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EFL 학습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대학 온라인 강의의 효율성 연구
The Efficacy of Online Lectures in University an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for EFL Learn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3, 2020년, pp.225 - 231  

김혜정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20년 코로나 사태로 맞이하게 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추어 본 연구는 영어 독해 수업을 기반으로 온라인 강의의 효율성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해 봄으로써 장차의 온라인 강의의 나아갈 방향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1학년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로 영어 독해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강의는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의 온라인 강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수업 정보에 대한 재미, 주제의 다양성, 인터넷 사용의 용이성 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강의의 개선할 점으로는 출석체크 인증 오류나 강의 동영상의 불안정한 재생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이 제시되었다. 온라인 강의는 시공간의 제약 초월, 학습자 중심의 자유성 극대화, 자기 주도적 학습, 개인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 대면 강의에 익숙한 교수자들은 온라인 강의가 선택 사항이 아닌 시대적 변화에 맞는 필수적인 과정임을 인지해야 하며 이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icacy of online lectures conducted by most universities in 2020 in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students' opinions regarding online lectures, thereby assessing the possible direction that future online lectures could take. This 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쉽게 진정되고 있지 않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이어지는 다음 학기에도 온라인 수업이 강행될 경우에 대비해, 1학기에 갑작스럽게 이루어졌던 교양 영어 과목의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과 학습자들이 이에 대해 가지는 의견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2020년 1학기 교양 영어 독해 수업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강의를 통해 온라인 수업이 독해 학습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들이 온라인 수업에 대해 느끼는 생각과 의견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장차의 교양 영어 온라인 수업의 방향에 좋은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가 독해 학습에 미치는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반인 A반과 B반 모두에게 두 차례에 걸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개반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각 반의 1차와 2차 테스트 결과를 각 반별로 비교하여 주어진 기간 동안 온라인 강의를 통해 독해 학습의 증진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고 먼저 A집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교양 영어 수업으로 일주일에 75분짜리 수업이 두 번 있는 블록제 수업이다.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대면 수업을 대체하는 온라인 강의와 이와 관련된 과제나 퀴즈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실험반으로만 두 개 반을 임의로 설정하여 A반, B반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가 독해 학습에 미치는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반인 A반과 B반 모두에게 두 차례에 걸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개반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각 반의 1차와 2차 테스트 결과를 각 반별로 비교하여 주어진 기간 동안 온라인 강의를 통해 독해 학습의 증진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가 영어 독해 학습에 미치는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므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학습자들이 온라인 강의에 적응하며 이를 통해 학습의 효과를 얻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반과 B반 모두 1차와 2차 테스트를 각 반별로 실시하였으며 1차는 8주차 수업에서, 2차 테스트는 14주차 수업에서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의 효율성과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연구 절차는 모두 온라인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수업은 온라인 강의실에 그 주의 학습 내용에 관한 녹화 동영상이 탑재되었다.
  • 2020년 1학기에 많은 대학들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강좌를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는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에게 새로운 경험이고 새로운 도전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직면하여 대학 현장에서 맞이하게 된 온라인 수업의 실효성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2014년 산업통상자원부 통계를 기반으로 살펴보면 그 당시 초·중·고등학생들의 e-learning 이용률이 8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급작스럽게 실시되었던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실질적 효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어 독해 수업을 기반으로 온라인 강의의 효율성을 고찰하고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과 생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급작스럽게 실시되었던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실질적 효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어 독해 수업을 기반으로 온라인 강의의 효율성을 고찰하고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과 생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학교 1학년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온라인 강의를 실시한 두 개 반 모두 주어진 기간 동안 온라인 강의를 통해 영어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갑작스러운 코로나 사태라는 사회적 이유로 온라인 강의를 수행해야 했던 학습자들에게 온라인 강의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수업 15주차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솔직한 의견을 분석하여 장차의 온라인 강의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수업에 관련된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공식적으로 대학 교육이 전면적인 온라인 수업을 표방한 것은 코로나 사태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모색 방안이었지만, 실질적으로 온라인 수업은 이미 활발히 진행 되어 오고 있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 또한 활발히 이어져 오고 있다. 온·오프라인 창의성 강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대학 교양강좌로서 온라인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발표되기도 하였으며[5], 온라인 교육이 비대면 교육에 비해 수업 내용과 수업의 효과성 측면에서 전혀 뒤지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6] 또한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실제 수업 과정에 적용한 연구에 따르면[7] 인터넷 방송을 이용한 수업이 실질적인 학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고 입증하였다. 따라서 대학에서의 온라인 강의에 대한 효율성을 고찰해 보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라 판단된다.
온라인 강의의 수많은 장점 중 무엇보다 가장 꼽을 수 있는 장점은? 온라인 강의의 수많은 장점 중 무엇보다 가장 꼽을 수 있는 장점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반드시 교실이라는 같은 공간을 공유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하고 이를 통해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교육 기회를 확장시킬 수 있다.
코로나 19 사태로 교육방식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무엇보다 모든 학교 기관들은 대면수업을 지양하고 온라인 수업을 그 대안책으로 실시하였다. 많은 초·중·고등학교는 EBS 수업을 활용하거나 온라인 화상 수업을 실시하였고, 대학교 또한 실험 수업이 아닌 한은 최대한 비대면 수업을 원칙으로 하였다. 코로나 사태가 과학적으로 안전하다고 검증되기 전까지 이러한 양상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ee Jin, Park. The world is in the middle of an educational revolution... Why are you so excited about online education? EnEduInNews. Retrieved from https://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087, 2019. 

  2. Mun Sang, Jang. Looking forward to developing online classes with Covid-19. Korea University Newspaper. Retrieved from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27616, 2020. 

  3. In Suk, Le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cyber education system. Understanding cyber education (pp. 117-13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1. 

  4. Sook Hi, Kang. An exami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realtime and non-realtime cyber less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19, No.3, pp. 231-259, 2003. 

  5. Eun I, Jeong. Explor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reativity instruction as a general college course.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9, No.3, pp. 29-61, 2008. 

  6. Joo Hyun, Ha, Nam Jae, Cho. The effects of computer based creativity train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6, No. 1, pp. 229-253, 2002. 

  7. Gi Bok, Kim, Chi Ho, Lin. An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for the ICT applied instruc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Webcasting, Internet 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 Vol, 3. No. 1, pp. 91-102, 2003. 

  8. Sang Soo, Lee, Hee Ok, Heo. Collaborative reflection strategies for self-motivating in a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environment.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Vol. 8, No. 4, pp. 5-31, 2002. 

  9. Seong Ik, Park, Yeon Kyoung, Kim. An inquiry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flow factors,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4, No. 1, pp. 93-11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