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역량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e on Safety Nursing Activity among Nurses working in Anesthetic and Recovery Room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2, 2020년, pp.164 - 174  

김진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정향미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among nurses in anesthetic and recovery room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safety nursing activity.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마취 · 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역량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수술 환자의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마취 · 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역량 및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역량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마취 ․ 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 역량과 안전간호활동의 관계 및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취 · 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 간의 관계,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취와 회복과정 중 일어날 수 있는 환자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마취와 회복과정 중 일어날 수 있는 환자안전사고는 마취 약제, 환자의 순환 및 호흡관리, 환자확인, 환자이송, 안전경보 피로, 통증, 각성 섬망, 간호사 인력 등의 요인으로 발생된다[2]. 이러한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가 수술실에 입실해서 마취 상태에서 수술을 받고 회복실로 옮겨진 후 병실로 퇴실하기까지 집중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마취 ․ 회복실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안전간호활동은 무엇인가? 안전간호활동은 의료서비스 전달과정 중 발생하거나 발생 가능한 문제를 찾아내어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체계적인 활동이며[4], 안전간호활동을 적용하고 효과를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5]. 선행연구에서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환자안전문화[6], 환자안전역량[7] 등이 보고되고 있다.
환자안전문화는 환자안전의 가장 기본적인 방안 중 하나인데 이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무슨 결과로 나타나는가? 환자안전문화는 환자안전의 가장 기본적인 방안 중 하나이며, 고위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조직의 안전한 관리, 개인의 오류나 근접오류를 보고할 수 있는 비난 없는 환경, 환자안전문제 해결책 모색을 위한 협력과 조직적 헌신을 포함한다[4]. 병원 조직의 환자안전문화 조성은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하며[8],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는 부작용 발생률 감소와 욕창, 낙상 등의 환자안전사고를 줄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또한 안전간호활동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안전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7], 환자안전역량은 높은 수준의 의료 질과 안전을 요구하는 의료 환경을 위해 간호사가 갖추어야할 지식, 기술, 태도를 말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World Health Organization. Patient safety Fact file [Internet]. Geneve(C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cited 2018 Nov 24].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features/factfiles/patient_safety/en/. 

  2. Luckowski A. Safety priorities in the PACU. Nursing. 2019;49(4):62-65. https://doi.org/10.1097/01.NURSE.0000554246.74635.e0 

  3. Falk-Brynhildsen K, Jaensson M, Gillespie BM, Nilsson U. Swedish operating room nurses and nurse anesthetists'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self-efficacy. Journal of Peri- Anesthesia Nursing. 2019;34(4):842-850. https://doi.org/10.1016/j.jopan.2018.09.015 

  4.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Patient safety [Internet].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8 [cited 2018 Aug 28]. Available from https://www.ahrq.gov/sites/default/files/wysiwyg/sop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culture/2018hospitalsopsreport.pdf. 

  5. Paik YA, Kim YG.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ion Nursing. 2018;21(1):51-59. https://doi.org/10.7587/kjrehn.2018.51 

  6. Han MY, Jung MS. Effect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127-138.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27 

  7. Chai WR.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7. p. 1-80. 

  8. Kim JE, Kang MA, An KE, Sung YH.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169-179. 

  9. Xie J, Ding S, Zhong Z, Zeng S, Qin C, Yi Q, et al. Clinical education: a safety culture training program enhanced the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 manager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7;27:128-133. https://doi.org/10.1016/j.nepr.2017.08.003 

  10. Jang HN.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patient safety competence assessment tool: survey for nurses[master's thesis]. Seoul:Seoul University; 2013. p. 1-86. 

  11. Aspden P, Corrigan JM, Wolcott J, Erickson SM. Patient safety: achieving a new standard for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4. 

  12. Song EJ, Park YS, Ji HS, Lee HK. Factors affecting on the clinical nurse's safety nursing activ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11):469-479.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469 

  13. Park MY, Kim EA.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performance in hospital managerial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 (1):40-50.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40 

  14. Lee SH, Lee YH.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6;18(4):2215-2229. 

  15. Kim MJ, Kim JK.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10):268-279.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268 

  16. Park MM, Kim SH. The effect of operating room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perception of teamwork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16(6):271-281. https://doi.org/eproxy.pusan.ac.kr/10.14400/JDC.2018.16.6.271 

  17. Lee SG.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urvey instrument for hospitals [dissertation]. Seoul:Chung-Ang University; 2015. p. 1-142. 

  18. Lee NJ, Jang HN.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ies. In: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Congress on Nursing Informatics; 2012 Jun 23-27; Montreal, Quebec, Canada: The Congress; c2012. 

  19. Lee GO. Th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9. p. 1-50. 

  20. Ahn SA, Lee NJ. The effect of operating room nursing and medical staff teamwork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performance of surgical patient safety protocol.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6;9(1):27-39. 

  21. Lee SS, Choi HR. Convergence influences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n patient safety cultu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9;17(2):231-241. https://doi.org/10.14400/JDC.2019.17.2.231 

  22. Seo MR, Chung KH.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 8(8):51-61.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8.006 

  23. Cha BK, Choi J.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4):405-416.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405 

  24. Son YS, Lee YW, Kim YS, Song EJ, Lee HR, Lee J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performance level of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8;24(2):190-200.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2.190 

  25. Kim SI, Ha JY. The influence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elf-leadership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of nurse. Asia -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12):721-730.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12.069 

  26. Kang YK, Kim KM, Kim YY, Park HO, Seo KH, Song SN, et al. Analysis of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nurses's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1):63-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