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차원 분석에 기초한 2015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과학사 자료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History Materials for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ree-Dimensional Analysi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2, 2020년, pp.145 - 156  

김형미 (제주대학교) ,  강경희 (제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총 1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과학사 자료 삼차원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과학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각 학년별로 과학사 자료들이 특정 단원에 편중되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 자료에 대한 삼차원 분석 결과 모든 학년에서 공통적으로 개념적-기본적-발견/고안 유형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수업 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맥락이 가장 많았고, 역할 차원에서는 기본적 역할이 주를 이루었다. 제시 유형으로는 발견/고안 유형이 가장 많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들이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있고, 수업 맥락과 역할이 측면에서도 일부 요소들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앞으로 다양한 과학사 자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되는 과학사 자료들이 다른 맥락들에서 다양한 역할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ience history materials pres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analysis used the three-dimensional framework. The results of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를 삼차원 분석틀을 토대로 분석하는 것이다. 각 학년별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경우 평균 6.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교과서 단원별로 제시된 과학사 자료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2명의 연구자가 교과서에서 과학사 자료로 판단되는 내용을 추출하였고, 이 빈도 분석을 통해 추출된 과학사 자료들을 대상으로 삼차원 분석을 실시하였다.
  • S-F-D 유형은 중학교 3학년 「과학기술과 인류문명」단원 중 와트의 증기기관 발명과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를 다룬 내용이다. 이 자료는 증기기관이 당시 사회에서 어떻게 쓰였고, 그에 따라 산업혁명의 원동력이 되었는지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과학기술의 발달이 인류문명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것은 교육과정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어 있으므로 기본적 유형으로 분석하였고, 제시 유형 차원에서는 발견/고안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 예시 중 C-F-D 유형은 중학교 1학년 「지권의 변화」 단원 중 베게너와 관련된 내용이다. 이 자료에서는 대륙 이동설에 관한 베게너의 아이디어를 제시하면서 수업 맥락 차원에서 개념적 차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인 대륙이동설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므로 역할 측면에서는 기본적 유형으로 볼 수 있고, 제시 유형은 과학자가 제시한 이론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발견/고안으로 분석하였다.
  • 특히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의 제시 유형만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의 맥락에서 과학사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실제 수업에서 과학사 자료가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들을 수업 맥락, 역할, 제시 유형의 삼차원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자료 제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Figure 1에 제시된 자료는 연구자 간 분석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사례로 수업 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유형, 역할 차원에서는 탐구적 유형으로 일치하였으나 제시 유형 차원에서 발견/고안 유형과 역사적 실험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자료의 성격에 대해 연구자 간 논의를 진행하였다. 논의 결과 이 자료에서는 라부와지에의 실험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제시하기 보다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인 원소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발견/고안 유형이 적합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은 무엇을 위한 것 인가? 우리나라에서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MOE, 2015).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은 학교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다면적 역량을 신장시키고 더 나아가 국가 경쟁력의 제고를 위한 것이다(Ha et al., 2018).
인공지능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사회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게 되면서 OECD에서는 미래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는데 이는 무엇으로 이어졌는가? 인공지능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사회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게 되면서 OECD에서는 미래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이러한 논의는 여러 나라들이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설계를 검토하는 등 세계적인 추세로 이어졌다(Kim & Park, 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역량은? , 2018). 이에 따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을 핵심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다. 설정된 핵심역량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교 과학교육에서는 더 이상 전통적인 지식과 탐구 중심의 교수-학습만을 강조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H. H. (1994). Science-technology-society and science education. Seoul: Kyoyookgwahaksa. 

  2. Choi, Y.-H., Choi, K., & Jin, H.-K. (2010). An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incorporated in the history of science in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Sae Mulli, 60(3), 273-282. 

  3. Choi, C. I., Yeo, S. I., & Woo, K. W. (2005).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cience history introduced into Chemistry II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7), 820-827. 

  4. Choi, J., Nam, J., Ko, M., & Ko, M. (2009). Developing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2), 221-239. 

  5. Choi, K. H. (1996).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TS education. Seoul: Kyohaksa. 

  6. Choi, K., & Kim, S. (1996). The development of evaluating framework for a science textbook in a second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3), 303-313. 

  7. Dong, H. K. (2004). Analysis of introduction pattern of history of science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I and II. Biology Education, 32(1), 27-40. 

  8. Ha, M., Park, H. J., Kim, Y. J., Kang, N. H., Oh, P. S., Kim, M. J., Min, J. S., Lee, Y., Han, H. J., Kim, M., Ko, S. W., & Son, M. H. (2018). Developing and apply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science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495-504. 

  9. Hong, J. E. (2002).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al modules using historical development of Mendelian genetics (Doctoral dissertati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0. Jenkins, W. (1990). The history of science in British schools: Retrospect and prospec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3), 274-281. 

  11. Jeon, K., Park, H., & Noh, T. (2004).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science presented at the chapter of 'Inquiry of Science'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 comparison of the textbooks developed under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5), 825-832. 

  12. Jung, B. H. (2004). A study on development of science learning program based in science history and its effects in science classes of high school(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3. Kang, K. H., & Hur, M. (2005).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science history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7), 765-772. 

  14. Kang, S., Kim, Y., & Noh, T. (2004). The influence of small group discussion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upon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5), 996-1007. 

  15. Kim, D. J., & Wee, S. M. (2019). Analysis on the effects of introducing scientific history related to 'earth-history' on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s of sci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5), 413-427. 

  16. Kim, D. W. (2015). The effectiveness of the change in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science depending on subjects of the history of science-role play-The atomic model transition and the Mendeleev's periodic tabl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1), 15-27. 

  17. Kim, E. H., & Park, J. K. (2017).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classes based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4), 346-355. 

  18. Kim, K., Noh, J., Seo, I., & Noh, T. (2008). The effects of explicit and reflective instruction about nature of science using episodes from the history of science in 'composition of material'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1), 89-99. 

  19. Kim, S. Y., & Shin, G. S. (2017). Effects of history of biology program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Journal, 11(2), 192-203. 

  20. Lee, B., & Shin, D. (2011). Professionals' opinion of science education using history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5), 815-826. 

  21. Lee, S. K., & Kim, W. H. (1995). A study on introducing the science of history to correct miscon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5(3), 275-283. 

  22. Leite, L. (2002).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analysing the historical content of science textbooks. Science and Education, 11, 333-359. 

  23.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jong, Korea: Author. 

  24. Park, S., Chung, W., & Park, K. (2015). Analysis of the introduced cont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2), 221-238. 

  25. Park, S. K., Lee, K. Y., & Lee, M. U.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ree dimension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history of science content in science textbook: Focus on the history of earth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1), 99-112. 

  26. Park, S., Park, Y., Kim, J., & Chung, W. (2010).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applying of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2), 383-395. 

  27. Rutherford, F. I. (2001). Foster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America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9(6), 569-580. 

  28. Seker, H. (2007). Levels of connect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 pedagogical knowledge of history of science.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Conference, Calgary, Canada. 

  29. Shin, H., & Shin, D. (2012). Analysis of scientific events and scientists in science textbook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0(3), 665-698. 

  30. Solomon, J.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Science Teaching, 29(5), 409-421. 

  31. Wandersee, J. H. (1985). Can the history of science help science educators anticipate students' misconception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3, 581-597. 

  32. Wang, H. A. (1998). Science in historical perspectives: A content analysis the history of science in secondary school physics textbooks(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nia, Los Angeles, CA. 

  33. Yang, S. H., Song, J. W., Kim, I. H., Jo, J. I., & Jung, W. W. (1996). Science history and science education. Seoul: Minum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