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궁 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pouse Support, Intentiona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Hysterectom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237 - 245  

채여주 (경상남도 감염병관리지원단) ,  김영란 (우리여성병원) ,  이옥숙 (미래여성병원) ,  김보람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고영심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한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절제술이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67명의 여성으로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스트레스 대처 중 소극적 대처(r=0.27, p=.026), 적극적 대처(r=0.34, p=.004) 그리고 의도적 반추(r=0.4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 대처는 적극적 대처(r=0.74,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도적 반추(β=0.42, p<.001)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총 설명력은 26%로 확인되었다(F=8.68, p<.001).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자궁절제술을 가진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의도적 반추를 증가하여 이들이 겪는 외상에 효과적으로 직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pouse support, intentiona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of subjects who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hysterectomy. The subjects collected from 67 women who had hysterectomy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여성들은 자신의 자궁이 제거되었다는 사실로 인해 여성성의 손상이라는 심각한 심리적 외상사건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는 해외연구[9]는 있었으나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lhoun 과 Tedeschi [10]의 외상 후 성장 모델에 근거하여 자궁절제술이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추후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대상자에게 외상 후 성장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간의 관계를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1.
  • 본 연구는 자궁절제술이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추후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대상자에게 외상 후 성장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상 후 성장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는 스트레스 대처, 의도적 반추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도적 반추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자궁절제술이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여성들의 외상 후 성장,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료수집 시 연구자와 연구보조자가 직접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원하는 경우 언제든 철회가 가능하며 그로 인한 불이익이 없음과 설문지 작성에는 15분에서 20분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을 설명하여 연구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보장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 설문자료는 연구적으로만 사용되며 연구 참여자의 익명성과 비밀이 보장된다는 내용으로 대상자에게 연구 참여 동의서 서명을 받은 후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자궁절제술 건수는 얼마나 되는가? 자궁절제술은 여성 생식기 질병으로 인한 수술 중 제왕절개 다음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1]. 2019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주요수술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궁절제술 건수는 41,707건이었으며, 인구 10만명 당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대상자는 162명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1]. 나날이 발전하는 의학기술로 인해 자궁절제술의 합병증이나 사망률이 낮아져 수술로 인한 신체적인 위험성은 많이 줄었다.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대상자가 수술 후 겪는 문제점은? 그러나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여성들은 자궁의 외과적 제거로 인한 신체적 손상이 회복된 후에도 성적 표현, 젊음과 매력 등 자궁의 상징적인 기능 상실로 인하여 다양한 정신적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여러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은 수술 이후 우울[2, 3], 성생활 불만족[4-6], 심리사회적 부적응[7], 삶의 질 저하[8] 등을 호소하고 있고, 이런 증상이 악화되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으로의 이환 확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
외상 후 성장이란? 의미있는 사람과의 이별이나 사망, 중대한 수술 혹은 질병 진단, 다양한 형태의 폭력, 자살 등의 외상사건은 고통과 부정적 심리상태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외상사건들로 인해 자신에 대한 지각의 변화와 긍정적 대인관계, 감사와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증가함을 경험하기도 하는데, 이를 외상 후 성장이라고 한다[10].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 관한 질적 연구에서 유방암 환자들은 유방암 진단과 치료과정 중에서 심각한 외상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완치나 치료 종결 후의 삶을 제2인생에 대한 기회라고 생각하여 자신의 인생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여유로운 시선을 갖기도 하고, 이런 변화가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도 동시에 일으킨다고 하였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Main surgery statistical yearbook for 20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onju. 

  2. M. S. Yoo & S. Y. Lee. (2012). Predictiong factors of depression in hysterectomy patient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5(1), 19-34. 

  3. J. T Yen, Y. H. Chen & C. Y. Long. (2008). Risk factor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e psychological impact of hysterectomy: A Prospective Jovestigarion. Psychosomatics, 49(2), 137-142. 

  4. H. J. Koh & H. Y. Kim. (2004). Sexual satisfaction and spouse support in middle-aged women with hysterectom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8(1), 65-76. 

  5. G. Pinar, S. Okdem., N. Dogan., L. Buyukgonenc & A. Ayhan. (2012). The effects of hysterectomy on body image, self-estreem, and marial adjustment in Turkish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6(3), 99-104. 

  6. L. P. Wong & K. Arumugan. (2012). Physical, psychological and sexual effects in multi-ethnic Malaysian women who have undergone hysterectomy. Journal of Obste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38(8), 1095-1105. 

  7. P. C. Leppert., R. S. Legro & K. H. Kjerulff. (2007). Hysterectomy and loss of fertility: implications for women's mental health. Journal of Psychosom, 63, 269-274. 

  8. Y. J. Kim. (2014). Impact of sense of loss, gender role identity, spous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of laparoscopic hysterectomy wome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9. C. Z. de la Cruz, M. Coulter, K. O'Rourke, A. K. Mbah & H. M. Salihu. (2016).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llowing emergency peripartum hysterectomy. Archives of Gyneccology and Obstetrics, 294(4), 681-688. 

  10. L. G. Calhoun & R. G. Tedeschi. (2006). The found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In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Calhoun, L. G. and Tedeschi, R. G., editor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1. F. Cebeci, H. B. Yangin & A. Tekeli. (2012). Life experiences of women with breastcacnerin southwestern Turkey: a qualitative stud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6, 406-412. DOI: 10.1016/j.ejon.2011.09.003 

  12. R. G. Tedeshi & L. G. Calhoun.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DOI: 10.1002/jts.2490090305 

  13.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4. H. R. Kang & N. W. Jung. (2018).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international rumination and stress coping on following romantic breakup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3(1), 247-270. DOI: 10.17315/kjhp.2018.23.1.013 

  15. S. M. Cheon, Y. M. Choi & M. O. Kim. (2015). Effect of optimism enhancement programs on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sty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2(2), 341-356. 

  16. S. Armelie, K. C. Gunthert & L. H. Cohen. (2001). Stressor appraisals, coping and post-event outcomes: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3), 366-395. 

  17. S. Y. Park & N. W. Jung. (2015).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growth.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16(5), 141-155. DOI: 10.15703/kjc.16.5.201510.141 

  18. R. G. Tedeschi & L. G. Calhoun.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19. A. Cann, L. G. Calhoun, R. G. Tedeschi, K. N. Triplett, T. Vishnevsky & C. M. Lindstrom. (2011).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 Coping, 24(2), 137-156. 

  20. R. L. Kahn & C. A. Toni. (1980). Convo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In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Edited by Paul B. Baltes and Orville G. Brim Jr. New York: Academic Press, 3, 254-283. 

  21. M. C. Astin, K. J. Lawrence & D. W. Foy. (199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battered women: Risk and resiliency factors. Violence and Victims, 8(1), 17-28. 

  22. I. J. Lee. (2009). A systematic review of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6, 81-113. 

  23. B. R. Choi & S. J. Chang. (2018). Hope and posttraumatic growth in family caregiver of cancer patients: Focusing on family function. Family and Family Therapy, 26(2), 253-277. 

  24. N. E. Han. (200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in female survivors of child sexual abuse.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5. D. Armstrong, S. J. Shakespeare-Finch & I. Shochet. (2014).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stress in firefighter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6(1), 38-46. 

  26. S. K. Yang & Y. M. Ha. (2019).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among Firefighters: The Role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3879), 1-10. DOI: 10.3390/ijerph16203879 

  27. S. D. Schmidt, T. O. Blank, K. M. Bellizzi & C. L. Park. (2012). The relationship of coping strategies, social support, and attachment style with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7(7), 1033-1040. 

  28. J. S. Park, Y. J. Kim, Y. S. Ryu & M. H. Park. (2018).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18(1), 30-39. 

  29. S. H. Choi & Y. W. Lee. (2016). Influencing factors for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1), 499-509. 

  30. S. Folkman & R. S. Lazaru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 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19-239. 

  31. J. H. Kim & J. H. Lee. (1985). Components of stress coping method and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The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7, 127-138. 

  32. E. S. Choi. (1992). The esffects of pre and post operative education with both wives and husbands on the women's adaptation undergoing a hysterectomy.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4, 109-136. 

  33. S. N. Kim. (1999).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1), 161-173. 

  34. L. G. Calhoun, A. Cann, R. G. Tedeschi & J. McMillan. (2000).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3(3), 521-527. 

  35. S. Y. Shin & N. W. Chung (2009).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Rumin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3(2), 217-235. 

  36. S. H. Song, H. S. Lee, J. H. Park & K. H. Kim. (200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1), 193-214. 

  37. J. H. Park, Y. S. Jung & Y. M. Jung. (2016).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of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3), 454-462. 

  38. M. J. Cordova, J. Giese-Davis, M. Golant, C. Kronenwetter, C. Vickie & D. Spiegel. (2007). Breast cancer as trauma: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14(4), 308-319. DOI: 10.1007/s10880-007-9083-6 

  39. M. J. Schroevers, V. S. Helgeson, R. Sanderman & A. V. Ranchor. (2010). Type of social support matters for predic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19, 46-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