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조산원 개원실태 및 조산직무지침 개발
Opening Status of the Korea Midwifery Birthing Centers and Development of Midwifery Practice Guidelin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4, 2020년, pp.583 - 598  

송지영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박영주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midwifery birthing centers (MBCs) and midwives' job status (Phase 1) and to develop midwifery practice guidelines (MPG) (Phase 2) in Korea. Methods: In the first phase, the subjects were 15 midwives who operated 11 of 14 MBCs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운영 중인 조산원의 개원 실태를 조사하고 조산직무지침을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 의료환경 특히 출산 환경에서 중요한 책임과 역할이 요구되는 의료 전문인인 조산사의 역할 재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개원하고 있는 한국 조산원의 운영실태, 조산사의 직무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문헌고찰, 면담조사 및 설문조사와 전문가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조산직무지침을 개발하였다. 2018년 8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록된 23개 조산원 중 실제 개원하고 있는 조산원은 14곳으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조산원의 개원 실태를 파악하고 조산사를 위한 조산직무지침을 개발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9년 총 출산 건수는 몇건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와 더불어 분만을 담당하는 병의원 및 산부인과 전공의가 감소되고 있고, 분만병원의 지역적 편중으로 ‘출산 난민’이라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1]. 2019년 총 출산 건수는 30만 3천건으로 전년도 32만 6천건과 비교하면 7% 감소하였으며[2] 분만을 담당하는 의료기관의 숫자도 줄어들어 2010년 808개였던 것이 2018년에는 567개로 조사되었다[3]. 이런 이유로 정부는 2011년부터 농어촌 지역 일부를 분만취약지로 지정하여 분만 시설 설치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4].
분만을 담당하는 의료기관은 2018년에 몇 개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와 더불어 분만을 담당하는 병의원 및 산부인과 전공의가 감소되고 있고, 분만병원의 지역적 편중으로 ‘출산 난민’이라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1]. 2019년 총 출산 건수는 30만 3천건으로 전년도 32만 6천건과 비교하면 7% 감소하였으며[2] 분만을 담당하는 의료기관의 숫자도 줄어들어 2010년 808개였던 것이 2018년에는 567개로 조사되었다[3]. 이런 이유로 정부는 2011년부터 농어촌 지역 일부를 분만취약지로 지정하여 분만 시설 설치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4].
조산사에 의한 출산이 갖는 긍정적인 효과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조산사에 의한 출산이 갖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위와 같은 산모의 심리정서적 측면 외에도 산과적 결과와 비용효과적 측면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국외의 경우 조산사에 의한 출산은 산모와의 신뢰감 형성으로 진통과정에서 다양한 비약물적 통증 완화 방법이 적용되어 출산 시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7.3배 높았으며[8], 출산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하게 하여 자연출산율은 높이고 제왕절개율은 감소시키는 비용 효과적 측면이 있었다[9]. 정상 임산부 223,739명을 대상으로 한 네덜란드 코호트 연구에서도 조산사와 출산(midwife-led care)한 산모들은 병원에서 분만(obstetrician-led care)한 산모보다 중증 급성 모성이환율, 산후 출혈 및 태반 용수박리 등의 발생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국가가 위험 식별과 전원 시스템이 잘 발달한 모성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 조산사에 의한 출산이 위험하다는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wang JY. Comprehensive care of high-risk pregnancy for reducing maternal mortality: A proposal to establish a Korean pregnancy and birth regi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5;19(2):163-171. https://doi.org/10.21896/jksmch.2015.19.2.163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20 [cited 2020 Jun 8].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000F&conn_pathI2.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20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Wonju: HIRA; c2020 [cited 2020 Jun 8].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20000&brd-ScnBltNo4&brdBltNo2311&pageIndex1#none.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Guidance for childbirth vulnerable support project [Internet]. Sejong: MOHW; c2020 [cited 2020 Jun 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3104. 

  5. Park JS, Kwon YE, Kim BM. The job experience of nurse midwives. Korean Journal Health Communication. 2017;12(1):85-95. 

  6. Alliman J, Phillippi JC. Maternal outcomes in birth center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6;61(1):21-51. https://doi.org/10.1111/jmwh.12356 

  7. Lee SH. Women's experiences on spontaneous delivery with midwiv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1-13. https://doi.org/10.4069/kjwhn.2014.20.1.1 

  8. O'Brien B, Chalmers B, Fell D, Heaman M, Darling EK, Herbert P. The experience of pregnancy and birth with midwives: Results from the Canadian maternity experiences survey. Birth. 2011;38(3):207-215. https://doi.org/10.1111/j.1523-536X.2011.00482.x 

  9. Toohill J, Callander E, Gamble J, Creedy DK, Fenwick J. A cost effectiveness analysis of midwife psycho-education for fearful pregnant women - a health system perspective for the antenatal period.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7;17(1):217. https://doi.org/10.1186/s12884-017-1404-7 

  10. de Jonge A, Mesman JA, Mannien J, Zwart JJ, Buitendijk SE, van Roosmalen J, et al. Severe adverse maternal outcomes among women in midwife-led versus obstetrician-led care at the onset of labour in the Netherlands: A nationwide cohort study. PLoS One. 2015;10(5):e012626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26266 

  11. Sheen K, Spiby H, Slade P. Exposure to traumatic perinatal experienc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midwive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burnou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5;52(2):578-587.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4.11.006 

  12. Nowotny-Czupryna O, Naworska B, Brzek A, Nowotny J, Famula A, Kmita B, et al. Professional experience and ergonomic aspects of midwives'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12;25(3):265-274. https://doi.org/10.2478/S13382-012-0034-6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UNICEF,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Managing complications in pregnancy and childbirth: A guide for midwives and doctors [Internet]. 2nd ed. Geneva: WHO; c2017 [cited 2018 Mar 7].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maternal_child_adolescent/documents/managing-complications-pregnancy-childbirth/en/. 

  14. American College of Nurse-Midwives (ACNM). ACNM re-entry to midwifery practice [Internet]. Silver Spring (MD): ACNM; c2016 [cited 2018 Mar 7]. Available from: https://www.midwife.org/Re-entry-Guidelines-for-CNMs/CMs. 

  15. Song JY. Work situations and task analysis of midwives opening their own childbirth centers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04. p. 1-57. 

  16. Pyun SJ, Park YS, Moon GN, Kim HK. Midwife job analysis. Seoul: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00 Dec. Report No.: 00B-07b. 

  17. Park YS, Lee KH, Pyun SJ, Kim HK.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xamination subjects for midwives. Seoul: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05 Dec. Report No.: RE02-0510-04. 

  18. Lee IH. A study on the role and decline of the midwife as female childbirth professional. Korean Journal of Oral History. 2015;6(1):121-161. 

  19. Cook E, Avery M, Frisvold M. Formulating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certified nurse-midwives and certified midwives attending home births.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4;59(2):153-159. https://doi.org/10.1111/jmwh.12142 

  20. Hanson L, VandeVusse L, Roberts J, Forristal A. A critical appraisal of guidelines for antenatal care: Components of care and priorities in prenatal education.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09;54(6):458-468. https://doi.org/10.1016/j.jmwh.2009.08.002 

  21. Kataoka Y, Eto H, Iida M, Yaju Y, Asai H, Sakurai A, et al. Japan Academy of Midwifery: 2012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midwifery care during childbirth. Journal of Japan Academy of Midwifery. 2012;26(2):275-283. https://doi.org/10.3418/jjam.26.275 

  22. Austin MP, Middleton P, Reilly NM, Highet NJ. Detection and management of mood disorders in the maternity setting: The Australi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omen and Birth. 2013;26(1):2-9. https://doi.org/10.1016/j.wombi.2011.12.001 

  23. Spiby H, Munro J. The development and peer review of evidence-based guidelines to support midwifery led care in labour. Midwifery. 2009;25(2):163-171. https://doi.org/10.1016/j.midw.2007.01.018 

  24.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Midwives (ICM). Essential competencies for midwifery practice [Internet]. Hague: ICM; c2019 [cited 2020 Jul 9]. Available from: https://www.internationalmidwives.org/our-work/policy-and-practice/essential-competencies-for-midwifery-practice.html. 

  25. Lee KH, Kim KW. Core competency of basic practice of nurse-midwif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9(4):410-421. https://doi.org/10.4069/kjwhn.2003.9.4.410 

  26. Kim J, Jung Y. Methods and applications to estimate the conversion factor of resource-based relative value scale for nurse-midwife's delivery servic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4):574-583. https://doi.org/10.4040/jkan.2009.39.4.574 

  27. Im H, Kim J. Methods and estimates of the reimbursement for the nurse midwifery center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328-336. https://doi.org/10.4069/kjwhn.2011.17.4.3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