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판매 도시락 이용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Lunchbox by Dietary Lifestyl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4, 2020년, pp.267 - 279  

김효숙 (동국대학교-서울 교육대학원 조리교육전공) ,  허인준 (동국대학교-서울 대학원 가정학과) ,  이심열 (동국대학교-서울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lunchbox by considering the dietary lifestyle of the consumer, in order to refine the purchasing behavior of adults with experience in using lunchbox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menu configuration and direction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판매 도시락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는 다이어트 도시락, 편의점 도시락 등 극히 일부에서[16, 17]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판매 도시락에 대한 이용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진행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도시락 시장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생활라이프스타일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판매 도시락 이용과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도시락 시장에 효율적인 메뉴 구성과 개선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판매 도시락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판매 도시락 이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도시락 시장에 효율적인 메뉴 구성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세부적인 마케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이프스타일이란? 소비자 집단별 구매의 차이를 보다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소비자를 동질적인 세부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라이프스타일이란 사회 전체 혹은 사회 일부분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타인과 특징적으로 구별되는 생활의 양식을 말한다[6]. 식생활라이프는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된 기본적인 욕구반영, 음식의 구매 및 소비, 식사 방법, 외식 등 가치, 문화를 나타낸다[7].
도시락의 장점은? 최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 현상들에 의해 식생활 유형이 다양화가 되고 있으며, 특히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맞벌이 부부 증가와 1인 가구 증가, 편리 지향성 추구 등으로 인해 도시락 시장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도시락은 저렴하고 간단하게 한 끼의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현재 식생활 문화에 맞물리면서 도시락 전문점뿐만 아니라 편의점, 패밀리레스토랑도 판매 도시락을 출시하면서 활발한 도시락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1]. 특히 도시락 시장 형성 초기에는 대부분 단체급식 목적의 소규모 업체의 형태였으나 현재 도시락 시장은 전문업체가 생겨나고 대기업과 호텔까지도 판매 도시락 사업을 하면서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
판매 도시락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판매 도시락 이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도시락 시장에 효율적인 메뉴 구성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세부적인 마케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 조사대상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요인분석 결과 건강추구, 안전추구, 미각추구, 편의추구, 경제추구 총 5개로 나타났다. 세분화된 요인점수를 기초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자를 건강추구 집단, 안전추구 집단, 미각추구 집단, 편의추구 집단, 경제추구 집단 5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P < 0.001). 2.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연령분포를 보면 미각추구 집단의 경우 20대가 전체의 55.9%로 다른 유형에 비해 특히 높은 분포를 보인 반면 40대 이상 연령대 분포가 높은 유형으로는 건강추구 집단, 경제추구 집단, 안전추구 집단이 각각 45%, 40%, 35%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건강추구 집단의 경우 50대 이상 연령대 비율이 가장 높았다(P < 0.001). 미혼 비율이 높은 집단으로는 미각추구 집단과 편의추구 집단의 이 각각 77.5%, 63%로 다른 유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기혼의 비율이 특히 높은 집단으로는 건강추구집단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58.2%였다(P < 0.001). 직업분포를 보면, 미각추구 집단에서는 학생(28.8%)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안전추구 집단에서는 사무직(33.1%)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P < 0.01). 학력을 살펴보면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이 가장 많은 집단은 안전추구 집단과 편의추구 집단으로 각각 97.1%, 96.3%의 비율을 보여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3. 조사대상자의 도시락 제품 이용빈도는 주 2회 이상 자주 이용하는 경우가 편의추구 집단의 경우 31.5%, 안전추구 집단의 29.5%, 미각추구 집단의 28.8%, 경제추구 집단의 22.9%, 건강추구 집단이 18.5%였다. 미각추구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4,000원 미만의 저렴한 가격대의 도시락 이용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35.1%), 8,000원 이상의 도시락은 안전추구 집단(20.1%)과 건강추구 집단(17.8%)에서 상대적으로 이용도가 높았다(P < 0.05). 구매 도시락을 혼자 먹는 경우가 38.3%로 가장 많았고, 특히 건강추구 집단의 경우 혼자(29.5%)보다 직장 동료와 먹는 경우(33.6%)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미각추구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친구와 먹는 경우(21.9%)가 상대적으로 높았다(P < 0.05). 도시락 구매 시 중점 요인으로는 미각추구 집단의 경우 맛을 중점 요인으로 보는 비율(61.3%)이 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추구 집단에서는 재료의 신선도 요인(25.3%)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1). 4. 도시락 선호메뉴는 건강추구 집단의 경우 다른 집단과 달리 백미밥(24.7%)보다 잡곡밥(41.8%)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미각추구 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육류 선호비율(60.4%)이 높게 나타난 반면, 건강추구 집단에서는 생선/해산물(26.0%), 두류(12.3%)의 선호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1). 선호메뉴 구성을 보면, 건강추구 집단의 경우 밥과 반찬의 구성을 선호하는 비율(53.4%)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추구 집단에서는 단품메뉴 선호비율(26.0%)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 < 0.05). 도시락으로 선호하는 음식 종류로는 미각추구 집단은 유기농 자연식(22.5%)을 선호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안전추구 집단(25.2%), 건강추구 집단(26.0%)은 저염식을, 경제추구 집단은 채식(25.0%), 편의추구 집단은 저칼로리식(24.1%)을 선호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5. 도시락 만족도 점수는 5점 기준으로 미각추구 집단 3.20점, 안전추구집단 3.16점, 건강추구집단 3.11점, 경제추구 집단 3.11점, 편의추구 집단 3.1점으로 각 집단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점 미만의 낮은 만족도를 보인 항목으로는 ‘할인제공’(2.94), ‘제공열량’(2.94), ‘재료의 신선도’(2.93), ‘영양’(2,85), ‘재료의 원산지’(2.74), ‘조미료첨가’(2.52) 였다. 특히 ‘조미료 첨가’ ‘재료의 원산지’ ‘제공 열량’ 항목에서 건강추구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 < 0.05), ‘구매의 편리성’ 항목에서는 편의추구 집단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P < 0.05). 6. 향후 판매 도시락을 이용하겠다고 한 경우가 전체 대상자의 69.6%였으며, 안전추구 집단과 건강추구 집단이 각각 14.4%와 13.7%로 나타났다. 도시락 추천 시 그 이유로는 구매의 편리성(50.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외의 추천 이유로 미각추구 집단(26.8%)과 편의추구 집단(21.7%)은 맛이라고 하였으며, 안전추구 집단, 건강추구 집단은 각각 18.6%, 24.1%가 메뉴의 다양성을 들었고, 경제 중시형은 저렴한 가격(19.4%)을 제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P < 0.05). 본 연구 결과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구매 특징과 요구도에서 차이를 보여, 이들 유형별 요구도에 적합한 맞춤형 도시락 메뉴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각추구 집단의 경우 맛과 저렴한 가격대를 선호하기 때문에 다양한 양념과 소스 개발에 중점을 두고 독창적인 맛을 접할 수 있도록 도시락 메뉴가 개발이 되어야 하고, 안전추구 집단은 재료의 신선도,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도시락 품질관리를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중시 집단의 경우 높은 40~50대 연령층이 많으며 이들에 적합한 건강을 위한 식단 개발이 필요하며, 경제추구 집단은 다양한 메뉴를 선호하고 가격에 대하여 민감한 집단이므로 제품의 생산과 유통에 대한 경쟁력을 통해 원가를 절감함으로 가격경쟁력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미혼의 젊은 연령층이 많은 편의추구 집단은 메뉴의 다양성과 편리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편의성에 초점을 맞춰 한 끼 식사로서 손색이 없는 메뉴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대상 모든 집단에서 도시락 구매 시 음식의 맛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었고, 구매의 편리성에 대하여는 만족도가 높은 반면, 조미료 첨가, 재료의 원산지, 제공 열량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맛과 같은 미각적인 측면, 식품에 대한 안전 및 건강에 대한 측면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와 같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도시락 개발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소비자의 건강을 위한 올바른 식재료 선택과 조미료 사용, 영양 등에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고, 맛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메뉴 개발 등 전반적인 개선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oh YA, Chung HS. A study on current packed lunches bases on newspaper content analysis: referred to articles of 3 major daily newspapers from 2010 to 2016. J Table Food Coord 2017;12(1): 51-65. 

  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MR market size grew 51.1% in 5 years [interne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7 [cited 2017 Feb 7]. Available: https://www.mafra.go.kr/mafra/index.do. 

  3. Kim BR. Lunchbox 1 trillion war. Hankyung News. 2019 Nov 04; Sect. A: 21. 

  4. Kim HS. A study on purchase intention of bakery according to eating habits [master'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2008. 

  5. Chung LN. Analysis of consumer inclination to convenience towards home meal replacement in Korea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5. 

  6. Lazer W. Life style concetps and marketing in stephen greyserm. Towar Sci Mark 1963; 15(4): 130-139. 

  7. Seol HK, Lee SH, Jeon JK. An exploratory study on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Food Manag Res 2007; 10(2): 267-284. 

  8. Woo LS, Kim CW, Koo BK. The also impact on the purchase of a lunch box, select th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related life style. J Tour Leis Res 2016; 28(12): 321-334. 

  9. Oh J E, Y oon HR. A s tudy o n dietary b ehavior of C hinese consumers segmented by dietary lifestyle. J Korean Soc Food Cult 2017; 32(5): 383-393. 

  10. Park YS, Mo SM. A survey on consumer behavior and nutritional impact of take home packed meals purchased at department stores of Kangnam area, Seoul. Korean Public Health Res 1986; 12(2): 29-39. 

  11. Koh HY, Sin DH, Kang TS, Park HW. Survey on the kitchen machinery for the production of convenient food (Dosirak) in Korea. J Korean Soc Food Cult 1987; 2(2): 163-167. 

  12. Kwak DK, Key SH, Yoon SI. Assess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practices for the packaged meal (Dosirak)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in Seoul city and Kyungki-do province. J Foodserv Manag 1988; 3(3):293-299. 

  13. Park SH, Cho YW. The effect of food-related lifestyle on temple foo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Int J Tour Manag Sci 2015;30(7): 87-104. 

  14. Cha SY, Park IY, Jung HS. A survey of consumer importancesatisfaction on prepackaged meals (Dosirak) sold by food service providers. Korean J Food Nutr 2014; 27(1): 136-146. 

  15. Kim HJ. A survey on customet importance-satisfaction of packaged meals (Dosirak) provided by the foodservice industry. J Foodserv Ind Manag Res 2017; 13(2): 71-94. 

  16. Kim IH, Bae GK. Menu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 according to food lifestyle through IPA analysis: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Busan. J Foodserv Manag 2017;20(2): 33-52. 

  17. Kim BN, Sim KH.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importance of selected attributes of diet lunch box. Korean J Food Nutr 2017; 30(3): 413-426. 

  18. Kim MJ, Jung HS, Yoon HH.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ood-related lifestyle of undergraduates and the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 J Korean Soc Food Cult 2007;22(2): 210-217. 

  19. Kim MR, Kim HJ. A study on consumption behaviors regarding red pepper paste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of housewi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9; 19(1): 1-8. 

  20. Kim KH. Effect of a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nd intention to revisit. J Korea Contents Assoc 2010; 10(8): 370-380. 

  21. Kim HC, Kim MR. Intake behavior regarding beverages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5; 25(2): 223-233. 

  22. Kim HI, Lee SH.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convenience food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Korea Hosp Tour Acad 2016; 25(7): 85-96. 

  23. Kim HJ, Lee SY. A study on food purchasing behavior through internet shopping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s of housewives. Korean J Human Ecol 2017; 26(6): 597-608. 

  24. Lee CK. Tourism research & statistical analysis. 2nd ed. Paju: Daewangsa. p. 125-226. 

  25. Jeong J. Comparing with students' satisfaction on convenience food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in Incheon area. J Tour Leis Res 2018; 30(3): 141-156. 

  26. Choi EK, Cho MS, Oh JE. Consumer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sugar reduced beverages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focusing o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sugar reduced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9;48(9): 1027-1038. 

  27. An HS. Utilization of home meal replacement according to the women dietary style in Jeonbuk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13. 

  28. Hwang YJ, Lee SB. The effects of brand image, quality level, and perceived valueon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B lunch boxes from convenience stores and brand lunch boxes. Int J Tour Hosp Res 2016; 30(11):199-217. 

  29. Kim JH, Kim YS, Jeon YJ. The effects of the convenience store lunch-box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J Tour Leis Res 2017; 29(7): 353-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