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건강 상태 및 영양소 섭취 현황: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Status of health and nutritional intak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cus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1, 2020년, pp.27 - 38  

한규상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은주 (호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 및 영양 상태를 조사하여, 시설 입소 노인의 영양 개선 및 급식관리 지원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4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노인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시설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자 노인은 34명 (17.1%), 여자 노인 165명 (82.9%)으로 여자 노인이 많았으며, 노인의 90% 이상이 75세 이상의 고령이었으며, 시설 거주기간은 70.6%가 3년 미만이었다. 조사대상자의 82.5%는 음주, 흡연 모두 하지 않았으며, 시설 내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노인 45.7%, 거의 매일 운동 한다고 응답한 노인이 40.7%로 시설 거주 노인의 반 이상이 자유롭지 활동하지 못하였으며, 남녀 노인의 44.2%는 본인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현재 앓고 있는 질병으로 치매·파킨슨병, 고혈압, 근골결계 질환, 당뇨병, 뇌졸중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60.3%가 치매나 파킨슨병을 앓고 있어 시설거주 노인의 주요 질환이 뇌신경계 질환임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25.6%만 대부분의 치아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44.7%는 저작 및 연하 작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총 식품 섭취량은 남자 노인 1,127 g, 여자 노인은 1,078 g이었고, 각 식품군별 섭취량은 '채소류' 397.9 g, '곡류' 206.4 g, '유제품' 159.8 g, '육류' 82.9 g 등으로 우리나라 일반 노인에 비해 콩류와 우유·유제품의 섭취량이 많았다. 다빈도 섭취 식품은 배추김치, 잡곡밥, 된장국·찌개, 쌀밥, 요구르트, 호박죽, 두유, 오리탕, 가지나물 순이었다. 에너지 섭취량은 남자 노인 1,564.9 kcal, 여자 노인 1,535.5 kcal로, 남자 노인이 필요량에 비해 에너지 섭취 수준이 낮았다. 각 영양소 섭취량은 남녀 노인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리보플라빈, 비타민 C, 비타민 D, 칼슘, 칼륨의 영양상태가 불량하였고, 특히 비타민 D의 평균 섭취량이 5.0 ㎍으로 매우 낮았으며, 조사대상자의 86.4%가 충분섭취량 이하로 섭취하였다. 반면에 나트륨은 조사대상자의 90%이상이 목표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하여 노인의 질병관리를 위한 식사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조사 결과 광주광역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편은 아니었으나, 우리나라 65세 이상 일반 노인이나 광주광역시 저소득층 여자 노인에 비해서는 영양상태가 더 나은 경향을 나타내어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의 양질의 급식관리가 노인의 영양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노인의료복지시설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입소 노인들의 급식 및 영양관리 개선 증진을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food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adequate food services and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Method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2019 to October 2019 for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 및 영양 상태를 조사하여, 시설 입소 노인의 영양 개선 및 급식관리 지원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4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노인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시설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 본 조사 결과 광주광역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편은 아니었으나, 우리나라 65세 이상 일반 노인이나 광주광역시 저소득층 여자 노인에 비해서는 영양상태가 더 나은 경향을 나타내어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의 양질의 급식관리가 노인의 영양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노인의료복지시설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입소 노인들의 급식 및 영양관리 개선 증진을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건강 및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들의 급식 및 영양관리 개선 방안과 건강증진 지원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The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Guidelines for elderly health welfare busines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3. Statistics Korea. 2018 Elderly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National health statistic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elderly welfare ac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cited 2019 Jul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healthy meals for the elderly.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8. Kwon JS, Lee SH, Lee MK, Lee YN. Study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and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2): 200-217. 

  9. Hyun EY, Oh JJ. Mal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of demented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Korea Contents Assoc 2017; 17(9): 426-436. 

  10. Won JB, Ha JY.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dependence of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nursing facilities according to dysphagia. Asia Pac J Multimed Serv Converg Art Humanit Sociol 2018; 8(12): 711-720. 

  11. Kwak KS, Bae YJ, Kim MH.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the low-income elderly residing at home or in health 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08; 14(4): 337-350. 

  12. Lee MS. Nutritional status of the oldest-elderly population in Sunchang coun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3): 255-265. 

  13. Kwak CS, Cho JH, Yon M, Park SC. Anthropometric index,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of the oldest-old population aged 95 and over living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603-622. 

  1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CAN-Pro 5.0.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16. Han G, Yang E. Status of foodservice operation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ocus o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8; 28(5): 337-344. 

  1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Survey of the elderly statu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18. Chang YJ. Statu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servi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eoul: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3. 

  19.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Status of 2016 processed food market by category: elder friendly foods. Naju: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6.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Guiding the recipe for those who difficulty in chew or swallow.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21. Han G, Yang E. Evaluation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intake of Korean elderly: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8; 28(4): 258-271. 

  22. Adrogue HJ, Madias NE. Sodium and potassium in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N Engl J Med 2007; 356(19): 1966-1978. 

  23. Chobanian AV, Hill M.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ypertension 2000; 35(4): 858-863. 

  24. Tsugane S.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2005; 96(1): 1-6. 

  25. Yang EJ, Bang HM.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J Nutr Health 2008; 41(1): 65-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