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촌 소멸위험의 영향 요인 분석
The Analysis about Factors Affecting of Extinction Risk in Fishing Village 원문보기

水産經營論集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51 no.1, 2020년, pp.67 - 79  

이서구 (한국어촌어항공단 어촌본부 어촌개발팀) ,  김정태 (공주대학교 지역사회개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licy improvement plan by analysis of the extinction risk factor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fishing villages, fishing village support policies, and settlement conditions of fishing villages as one of the solutions to the immediate problem of fishing v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 연구는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공간적 분석대상을 차별화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는 시ㆍ군ㆍ구 단위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소멸위험 정도를 제시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어촌소멸이라는 당면한 문제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어촌의 특수성, 어촌 지원정책, 어촌의 정주여건 등을 반영한 주 소멸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소멸위험지수>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어촌계 수>, <어항 수>, <귀촌인 수>,<재정자립도>, <빈집비율>, <주택공급율>, <노후주택비율>의 7개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어촌소멸이라는 당면한 문제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어촌의 특수성, 지원정책, 정주여건 등을 반영한 주 소멸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산업·어촌발전기본법」에서 정의10)한 어촌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촌에서 수도권과 광역시의 대도시로 인구 이동이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촌은 일자리 감소, 열악한 정주여건, 도시와 비교한 상대적인 삶의 질 저하 등의 이유로 수도권과 광역시의 대도시로 인구이동이 심화됨에 따라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문화, 복지, 의료 등 공공인프라 측면에서 열악한 환경에 있어 어촌소멸 위험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추계를 통한 소멸위험지수를 산정한 선행연구에서 발표한 결과는 무엇인가? 실제 인구추계를 통한 소멸위험지수를 산정한 박상우 등의 연구에서 이 사실을 방증한다. 박상우 등의 연구에서는 전체 어촌의 84.2%가 2045년에는 소멸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를 발표하였고, 해양수산부의 ‘제3차 어촌·어항 발전기본계획(2020~2024)’에서는 어촌지역 492개 중 284개(58%)를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외에도 소멸위험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있다.
어촌이 다원적 공간으로서 가지는 공익적 기능은 무엇인가? 어촌이라는 공간은 수산물의 생산 공간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다원적 공간으로서 공익적 가능을 가지고 있다. 국민의 주 단백질 공급원(1인당 연 59.9kg 소비)이며, 국제적으로는 국토의 실효적 지배를 통한 해양영토 주권을 행사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또한 낚시 등을 통한 레저, 휴양, 힐링의 장소 제공 등의 기능을 담당하며 국민의 여가공간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에 어촌은 우리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고 유지ㆍ존속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미나.김근용.김혜승.김은란.임은선 (2017), 인구감소시대 빈집 문제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 김성록.김두순 (2018), "농촌 지역 빈집 발생의 영향 요인", 지적과 국토정보, 48 (2), 65-77. 

  3. 김원규.황원식 (2017), 저출산.고령화의 경제적 영향분석과 정책시사점, 산업연구원. 

  4. 박상우.류정곤.황재희.이상규 (2018), 인구소멸 시대의 어촌사회 정책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5. 박승규.이제연 (2017), 인구감소지역의 지정기준과 시뮬레이션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6. 박진경.김선기 (2017), 인구감소시대의 지역발전정책 방향과 추진체계, 한국지방행정연구원. 

  7. 이병기 (2017), 인구감소에 따른 기초자치단체의 지속가능성 강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8. 이상호 (2018), 한국의 지방소멸 2018, 한국고용정보원. 

  9. 이서구.김정태 (2019), "어촌뉴딜 300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수산경영론집, 50 (3), 73-86. 

  10. 이서구 (2019), "공유경제를 기반으로 한 어촌민박 활성화 모델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44, 129-156. 

  11. 이제연.박진경.양원탁 (2016), 섬의 인구변화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2. 정성호 (2019a), "강원도 인구변화와 지역소멸 위험", 사회과학연구, 58 (1), 3-22. 

  13. 정성호 (2019b), "지방소멸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지역사회학, 20 (3), 5-28. 

  14. 하동현 (2017), "인구감소시대의 지역활성화와 지방분권-일본의 지방소멸론과 지방창생을 소재로", 한국지방행정학보, 14 (3), 1-27. 

  15. 해양수산부 (2019), 제3차 어촌.어항 발전기본계획(2020-2024). 

  16. 小田切?美 (2014), 農山村は消滅しない, 岩波新書. 

  17. 大野晃 (2008), 限界集落と地域再生, ?岡新聞社. 

  18. 藤波 匠 (2016), 人口減が地方を强くする, 日?プレミアシリ?ズ. 

  19. ?田 ?也 (2014), 地方消滅: 東京一極集中が招く人口急減, 中公新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