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leep quality amo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6 no.3, 2020년, pp.281 - 289  

배은숙 (김해대학교 간호학과) ,  강혜승 (구미대학교 간호학과) ,  이하나 (동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leep quality amo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95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인문계 고등학생의 과도한 학업과 진로에 대한 불안으로 인한 스트레스 대처 방안과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인문계 고등학생의 과도한 학업과 진로에 대한 불안으로 인한 스트레스 대처 방안과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이에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고, 심리·정서적으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주어진 학습과제 수행에 필요한 행위를 조직하거나 실행하고 조절하며 학습자가 경험하는 자신감이다(Sharma & Nasa, 2014).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을 때 건강 관련 증상으로 이어져 수면부족을 경험하였다(Park et al.
고등학생은 무엇으로 인해 학업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가? 고등학생은 학업에 대한 과도한 부담, 진로에 대한 불안과 학업실패의 두려움 등으로 인해 학업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Krishan, 2014). 하지만 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스트레스 방어 기제가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학업 스트레스는 학교생활 부적응, 학업능력 저하, 위축, 무기력, 우울 등이 야기되어 자살 등의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Choi, 2014).
학업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 질과 관련한 국외 연구는 어떤 결과를 보여주는가? 학업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 질의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국내연구에서는 학업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학업 동기가 부족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아져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게 되고(Min, 2015), 반면 학업 스트레스가 줄어들면 학업성취 수준이 높아지고, 수면의 질은 높아졌다(Kim & Yoon, 2013). 국외연구에서는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그날 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쳤고, 전날 수면의 질이 다음 날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Brink et al., 2019). 즉, 학기 전반에 걸쳐 누적된 학업 스트레스와 낮은 자기효능감은 수면의 질이 낮아짐을 보여주었다.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그날의 수면의 질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변수이며, 세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C. Y., Kim, E. Y., Hong, J. Y., Kim, H. S., & Lee, M. S. (2017). Related factors of sleep quality among som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8(1), 43-56. 

  2. Bong, M. M., Kim, S. I., Johnmarshall, R., Im, H. J., Lee, W. G., Kim, J. H., et al. (2012). Academic self-efficacy. Retrieved from The Brain and Motivation Research Institute website: http://bmri.korea.ac.kr/english/research/assessment_scales/list.html?idassessment 

  3. Brink, M. T., Lee. H. Y., Rachel, M., James, G., & David, Y. (2019). Stress, sleep, and coping self-efficacy in adolescents. Sleep Research Society, 42(Suppl 1), A102. https://doi.org/10.1093/sleep/zsz067.247 

  4. Choi, I. J. (2014).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0), 219-243. 

  5.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6. Jeong, J. D., & Kim, H. H. (2014). The causal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maternal variables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2(3), 75-83. 

  7. Jung, M. R., & Jeong, E. (2017).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2), 399-40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399 

  8. Jung, I. K., Kim, J. H., Ma, Y., & Seo, C. (2015).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in Chinese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6(2), 63-77. https://doi.org/10.6115/ijhe.2015.16.2.63 

  9. Kang, Y. J., Oh, S. H., & Hong, H. C.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 30-37. https://doi.org/10.7586/jkbns.2018.20.1.30 

  10. Kim, D. W. (2013).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counseling integrating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and academic motivation enhancement program.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7(3), 129-149. 

  11. Kim, G. H., & Yoon, H. S. (2013).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and n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4), 320-329. https://doi.org/10.12934/ jkpmhn.2013.22.4.320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Report of adolescent statistical 2019.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4490 

  13. Krishan, L. (2014). Academic stress among adolescent in relation to intellegence and demographic factors. America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5(1), 123-129. 

  14. Lee, J. S., Kim, K. T., & Cho, Y. W. (2019). Sleep and academic performance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37(3), 262-268. https://doi.org/10.17340/jkna.2019.3.3 

  15. Min, K. S. (2015). The relationships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depression among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Therapy, 7(1), 5-31. 

  16.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3), 563-572. https://doi.org/10.4040/jkan.1998.28.3.563 

  17. Oh, M. H., & Cheon, S. M. (1994). Analysis of academic stressors and symptoms of juveniles and effects of meditation training on academic stress reduction.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15(1), 63-96. 

  18. Pascoe, M. C., Hetrick, S. E., & Parker, A. G. (2020). The impact of stress on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and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ce and Youth, 25(1), 104-112. https://doi.org/10.1080/02673843.2019.1596823 

  19. Park, M. S., Choi, M. N., Lee, H. K., & Lee, M. H. (2015). Quality of sleep and heart rate variability by physical activity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1(3), 195-203. https://doi.org/10.4094/chnr.2015.21.3.195 

  20. Rhie, S. K., & Chae, K. Y. (2013). Impact of sleep duration on emotional statu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21(3), 100-110. https://doi.org/10.4172/2167-1044.1000138 

  21. Rho, W. J., Yang, Y., & Park, Y. S. (2007).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 on the school life. Stress Research, 15(1), 59-66. 

  22. Seon, H. Y., & Oh, J. H. (2013).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rel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nd academic stres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4(1), 197-212. https://doi.org/10.15753/aje.2013.14.1.008 

  23. Sharma, H. L., & Nasa, G. (2014). Academic self-efficacy: A reliable predictor of educational performance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2(3), 57-64. 

  24. Snyder-Halpern, R., & Verran, J. A. (1987).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0(1), 155-163. https://doi.org/10.1002/nur.4770100307 

  25. Van schalkwijk, F. J., Blessinga A. N., Willemen, A. M., Van der werf Y. D., & Schuengel Carlo. (2015).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effects of stress on sleep in adolescents. Journal of Sleep Research, 24(1), 407-413. 

  26. Yan, Y. W., Lin, R. M., Su, Y. K., & Liu, M. Y.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cademic stress and sleep quality: A multiple mediation model.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6(1), 63-78. https://doi.org/10.2224/sbp.6530 

  27. Yoo, C. M. (2019). Classifying the sleep duration trajectories in Korean adolescen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9(1), 230-258. https://doi.org/10.15709/hswr.2019.39.1.230 

  28. Yoon, Y. J., & Jung, I. K. (2014).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the academic burnout of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5(2), 219-232. https://doi.org/10.7856/kjcls.2014.25.2.219 

  29. Yun, H. J. (2016). Effect of stress and sleep quality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9(2), 98-106. https://doi.org/10.15434/kssh.2016.29.2.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