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 도시락의 식단형태별, 가격대별, 편의점 브랜드별 영양성분 함량 평가
Evaluation of Nutritional Content in Convenience Store Lunchboxes by Meal Type, Price, and Store Brand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4, 2020년, pp.280 - 290  

박진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한영희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nu and nutritional contents of convenience store lunchboxes, and evaluated the nutritional content by meal type, price, and store brand. Methods: In September 2019, 93 convenience store lunchboxes from the top five franchise stores were purchased. Relevan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의점 도시락의 식단을 조사하여 2016년 조사에 비해 식품군의 다양성이나 조리방법이 개선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영양성분 함량을 조사하여 식단형태별, 가격대별, 편의점 브랜드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락에서 제공되는 영양성분을 1일 영양성분기준치[14]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15]의 권장사항과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편의점 도시락이란 편의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일반 도시락(프리미엄이나 저열량이 아닌 도시락)을 의미하며, 분석한 도시락은 밥을 주식으로 제공하는 도시락으로 한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도시락의 식단과 영양성분의 함량을 조사하고, 식단형태별, 가격대별, 편의점 브랜드별로 영양성분 함량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1일 영양성분 기준치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사항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국내 프랜차이즈 편의점 중 점포수를 기준으로 상위 5곳의 매장에서 2019년 9월 판매되고 있는 밥을 주식으로 제공하는 도시락을 구입하여 표시 정보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의점 도시락의 식단을 조사하여 2016년 조사에 비해 식품군의 다양성이나 조리방법이 개선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영양성분 함량을 조사하여 식단형태별, 가격대별, 편의점 브랜드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락에서 제공되는 영양성분을 1일 영양성분기준치[14]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15]의 권장사항과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 도시락의 종류는 밥과 반찬으로 구성된 정식류와 덮밥, 볶음밥, 비빔밥 등의 일품음식류로 분류하였고, 반찬 가짓수를 조사하였다. 편의점 도시락의 각 반찬의 식품의 종류와 조리방법은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정보를 보고 실제 섭취하면서 확인하였다. 각 도시락에 제공된 모든 식품의 종류를 기록하였으며, 일부 극소량(5 g 미만) 제공된 파슬리가루, 양배추 조각 등만을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락이란 무엇인가? 도시락이란 ‘집에서 만들어서 학교 또는 직장 등 집 밖으로 들고 가서 먹는 점심 또는 점심을 담는 그릇’을 의미하였으나 학교급식과 직장에서의 단체급식이 확대되면서 집에서 만드는 도시락은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이제는 즉석섭취식품(ready-to-eat meals)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도시락을 만들어 배달하는 소규모의 업체는 1979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고[1], 1986년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서 운영위원과 자원봉사자들에게 도시락을 제공하면서 도시락 시장은 성장하기 시작하였다[2].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도시락을 1일 영양성분 기준치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권장사항과 비교하여 평가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도시락 93개의 평균 가격은 4,275원, 평균 열량은 736.6 kcal이었으며,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은 1일 기준치의 40%이상이었고, 나트륨은 1일 기준치의 66.8%이었다. 식단형태별로는 정식류가 일품음식류보다 좀 더 다양한 식품과 조리방법으로 식단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가격, 내용량과 대부분의 영양성분 함량이 더 높았다. 정식류 도시락 중에서 총에너지 대비 각 영양성분이 제공하는 에너지 비율이 적절한 도시락 분율은 탄수화물의 경우 38.0%, 단백질 91.6%, 지방 47.9%이었으며, 일품음식류 도시락은 탄수화물 31.8%, 단백질 100.0%, 지방 59.1%이었다. 나트륨의 경우 정식류의 97.2%, 일품음식류의 90.9%가 1일 목표섭취량의 ⅓ 이상을 제공하고 있었다.
편의점 도시락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은 무엇인가?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 중 주 1회 이상 섭취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22.9%이었으며, 편의점 도시락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을 다중 응답으로 분석한 결과는 맛(58%), 가격(53%), 위생/안전성(42%) 순이었고, 영양성분 함량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8.5%에 불과하였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ang JM. The history of Korean lunchbox: From 'the lunchbox of Lee Wan-yong' to 'the lunchbox of Lee Myung-bak'. Inmulgwasasang 2008; 9: 173-207. 

  2. Park HW, Koh HY, Park NH, Kang TS, Mo SM. Optimization of the Korean packaged meal (Dosirak) production facilities for food service delivered long distance. Korean J Dietary Culture 1988; 3(1): 89-93.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Enforcement Decree of the Food Sanitation Act (Presidential Decree No. 12000, 1986 November 11, whole amendment)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986 [cited 2020 Jul 28].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21646&ancYd19861111&ancNo12000&efYd19861111&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 

  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Status of processed food market segment: lunchbox market [Internet]. Korea Agro- 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6 [cited 2020 Jul 3].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2458&page&searchKey&searchString&searchCategory. 

  5. Juhn SI. Convenience store sociology. Seoul: Minumsa; 2014. p. 42. 

  6. Kim BR. Lunchbox fights for 1 trillion won: A big match of convenience store vs Hansot.Bon [Internet]. Korea Economic Daily; 2019 [cited 2020 Jul 29]. Available from: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110307681. 

  7. Embrain Trend Monitor. A survey of use and recognition of (convenience store) lunchbox [Internet]. Macromillembrain; 2016 [cited 2020 Jul 29]. Available from: https://www.trendmonitor.co.kr/tmweb/trend/allTrend/detail.do?bIdx1460&code0301&trendTypeCKOREA. 

  8. Hong MS, Kang HS, Myeong SH, Yoon DI. The effect of customer's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store box lunch on positive consumption emotion and customer loyalty. Food Serv Ind J 2017; 13(2): 29-44. 

  9. Jin YH, Kim SO. A study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store PB lunch box using IPA. Culin Sci Hosp Res 2017; 23(8): 17-26. 

  10. Kim JH, Kim YS, Jeon YJ. The effects of the convenience store lunch-box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J Tour Leis Res 2017; 29(7): 353-370. 

  11. Choi J, Park H, Song K, Kwon S, Lee Y. Menu evaluation of meal boxes sold in Korean convenience stores. J Food Nutr Res 2018; 6(1): 18-25. 

  12. Kim SY, Choi JY. The changing role of convenience stores in South Korea. Br Food J 2019; 121(7): 1642-1654.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Lunchbox: get conveniently and enjoy healthy eating. Results of a survey on sodium in commercially available lunchbox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cited 2020 Feb 29].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43480&srchFr&srchTo&srchWord%EB%8F%84%EC%8B%9C%EB%9D%BD&srchTp0&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Data_stts_gubunC9999&page1.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Enforcement rules of the act on labeling or advertising of foods (Prime Minister's Order No. 1535, Enacted on 2019 April 25)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cited 2020 Feb 27].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8516#0000.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16. Korea Fair Trade Commission. Franchise business transaction. Comparison between brands [Internet]. Korea Fair Trade Commission; 2019 [cited 2020 Jul 13]. Available from: https://franchise.ftc.go.kr/user/extra/main/70/firHope/listBrand/jsp/LayOutPage.do.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Labeling standards of foods, etc. (Notification No. 2020-1, 2020 January 3)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cited 2020 Feb 27].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211/view.do?seq14420. 

  18. Hansen RG.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1973; 31(1): 1-7. 

  19. Drewnowski A. Concept of a nutritious food: toward a nutrient density score. Am J Clin Nutr 2005; 82(4): 721-732. 

  20. Kim SY, Kim S. Recent surge of ready meals in South Korea: can they be healthy alternatives? Public Health Nutr 2020; 23(4): 711-720. 

  21. Christoforou AK, Dunford EK, Neal BC. Changes in the sodium content of Australian ready meals between 2008 and 2011. Asia Pac J Clin Nutr 2013; 22(1): 138-143. 

  22. Kanzler S, Hartmann C, Gruber A, Lammer G, Wagner KH. Salt as a public health challenge in continental European convenience and ready meals. Public Health Nutr 2014; 17(11): 2459-2466. 

  23. Remnant J, Adams J. The nutritional content and cost of supermarket ready-meals. Cross-sectional analysis. Appetite 2015; 92: 36-42. 

  24. Pongutta S, Chongwatpol P, Tantayapirak P, Vandevijvere S. Declara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on and nutritional quality of Thai ready-to-eat packaged food products. Public Health Nutr 2018; 21(8): 1409-1417. 

  25. Action on Salt. Ready meals survey [Internet]. Action on Salt; 2007 [cited 2020 Feb 26]. Available from: http://www.actiononsalt.org.uk/news/surveys/2007/ready/. 

  26. Kwon KL, Park SH, Lee JH, Kim JY, Yoo KS, Lee JS et al.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ing and claims on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2): 206-213. 

  2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Risk assessment of trans fat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6 [cited 2020 Feb 27]. Available from: http://www.nifds.go.kr/brd/m_271/view.do?seq10116. 

  28. van der Horst K, Brunner TA, Siegrist M. Ready-meal consumption: associations with weight status and cooking skills. Public Health Nutr 2011; 14(2): 239-245. 

  29. Alkerwi A, Crichton GE, Hebert JR. Consumption of readymade meals and increased risk of obesity: findings from the Observ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Luxembourg (ORISCAV-LUX) study. Br J Nutr 2015; 113(2): 270-277. 

  3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ck nutrition label of home meal replacements before you choose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cited 2020 Feb 27].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43964. 

  31. Kanzler S, Manschein M, Lammer G, Wagner KH. The nutrient composition of European ready meals: protein, fat, total carbohydrates and energy. Food Chem 2015; 172: 190-196. 

  32. Korea Consumer Agency. Results of sandwich quality test [Internet]. Korea Consumer Agency; 2019 [cited 2020 Feb 27]. Available from: https://www.kca.go.kr/home/sub.do?menukey4062&modeview&no10028536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