 

  25. Park, E. Y., Shin, I. S., & Kim, J. H. (2012).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n patients with a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537-548. https://doi.org/10.4040/jkan.2012.42.4.537 

  26. Piber, D., Hinkelmann, K., Gold, S. M., Heesen, C., Spitzer, C., Endres, M., et al. (2012). Depression and neurological diseases. Nervenarzt, 83(11), 1423-1433. 

  27. Statistics Korea. (2018, September 19).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25, 2020,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 

  28. Suh, M., & Choi-Kwon, S. (20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4), 533-541. 

  29. White, C. L., Barrientos, R., & Dunn, K. (2014). Dimensions of uncertainty after stroke: perspectives of the stroke survivor and family caregiver.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46(4), 233-240. https://doi.org/10.1097/JNN.0000000000000066 

  30. Williams, L. S., Weinberger, M., Harris, L. E., Clark, D. O., & Biller, J. (1999).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Stroke, 30(7), 1362-1369. https://doi.org/10.1161/01.str.30.7.13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