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수면의 질과 체질량지수의 관계: 신체활동, 식습관 및 학업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Body Mass Index of Adolesc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Dietary Habit, and Academic Stress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3 no.1, 2019년, pp.85 - 97  

장미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  오수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김희순 (한국간호교육평가원) ,  신현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dietary habit, and academic stres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quality of sleep and body mass index (BMI).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1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의 질과 체질량지수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 신체활동, 식습관 및 학업 스트레스의 영향을 규명하고, 성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청소년의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의 질과 체질량지수 간의 관계에서 신체활동, 식습관 및 학업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의 질과 체질량지수 간의 관계에서 신체활동, 식습관 및 학업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정상 범위였으나 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의 질과 체질량지수의 관계에서 다양한 매개 및 조절 변수들의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청소년의 비만 예방 및 중재를 위한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수면의 질, 신체활동, 식습관, 학업 스트레스와 체질량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면의 질과 체질량지수 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다음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갖는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수면의 질이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라는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주로 신체활동 및 식습관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아동 비만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Song, Yang,& Choi, 2018)에서 벗어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포함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수면의 질이 신체활동, 식습관 및 학업 스트레스를 통하 여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며, 수면의 질과 체질량지수 간의 관계에서 성별이 조절효과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여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도출하였다(Figure 1).
  • 이와 같이 청소년의 수면과 신체활동, 식습관 및 학업 스트레스는 밀접한 연관을 보이며 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차적으로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수면과 비만 간의 관계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가정해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이들 간의 단편적인 관계만을 규명한 것으로 요인 간의 복잡한 관계를 통합적으로 고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그 결과 또한 일관되지 않았다.
  • ∙가설 2. 청소년의 수면의 질은 신체활동, 식습관 및 학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청소년의 수면의 질은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청소년의 신체활동, 식습관 및 학업 스트레스는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란? 청소년기는 여러 가지 신체, 심리, 인지, 사회적 변화를 겪는 시기로, 수면양상 역시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되어 이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Kim,Moon, & Lee, 2014). 특히 국내 청소년의 경우 주간 평균 수면시간은 6시간 10분(Ministry of Educationet al.
성별에 따라 아동의 수면과 비만 간의 관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아동의 수면과 비만 간의 관계에 대한 국외 연구에서는 두 변수 간 관계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강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Carrillo-Larco, Bernabé-Ortiz, & Miranda, 2014;Chen, Beydoun, & Wang, 2008).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환경적 스트레스원에 더 강하기 때문에 수면 부족을 느끼기 위해서는 남성보다 더 많은 수면 박탈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Carrillo-Larco et al., 2014;Chen et al.
수면부족이 비만 발생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수면이 어떠한 기전을 통해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체활동 및 식습관을 매개로 하는 가설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수면이 부족할 경우 발생하게 되는 피로감은 신체활동 저하를 일으키고, 수면 박탈로 인한 혈중 렙틴(leptin)분비 감소 및 그렐린(ghrelin) 분비의 증가와 깨어있는 시간 증가에 따른 음식 섭취 기회 증가는 열량 섭취를 증가시켜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Sivertsen, Pallesen, Sand, & Hysing, 2014에 인용됨). 이에 따라 수면과 체질량지수 간의 관계에서 신체활동 및 식습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나(Wu, Nguyen, Balachandran, Lu, &McNeill, 2019) 일부 연구에서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Timmerman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 B. G., & Park, S. M.(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stres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2), 563-585. 

  2. Bidulescu, A., Din-Dzietham, R., Coverson, D. L., Chen, Z., Meng, Y. X., Buxbaum, S. G., et al.. (2010). Interaction of sleep quality and psychosocial stress on obesity in African Americans: the Cardiovascular Health Epidemiology Study (CHES). BMC Public Health, 10, 581. http://dx.doi.org/10.1186/1471-2458-10-581 

  3. Carrillo-Larco, R. M., Bernabe-Ortiz, A., & Miranda, J. J. (2014). Short sleep duration and childhood obesity: cross-sectional analysis in Peru and patterns in four developing countries. PLoS One, 9(11), e112433.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12433 

  4. Chen, X., Beydoun, M. A., & Wang, Y. (2008). Is sleep duration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esity, 16(2), 265-274. http://dx.doi.org/10.1038/oby.2007.63 

  5. Cho, K. H., Cho, E. H., Hur, J. G., & Shin, D. Y. (2018).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obesity according to gender and age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5.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3(53), e345. http://dx.doi.org/10.3346/jkms.2018.33.e345 

  6. Choi, D. W. (2015).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429-437, https://doi.org/10.5762/KAIS.2015.16.1.429 

  7. Choi, I. J., Lee, K. B., Kim, C. S., & Kim, J. H. (2010). Comparative Study on adolescents health in gender and school level.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8.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Retrieved May 13, 2018. from http://www.personal.psu.edu/jxb14/M554/specreg/templates.pdf 

  9. Hirshkowitz, M., Whiton, K., Albert, S. M., Alessi, C., Bruni, O., DonCarlos, L., et al. (2015). National Sleep Foundation's sleep time duration recommendations: methodology and results summary. Sleep Health, 1(1), 40-43. https://doi.org/10.1016/j.sleh.2014.12.010 

  10. Hur, W. M. (2013). How researchers estimate indirect effect using bootstrapping : The case of simple, multiple, and double mediation. Korean Business Review, 6(3), 43-59. 

  11. Jwa, H. S. (2014).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Moderating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2), 334-366. https://doi.org/10.15709/hswr.2014.34.2.334 

  12. Kim, H. S., Lee, Y. J., Kwon, I. S., Kim, H. M., Jeon, E. K., Koh, M. R., et al. (2010). Child healthcare services. Seou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13. Kim, J. H., Moon, H. S., & Lee, H. W. (2014). Sleep pattern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ir perceptions of their own sleep. Journal of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11(1), 21-32. https://doi.org/10.13078/jksrs.14005 

  14. Kim, M. J., Shin, J. H., Song, K. I., Kim, C. S., Lee, M. S., & Jeong, U. H. (2015). Related-factors of sleep quality among some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5(3, suppl. 2), 895-900. 

  15. Kwon, M., & Lee, J. H. (2017). Physical activity and suicidal thoughts in male and demal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30(3), 325-335. https://doi.org/10.15434/kssh.2017.30.3.325 

  16. Lee, B. I. (2015).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body mass index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5(1), 16-23 http://dx.doi.org/10.15384/kjhp.2015.15.1.16 

  17.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8. Oh, J. Y., Yang, Y. J., Kim, B. S., & Kang, J. H.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7), 532-541. 

  19. Park, H. S., Kim, G. D., Kim, K. H., & Chung, B. Y. (2000). Comparison of quality of sleep and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on sleep among adolescents, adults an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4), 429-439. 

  20. Park, K. Y. (2011). Breakfast and health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14(4), 340-349. http://dx.doi.org/10.5223/kjpgn.2011.14.4.340 

  21. Pervanidou, P., & Chrousos, G. P. (2012). Metabolic consequences of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Metabolism, 61(5), 611-619. https://doi.org/10.1016/j.metabol.2011.10.005 

  22. Ra, J. S., & Cho, Y. H. (2014). Combined influence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2). 241-257. https://doi.org/10.5932/JKPHN.2014.28.2.241 

  23. Seong, J. H., & Choi, Y. H. (2013). Effects of the traditional play-centered obesity control program for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theor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513-526.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513 

  24. Song, H. Y., Yang, S. J., & Choi, Y. (2018).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dietary and exercise intervention effects of obesi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2(2), 194-207. http://dx.doi.org/10.5932/JKPHN.2018.32.2.194 

  25. Sivertsen, B. Pallesen, S. Sand, L., & Hysing, M. (2014). Sleep and body mass index in adolescence: results from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of Norwegian adolescents aged 16 to 19 years. BMC Pediatrics, 14, 204. http://dx.doi.org/10.1186/1471-2431-14-204 

  26. Sohn, S. I., Kim, D. H., Lee, M. Y., & Cho, Y. W.(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 breathing, 16(3), 803-812. http://dx.doi.org/10.1007/s11325-011-0579-9 

  27. Timmermans, M., Mackenbach, J. D., Charreire, H., Bardos, H., Compernolle, S., De Bourdeaudhuij, I., et al. (2017).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energy balance-related behaviour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obesity in European adults. The SPOTLIGHT project. Preventive Medicine, 100, 25-32. http://dx.doi.org/10.1016/j.ypmed.2017.03.021 

  28. Umairah, S. N., Yahya, B. T., Datin, M., & Yusof, S. (2012).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pattern and body mass index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Asi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4(4), 142-150. https://doi.org/10.3923/ajcn.2012.142.150 

  29. Wu, I. H. C., Nguyen, N. Balachandran, D. D., Lu, Q., & McNeill, L. H. (2019). Sleep and obesity: the mediating role of health behaviors among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the National Sleep Foundation, 5(2), 193-200. https://doi.org/10.1016/j.sleh.2018.12.005 

  30. Wu J, Wu H, Wang J, Guo L, Deng X, & Lu C. (2015). Associations between sleep duration and overweight/obesity: Results from 66,817 Chinese adolescents. Scientific Reports, 5, 16686. https://doi.org/10.1038/srep1668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