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식이(HFD)/stereptozotocin(STZ) 유도 당뇨모델에서 여주가 글루카곤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mordica charantia on Glucagon Secretion in High-fat diet(HFD)/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Rat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8, 2020년, pp.837 - 846  

김성은 (콜마비앤에이치(주) 식품과학연구소) ,  김상백 ((주)한국콜마 피부천연물연구소) ,  김슬기 (콜마비앤에이치(주) 식품과학연구소) ,  김현규 (콜마비앤에이치(주) 식품과학연구소) ,  박병준 ((주)한국콜마 피부천연물연구소) ,  이학성 (콜마비앤에이치(주) 식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effect of Momordica charantia(as well known "bitter mel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diabetic mechanism of Bitter Melon Extract (BME). We measured blood glucose, insulin, glucagon level in a Sprague-Dawley rat model of high-fat d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8). 본 연구에서는 HFD/STZ유도 당뇨 랫드에 9주간 추출물을 경구투여시켜 여주가 혈당 및 글루카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1040549-201603-BM-004)에서 여주를 섭취한 시험군은 위약군과 비교하여 경구당부하 후 혈당과 인슐린, 글루카곤이 감소하였고 혈당과 글루카곤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여주를 활용한 항당뇨 효능연구에 있어서 그 기전으로 인슐린-식후혈당간의 관계는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이 글루카곤과의 연관성을 보인경우는 드물었기에 작용기전을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미숙여주주정추출분말 경구투여군은 경구당부하검사(OGTT) 120분과 곡선하면적(AUC)에서 유의적인 혈당감소를 보였으며, 글루카곤 또한 유도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당뇨병(Diabetes)은 체내 대사 작용의 이상으로 정상적인 혈당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아 비정상적으로 혈당이 높아지는 만성 질환으로서 주로 대사증후군 이후 심화되어 발생한다. 전세계적으로 당뇨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3억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Adeghate et al.
여주에 함유된 활성 물질은 무엇인가? 여주에는 glycoside, saponin, alkaloids, fixed oils, triterpene, steroid등과 같은 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혈당상승 억제와 같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man and Lau, 1996). 또한 여주는 당뇨 동물모델에서 혈당의 감소외에 합병증(신장병, 신경병증, 위장병, 백내장등)도 개선하거나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Grover et al.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 2006). 이러한 환자들 중 90~95%는 제2형 당뇨환자들이 대부분이며 주요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알려져 있다(Shin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deghate, E., Schattner, P., Dunn, E., 2006, An Update on the etiology and epidemiology of diabetes mellitus., Ann. N. Y. Acad. Sci., 1084, 1-29. 

  2. Ahmed, I., Adeghate, E., Sharma, A. K., Pallot, D. J., Singh, J., 1998,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fruit juice on islet morphology in the pancreas of the streptozotocin-diabetic rat., Diabetes. Res. Clin. Pract., 40, 145-151. 

  3. Beloin, N., Gbeassor, M., Akpagana, K., Hudson, J., de Soussa, K., Koumaglo, K., Arnason, J. T.. 2005, Ethnomedicinal uses of Momordica charantia (Cucurbitaceae) in Togo and relation to its phyto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y., J. Ethnopharmacol., 96, 49-55. 

  4. Bhat, G. A., Khan, H. A., Alhomida, A. S., Sharma, P., Singh, R., Paray, B. A., 2018, GLP-1 secretion in healthy and diabetic Wistar rats in response to aqueous extract of Momordica charantia., BMC Complement. Altern. Med., 18, 162. 

  5. Consoli, A., 1992, Role of Liver in Pathophysiology of NIDDM., Diabetes. Care., 15, 430-441. 

  6. Elekofehinti, O. O., Ariyo, E. O., Akinijiyan, M. O., Olayeriju, O. S., Lawal, A. O., Adanlawo, I. G., Rocha, J. B. T., 2018, Potential use of bitter melon(Momordica charantia) derived compounds as antidiabetics: In silico and in vivo studies. Pathophysiology., 25, 327-333. 

  7. Grover, J. K., Rathi, S. S., Vats V., 2002, Amelioration of experimental diabetic neuropathy and gastropathy in rats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of plant(Eugenia jambolana, Mucuna pruriens and Tinospora cordifolia) extracts. Indian. J. Exp. Biol., 40, 273-276. 

  8. Grover, J. K., Vats, V., Rathi, S. S., Dawar, R., 2001, Traditional Indian anti-diabetic plants attenuate progression of renal damage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J. Ethnopharmacol., 76, 233-238. 

  9. Grover, J. K., Yadav, S. P., 2004, Pharmacological actions and potential uses of Momordica charantia: a review., J. Ethnopharmacol., 93, 123-132. 

  10. Jiang, G., Zhang, B. B., 2003, Glucagon and regulation of glucose metabolism.,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4, E671-E678. 

  11. Kim, J. W., Lee, Y. S., Seol, D. J., Cho, I. J., Ku, S. K., Choi, J. S., Lee, H. J.. 2018, Anti-obesity and fatty liver -preventing activities of Lonicera caerulea in high-fat diet-fed mice. Int. J. Mol. Med., 42, 3047-64. 

  12. Kim, Y. J., Kim, H. K., Lee, H. S., 2018, Hypoglycemic effect of standardized Chrysanthemum zawadskii ethanol extract in high-fat diet/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and rats., Food. Sci. Biotechnol., 27, 1771-1779. 

  13. Kyoung, S. P., 2018,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Korea Diabetes Association, Seoul, Korea. 

  14. Lee, M. Y., Kim, M. K., Park, J. S., Lee, S. B., You, J. H., Ahn, C. W., Kim, K. R., Kang, S. N., 2019, Higher Glucagon-to-Insulin Ration Is Associated With Elevated Glycated Hemoglobin Levels in Type 2 Diabetes Patients., Korean. J. Intern. Med., 34, 1068-1077. 

  15. Raman, A., Lau, C., 1996, Anti-diabetic properties phytochemistry of Momordica charantia L. (Cucurbitaceae)., Phytomedicine., 2, 349-362. 

  16. Rathi, S. S., Grover, J. K., Vikrant, V., Biswas, N. R.. 2002, Prevention of experimental diabetic cataract by Indian Ayurvedic plants extracts., Phytother. Res., 16, 774-777. 

  17. Shih, C. C., Shlau, M. T., Lin, C. H., Wu, J. B., 2014, Momordica charantia Ameliorates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emia with Altered Hepatic Glucose Prodcution and Fatty Acid Synthesis and AMPK Phosphorylation in High-fat-fed Mice., Phytother. Res., 28, 363-371. 

  18. Son, H. S., 2008, Early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J. Korean. Med. Assoc., 51, 813-817. 

  19. Stratton, I. M., Adler, A. I., Neil, H. A. W., Matthews, D. R., Manley, S. E., Cull, C. A., Hadden, D., Turner, R. C., Holman, R. R., 2000,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321, 405-412. 

  20. Vikrant, V., Grover, J. K., Tandon, N., Rathi, S. S., Gupta, N., 2001, Treatment with extracts of Momordica charantia and Eugenia jambolana prevents hyperglycemia and hyperinsulinemia in fructose fed rats. J. Ethnopharmacol., 76, 139-143. 

  21. Wang, L., Waltenberger, B., Pferschy-Wenzig, E. M., Blunder, M., Liu, X., Malanier, C., Blazevic, T., Schwaiger, S., Rollinger, J. M., Heiss, E. H., Schuster, D., Kopp, B., Bauer, R., Stuppner, H., Dirsch, V. M., Atanasov, A. G., 2014, Natural product agonist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 $PPAR{\gamma}$ ): a review. Biochem. Pharmacol., 92, 73-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