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적응형 화성학 학습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Adaptiv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Harmon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139 - 145  

박종원 ((주)주스 기업부설연구소) ,  김동삼 ((주)주스 기업부설연구소) ,  김준호 ((주)주스) ,  송무경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ICT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은 이미 우리 생활에 빠르게 정착하고 있다. 음악 교육은 오프라인 기반의 환경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온라인 교육에 시공간 제약이 없다는 점, 학습자 주도의 쌍방향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교육 방식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적응형 학습이 가능하도록 '화성학' 학습 시스템을 제안, 설계, 구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담는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LMS 기반의 플랫폼을 제공하여, 경제적·지리적 요인에 해당하는 사회적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온라인 적응형 화성학 학습 시스템이 자동으로 제공하는 객관적인 학습 피드백과 교수자의 학습 피드백을 모두 제공한다. 셋째,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한 화성학 문제에 대한 추천 답안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을 활용한 온라인 적응형 화성학 학습 시스템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online learning using ICT technology is already quickly settling in our lives. Music education was conducted mainly in an offline-based environment, bu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switch to online because there is no time and space constraint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음악 분야 중에서도 화성학을 위한 적응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고, 설계하였으며, 구현하였다. 또한, 화성학 학습을 위한 온라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특히, 학습자가 화성학 학습을 위해서 온라인에서 화성학 풀이를 직접 시행하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풀이에 대한 평가, 그리고, 모범답안을 제시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둘째, 본 연구는 음악 교과 그 중에서도 ‘화성학’ 학습을 위한 온라인 기반의 적응형 시스템 개발의 과정을 비판적으로 소개하는 데에 그 취지를 둔 시작 단계의 연구로서, 보다 정교한 화성학 학습 콘텐츠에 대해서는 매우 제한적으로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 화성학이 음악 교육의한 교과로 취급되었지만 그 본의의 목적은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고 또 감상하는 도구여야 한다는 사실에 깊게 공감하며, 보다 정교하고 음악적인 맥락을 가미한 화성학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 본 논문에서는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적응형 온라인 화성학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며 이 시스템이 갖는 공학적, 음악교육학적으로 유의미한 지점들을 밝히고 이 시스템이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는 학습적 효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1년에 걸쳐 인공지능 기반의 화성학 답안 자동 생성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적응형 화성학 학습 시스템을개발하였으며, 현재도 그 후속 개발을 단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 하지만, 현재까지 음악 분야에서 적응형 학습을 위한 시스템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 분야 중에서도 화성학을 위한 적응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고, 설계하였으며, 구현하였다. 또한, 화성학 학습을 위한 온라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학습자와 교수자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 본 연구팀은 1년에 걸쳐 인공지능 기반의 화성학 답안 자동 생성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적응형 화성학 학습 시스템을개발하였으며, 현재도 그 후속 개발을 단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은 이 시스템의 설계 과정을 간략히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대두되는 기술적, 음악이론적 요구사항들을 확인하여 시스템이 확보하는 웹기반 화성학 교육의 이점과 효용성에 대해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수직적 화성 규칙은 하나의 화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규칙을 정의하였다. 수직적 화성 규칙을 살펴보자.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을 구성할 때, 반음계를 사용하지 않고 온음계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 교육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ICT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은 이미 우리 생활에 빠르게 정착하고 있다. 음악 교육은 오프라인 기반의 환경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온라인 교육에 시공간 제약이 없다는 점, 학습자 주도의 쌍방향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교육 방식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적응형 학습이 가능하도록 '화성학' 학습 시스템을 제안, 설계, 구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담는다.
와슨은 적응형 학습을 어떤 특성을 가진 교육모델로 설명하는가? 첫째, 강의 중심에서 학생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으로 보았다. 둘째, 온라인 및 대면 학습자 모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셋째, 학생과 교사 간,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콘텐츠 간, 학생과 비공식 외부 자원 간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킨다고 보았다. 넷째, 학생과 교사를 위해 통합되어 있고, 정규화된 평가 메커니즘을 가지는 것으로 보았다.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어떤 분야에서 음악예술과 과학기술의 교량화를 이루었는가?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전기음향, 녹음기술, 전자정보기술 등의 분야에서 음악예술과 과학기술의 교량화를 이루었으며, 현대 컴퓨터 멀티미디어 기술은 음악 교육, 음악 제작, 음악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1]. 한편, ICT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은 점점 더 중요한 교육 방식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 N. Silla, A. L. Przybysz & W. V. Leal. (2016). Music education meet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In 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1-7. DOI: 10.1109/FIE.2016.7757413. 

  2. R. R. Garrison, W. Archer & T. Anderson. (2003).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Falmer. DOI: 10.4324/9780203838761 

  3. C. R. Graham. (2006). Blended learning systems: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Bonk, C. J. & Graham, C. R. The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New York : John Wiley & Sons, 3-21. 

  4. O. J. Kim. (2018). The Effects of Music Lesson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based STEAM Education on the Musical Knowledge and STEAM Literac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217-227. DOI : 10.15207/JKCS.2018.9.2.217 

  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rism. (2018). The Survey of Cultural Enjoyment. ISSN: 1739-1148. 

  6. W. S. Noh. (2017). A Study on the Boosting Plan of e-Learning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3-24, 

  7. M. H. Shin. (2011). A Comparison of SERVPERF and KS-SQI for the On-line Education-website Service Quality Measur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5), 253-263. DOI:10.14400/JDPM.2011.9.5.253. 

  8. C. Bereiter. (2002). Education and mind in the knowledge ag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9. C. J. Bonk & C. R. Graham. (2012). The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New York: John Wiley & Sons. 

  10. C. McLoughlin & M. J. Lee. (2007). Social Software and Participatory Learning: Pedagogical Choices with Technology Affordances in the Web 2.0 era. ICT: Providing Choices for Learners and Learning. Proceedings of 3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on, Practice and Research in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ertiary Education, 664-675. 

  11. C. Dziuban, P. Moskal & J. Hartman. (2005). Higher Education, Blended Learning, and the Generations: Knowledge is Power: No More. In J. Bourne & J. C. Moore (Eds.), Elements of Quality Online Education: Engaging Communities. Needham, MA: Sloan Center for Online Education, 88-89. 

  12. J. Watson. (2008). Blended Learning: The Convergence of Online and Face-to-Face Education. Promising Practices in Online Learning. North American Council for Online Learning. 

  13. M. H. Shin. (2018).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On-Off line Convergence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Students' Learning Styl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85-90. DOI: 10.15207/JKCS.2018.9.2.085 

  14. G. J. Jang. (2011).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Motiv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um Music Activity.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0(2), 53-82. UCI: G704-001377.2011.40.2.005. 

  15. Senzoku Online School of Music. (2020-05-31). https://www.senzoku-online.jp/ wasei.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