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중학생 간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welfare project on the school adaptation and mediative effect of social capital :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485 - 492  

최경일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종익 (호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윤영애 (강원도교육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중학생들의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이를 매개하는지와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의 경로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교육복지 사업에 참여한 강원도의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수집된 153명의 초등학생과 124명의 중학생 자료를 구조방정식의 다집단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은 사회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인식하였다. 중학생은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학교적응에, 사회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두 집단 모두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중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diativ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the effective path of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welfare project on school adaptation, and to find out the path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 surveyed 153 elementary and 124 middle scho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교육복지 사업과 아동의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 그리고 사회적 자본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 실증적인 차원에서 다룬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복지 사업에 참여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이러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교육복지 사업의 참여 경험을 기준으로 실시한 선행연구들[23,24]과 달리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상의 두가지에 대해서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에 경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르는 연구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9]는 점을 감안하여,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있는 저소득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을 다루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 51점으로 조사대상 22개국 가운데 20위를 기록하였다[1]. 아동의 주된 과업이 학업이고 학교에서의 생활이 주된 일상이므로 이들의 행복감에는 학교 요인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2,3]. 같은 조사[1]에서 우리나라 아동들은 성적에 따른 차별을 다른 요인으로 인한 차별보다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서 낮은 행복감은 물론이고 학교에 대한 흥미나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2019년에 OECD가 발표한 아동의 행복지수에서 우리나라는 몇 위를 하였는가? 2019년에 OECD가 발표한 아동의 행복지수에서 우리나라는 88.51점으로 조사대상 22개국 가운데 20위를 기록하였다[1]. 아동의 주된 과업이 학업이고 학교에서의 생활이 주된 일상이므로 이들의 행복감에는 학교 요인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2,3].
학교는 아동에게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학교는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이 이루어지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며, 성인으로서 삶을 준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아동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그동안 또래관계나 교사와의 관계[4], 학업성취나 학습태도[5], 학교의 물리적 환경[6], 가족관계[7,8] 등과 같이 아동의 삶과 학교생활의 거의전 영역에 걸친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서 실천적, 정책적 제언들이 도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93814.html. Hankyoreh 2019.5.14 

  2. T. Amrit, C. Jonathan, H. Ann & G. Shawn. (2012). School Climate Research Summary, School Climate Brief, 3, 1-21. 

  3. J. H. Moon & J. S. Kim. (2018). The Effect of School Adaptation and Parents-Child Activity on Children' Happi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 The Mediating Effect Help of Center.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9(1), 373-386. DOI:10.22143/HSS21.9.1.30 

  4. L. G. Bowen, A. R. Rose, D. J. Powers & J. E. Glennie. (2008). The Joint Effects of Neighborhoods, Schools, Peers, and Families on Changes in the School Suc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Relations, 57(4), 504-516. 

  5. H. I. Cho.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7(4), 207-229. 

  6. Y. H. Hwang, C. B. Kim & Y. J. Jeong. (2017). Stories of the First Grade Adaptation of Reggio-inspired Kindergarten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2(3), 325-355. DOI: 10.20437/KOAECE22-3-14 

  7. M. G. Marrison, S. Anthony, H. M. Storino, F. J. Cheng, J. M. Furlong & L. R. Morrison. (2001). School Expulsion as a Process and an Event: Before and After Effects on Children at Risk for School Discipline. New Directions for Youth Development. 92, 45-71. DOI: 10.1002/yd.23320019205 

  8. S. M. Hyun. (2012). The Relation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Pyeongtaek University, Pyeongtaek. 

  9. J. Y. LEE & I. Chung. (2016). Predictor Variabl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Problem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54, 173-197. 

  10. Y. K. Kim. (2019).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4), 1-9. DOI: 10.17703/JCCT.2019.5.4.1 

  11. Y. R. Cho & H. A, Kang. (2011). The Effects of Child Poverty on the School Adjustment Through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Within the Family.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5(3), 369-390. 

  12. H. K. Lee & B. R. Ryu. (2002). A study o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rojec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3. H. Y. Lee, M.. H. Park, S. W. Kwon & D. M. Seo. (2014).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roject of Gyeonggi Province. Suwon,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14. H. Y. Lee & T. J. Kang. (2004). An Analysis of Educational Gap betwee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Schools and Other Schools.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5. H. Y. Lee, B. R. Ryu, J. W. Kim & M. R. Jang. (2005).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Support Project.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6. P. Bourdieu.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17. S. J. Coleman. (1990). Foundation of Social Theor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8. B. R. Ryu, S. H. Lee (2014). An Analysis of the English 'Education Action Zone(EAZ)' Policy an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4(2), 117-144. 

  19. K. A. Kim. (2009). The Elements and the Principles Essential to Invigorating Regional Networks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grams for Children and Teenagers. Studies on Korean Youth. 20(30), 85-114. 

  20. E. J. Yeom. (2010). The Effect of Cultural Capital of Parents on the Style of Consumption of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1. E. K. Bae & I. S. Choi. (2016).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in a Community Child Care Center. Studies on Korean Youth, 27(1), 33-63. DOI: 10.14816/sky.2016.27.1.33 

  22. J. M. Kim & H. J. Shin. (201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Mental Health and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2), 285-296. DOI: 10.21742/AJMAHS.2018.12.67 

  23. S. H. Lee & K. S. Gu.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chool Violence Attitudes on the Resilience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 Participants. Korean Journal of 21 st Century Social Welfare, 14(1), 89-115. 

  24. N. R. Lee & N. W. Koo. (2017). An Exploration of the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rends of Low-incom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3), 91-110. DOI: 10.22251/jlcci.2017.17.13.91 

  25. L. J. Meece. (2002).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for Educators(2nd ed.). New York, McGraw-Hill. 

  26. H. R. Moos & J. C. Holahan. (2003). Dispositional and Contextual Perspectives on Coping: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9(12), 1387-1403. DOI: 10.1002/jclp.10229 

  27. H. J. Han. (2019). The present condition statistics on dropout adolescents. Educational Policy Forum. 308.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Jincheon. 

  28. C. M. Kim, H. J. Lee, J. Y. Lee & K. H. Lee. (2017). The Effects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on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1(2), 239-264. DOI : 10.17286/KJEP.2017.31.2.02 

  29. J. W. Kim, K. H. Lee, T. E. Kim, S. W. Bae & D. H. Kim. (2008). Basic Research for Longitudinal Effect Analysis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Project.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30. I. J. Jung, B. J. Lee, J. Y. Im, M. H. Hyang & E. J. Lee. (2008). Educational Needs and Development Proces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 of research tools for analysis.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