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TT(Over The Top) 서비스 플랫폼에서 디지털 콘텐츠마케팅 효과 연구: 간접광고 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content marketing in OTT (Over The Top) service platform: focusing on indirect advertising types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20 no.4, 2020년, pp.155 - 164  

김태양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OTT(Over the Top) 서비스 상에 노출되는 간접광고의 유형에 따른 효과를 실험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지상파채널에 실제 방영되었던 간접광고를 3가지 유형의 실험 자극물로 구성하여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선추적 장비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시청한 간접광고에 대한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응시시간과 응시횟수 모두 맥락적 PPL, 단순노출 PPL, 일반협찬 PPL순으로 차이가 있음을 밝혀졌으며, 맥락적 PPL과 단순노출 PPL은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협찬 PPL은 단순회귀분석결과,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OTT서비스에서 간접광고의 가능성과 OTT서비스를 통하여 마케팅을 펼치려는 기업에게 보다 효과적인 간접광고의 전략적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easured the effect of PPL(Product Placement: PPL) in OTT(Over The Top) to search a new advertising revenue model according to the change of viewers' video content consumption patterns. On the first, by two research step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an eye-tracker and then a su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비자 기억에 의존하던 기존 간접광고의 효과측정이 아닌 시선추적 기록을 이용한 생리학적 측정 방법을 통하여 OTT서비스 환경에서 간접광고의 효과를 보다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에 노출된 간접광고에 대한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그리고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PL 유형별 광고영상에 대한 시선추적 실험과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피험자의 성별, 나이와 TV 드라마 시청 평균 시간을 확인하여 인구학적변인으로 활용하였다.
  • 하지만 시청자를 대상으로 행해지던 기억, 회상을 이용하는 효과측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시선 추적 장비를 이용하여 심리생리학적에 바탕에 둔 실증적 광고효과를 도출하고 광고유형별 효과를 검증하였다.
  • 또한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에 노출된 간접광고에 대한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그리고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OTT서비스에서 간접광고의 가능성과 OTT서비스를 통하여 마케팅을 펼치려는 기업에게 보다 효과적인 간접광고의 전략적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하지만 이는 OTT환경에서의 간접광고 효과측정이라는 주제에서 연구자들이 새롭게 프로그램을 제작 할 수 없는 본 연구의 특성이 가지는 물리적 한계점으로 들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광고진흥공사(KOBACO)에서 실제로 판매된 간접광고물을 사용함으로써 실험물 제작의 객관성을 높이려고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3-1): 맥락형 PPL은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이고, 브랜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3-2): 단순노출형 PPL은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줄 것 이고, 브랜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3-3): 일반협찬형 PPL은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한 광고태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줄 것 이고, 브랜드 태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
  • <연구문제 3>: TV프로그램 속 PPL 광고 의 유형에 따라 간접광고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 <연구문제 2>: 스트리밍 서비스 상에서 노출되는 TV 프로그램 속 PPL 광고 유형에 따라 제품에 대한 응시시간의 차이가 있는가?
  • <연구문제 1>: 스트리밍 서비스 상에서 노출되는 TV 프로그램 속 PPL 광고 유형에 따라 제품에 대한 응시횟수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TT(Over-The-Top) 서비스란 무엇인가? OTT(Over-The-Top) 서비스란 “방송, 영화, 등을 포함한 동영상 콘텐츠를 인터넷 망을 통해 전달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1]. 기존의 전통적인 방송은 방송프로그램을 만들고, 방송국 송출시스템을 거쳐 텔레비전 수상기에 이르는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OTT 서비스는 [표1]과 같은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OTT(Over The Top) 서비스의 등장은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OTT(Over The Top) 서비스의 등장은 미디어간 경계를 허물고 시청자 개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TV 시청이 가능하게 함에 따라 TV콘텐츠 소비 행태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 음악에 국한되었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젠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전통적 TV 산업은 위기를 맞고 있다.
PPL광고의 유형별로 달라지는 시각적 주의와 광고효과 및 이에 따른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결과 맥락적 PPL의 경우 등장인물이 직접 사용하면서 화면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프로그램 내용과 관련된 요소로 노출되면서 시청자에게는 큰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고 시선 또한 빈번하게 오랫동안 머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반응은 결국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매의도까지 이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순노출 PPL은 노출되는 브랜드 또는 제품에 시선이 일반협찬 PPL에 비해 비교적 자주 머물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배경이나 소품으로 등장하면서 브랜드명이나 제품이 노출되면서 시청자의 시선을 끌기는 하지만 결국 등장인물로 시선이 더 자주 가면서 광고 노출효과가 비교적 떨어진다. 하지만 브랜드 태도나 구매의도에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협찬 PPL의 경우 브랜드가 가려진 부분에 시선이 잠시 관심은 두었지만 프로그램 내용에 더 집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첫 응시시간도 비교적 늦고 시선의 방문횟수 및 응시시간도 현저히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협찬 PPL의 경우 PPL에 대한 시선의 응시 횟수 및 시간이 떨어짐으로써 해당 PPL에 대한 브랜드 태도나 구매의도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오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서론에서 밝힌 광고효과 위계모델(hierarchy of effects model)이 내세우는 주장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ae-Yang Kim, Dong-Hee Shin, "The survival strategy of branded content in the over-the-top (OTT) environment: Eye-tracking and Q-methodology approach in digital product placement",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 34, No. 7, pp. 1081-1092, 2017. DOI: https://doi.org/10.1016/j.tele.2017.04.016 

  2. SunYoung Choi, Min-Soo Kim, Myoung -Jun Kim, "An Application-embedded method to trace OTT viewing patterns on smartphon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8, No. 4, pp. 1000-1006, 2014. DOI: https://doi.org/10.6109/jkiice.2014.18.4.1000 

  3. Greenberg, B. S. Gratifications of television viewing and their correlates for British children. In J. Blumler and E. Katz (Eds.), Annual reviews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 3. Beverly Hills, Sage 

  4. A. M. Rubin, "Television uses and gratifications: The interactions of viewing patterns and motivation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27, No. 1, pp, 37-5, 1983. 

  5. J. H. Kim, J.T. Ahn, "The advertising effects of PPL in TV dramas- Identificaiton by implicit memory-based measures, Advertising Research Vol. 0 No. 64, pp. 61-83, 2004 

  6. S. Vollmers, D. Mizerski,, "A Review and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Placements in Films", In K. W. King(Ed.), Proceedings of 1994 Conference of the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pp.97-102. 1994. 

  7. P. B. .Gupta, K. R. Lord,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 of prominence and mode on audience recall", Journal of Current Issues & Research in Advertising, Vol. 20, No.1, pp. 47-59, 1998. 

  8. Soo bum Lee, Min-Ho Song, Won-Ki Moon, Myounghee Shin, "The Influence of PPL's Expression Type and Audience's Characteristics on Advertising Effects", Korean A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dies, Vol., No.87, pp. 75-106, 2014. 

  9. Si-Hoon Lee, Sedong Pyo, "An Experimental Study of Advertising Effects of Game PPL",. Journal of Communicaition Science, Vol.9, No.2, pp. 395-424, 2009 

  10. Y. J. Wang, M. S. Minor, "Validity,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psychophysiological techniques in marketing research", Psychology & Marketing, Vol. 25, No2, pp. 197-232, 2008. 

  11. H. E. Krugman,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Learning without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29, No. 3, pp. 349-356, 1965. 

  12. Tae-Yong Kim, "What do the readers look in a print advertisement? : An eye-tracking study",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16, No.5, pp. 109-135, 2005. 

  13. Si-Hoon Lee, Joo-ah Ahn, "Is Possible the Activation of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in Advertising Research?: Advertising Scholar's Cognition about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Journal of Communicaition Science, Vol.25, No.4, pp. 25-50, 2009. 

  14. R. E.Smith, J.Chen, X. Yang, "The impact of advertising creativity on the hierarchy of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Vol. 37, No 4, pp. 47-62. 2008. 

  15. Soo- bum Lee, Heebok Lee, Myounghee Shin, "Exploring the Virtual Advertising Effects Using Eye Track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2, No.5, pp. 99-125, 2011. 

  16. S. P. Brown, D. M. Stayma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attitude toward the ad: A meta-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pp. 34-51. 1992. 

  17. Hyo-Kyung Kim, S. J. Son, "The Effect of Utilizing StarMarketing on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25, No.2, pp. 229-251, 2010. 

  18. I., Ajzen, T. J. Madden,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2, No. 5, pp. 453-474, 1986. 

  19. S. B. MacKenzie, R. J. Lutz,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The Journal of Marketing, pp. 48-65, 1989. 

  20. Kyoung-Soon Lee, Jeong Shick ;Yoon, "A Study on the Effect of HMD VR Technology on Design Application: Focusing on 3D EXPERIENCE Platform V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4, pp. 49-55, April 202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20.21.4.49 

  21. Kyu-Dong Kim, Yung-Mok Yu, Jeong-Lae K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s Perception on Mobile Shopping Intention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3, No. 6, pp. 297-303, 2013.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3.13.6.297 

  22. Yoseop Woo, Iksoo Kim, "Framework for Multimedia Service using Multicast in CVCN Network",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Vol. 9, No. 2, pp.55-63, Dec. 2019. DOI: https://doi.org/10.14801/JAITC.2019.9.2.55 

  23. SangHo Lee Effect of SNS User's Emotional Perception and Flow on Word of Mouth : Focusing on the Facebook User Group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Vol.18, No.2, pp. 1-23,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