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 수분, 토성 그리고 유기물 처리에 따른 떡갈나무 유식물의 생육 반응과 생태적 지위
Growth Response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Dentata Thunb. Sapling under the Light, Moisture Content, Soil Texture and Nutrient Treatment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3 no.1, 2020년, pp.102 - 108  

김의주 (국립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정영호 (국립백두대간수목원) ,  박재훈 (국립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응필 (국립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승연 (국립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수인 (국립백두대간수목원) ,  홍용식 (한국보전협회) ,  장래하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  정상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육성.복원연구과) ,  유영한 (국립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규태 (국립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본 연구는 4가지 환경요인에 따른 떡갈나무 유식물의 생육 반응 분석과 생태적 지위폭을 측정하였다. 환경요인은 광, 수분, 토성 그리고 유기물 함량이고 각각 4구배로 처리하였다. 광량이 많을수록 잎 무게, 지상부 무게, 지하부 무게 그리고 식물체 무게가 증가하였다. 수분함량처리구와 토성처리구에서 생육 반응은 차이가 없었다. 유기물 함량이 많을수록 지상부 무게가 증가하였지만, 나머지 형질의 생육 반응의 차이는 없었다. 생태적 지위폭은 광요인에서 0.865, 수분요인에서 0.995, 토성요인에서 0.994 그리고 유기물 함량 요인에서 0.988이었다. 생태학적 지위폭은 수분함량 처리구에서 가장 넓었고 광처리구에서 가장 좁았다. 이는 떡갈나무의 생육 반응이 광량의 양이 많을수록 생육이 좋고, 광에 민감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육 반응과 생태적 지위폭을 결정짓는 것은 광 요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rowth response of the Quercus dentata seedlings to four environmental factors and measure the ecological niche breadth. Environmental factors were light, moisture content, soil texture, and organic matter, treated with four gradients. The more quantity light incre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떡갈나무의 유식물을 대상으로 광, 수분, 토성 그리고 유기물 함량 처리를 다르게 하여 생육 반응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환경요인에 따른 떡갈나무 유식물의 생태적 지위폭을 측정하여 환경요인 간 생육 반응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떡갈나무의 유식물을 대상으로 광, 수분, 토성 그리고 유기물 함량 처리를 다르게 하여 생육 반응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환경요인에 따른 떡갈나무 유식물의 생태적 지위폭을 측정하여 환경요인 간 생육 반응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떡갈나무는 생태적인 부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 2010), 분포 입지 특성상 다른 낙엽성 참나무속보다 내건성과 내조성에 강하지만 내음성은 약하다(Lee, 1966; Lim, 1995). 또한, 산림 내에서는 포유류가 선호하는 비빔목(rubbing trees)으로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Lee and Lee, 2014)을 하고 있다. 이처럼 많은 연구를 통해 떡갈나무의 분포특성 및 생태적 역할이 일부 밝혀져 있지만, 환경요인에 따른 형태적 반응과 분포역을 결정짓는 환경인자 파악 등의 구체적인 생태학적 정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생태적 지위는 일반적으로 무엇을 일컫는가?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는 일반적으로 생물군집과 생태계 내의 공간 그리고 모든 환경요인에서 종이 차지하는 위치를 말하며, 학자들에 따라 생물이 서식지에서 영위하는 기능적 지위, 서식지 지위, 영양 지위 및 다차원 지위 등으로 구분된다(Grinnell, 1917; Whittaker et al., 1973).
국내의 주요 산림군락은 어떤 군락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온대몬순기후대로 뚜렷한 산림식생이 발달해 있는데, 특히 국내산림의 식생을 대표하는 주요 산림군락은 신갈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의 낙엽성 참나무속 군락이다(Kim and Kim, 2017). 이러한 분류군들은 산림 내 토양의 비옥화 역할과 목재 및 약용 등으로서 이용됨으로 생태학적 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Cho,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0. Terrestrial plant ecology. Benjamin, Cummings. 

  2. Burton, P.J. and F.A. Bazzaz. 1991. Tree seedling emergence on interactive temperature and moisture gradients and in patches of old-field vegetation. American Journal of Botany 78(1): 131-149. 

  3. Cho, K.T. 2014.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Ecological Niche of Three Oaks Species of Korea. Kongju natioanl university. Ph.D. Thesis 

  4. Cho, K.T., H.R. Kim, H.M. Jeong, K.M. Lee, T.K. Kim, T.G. Kang and Y.H. You. 2012. Effect of Light on the Growth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to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4(4):597-605. 

  5. Cho, K.T., R.H. Jang, S.H. Lee, Y.S. Han and Y.H. You. 2013.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light, soil moisture, and nutrient level on ecological niche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3): 429-439. 

  6. GBIF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2020. https://www.gbif.org/ 

  7. Grinnell, J. 1917. The niche-relationships of the California thrasher. Auk 34: 427-433. 

  8. Han, S.J., H.J. Kim and Y.H. You. 2009. Selection on tolerant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for flood plain restoratio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2): 1-7. 

  9. Hong, Y.S., E.J. Kim, E.P. Lee, S.Y. Lee, K.T. Cho, Y.K. Lee and Y.H. You. 2019.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uccession on the Pinus thunbergii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s, Jeju Island, South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3(1): 1-16. 

  10. Hong, Y.S., Y.H. You and H.B. Yi. 2010. Seasonal change of macro nutrients concentration in acorns of six oak spec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3):286-292. 

  11. Jang, M.K., M.H. Yeon, K.C. Yang and J.K. Shim. 2002. Growth Analyses of some tree species raised under artificial shade.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16: 39-53. 

  12. Jeong, H.M., H.R. Kim and Y.H. You. 2009. Growth difference among saplings of Quercus acutissim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under the environmental gradients treat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7(1): 82-87. 

  13. Jeong, J.K., H.R. Kim and Y.H. You. 2010.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Growth Response of Quercus acutissima and Q. variabil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6): 648-656. 

  14. Jeong, T.H. and W.C. Lee. 1965. A study of the Korean woody plant zone and favorable region for the growth and proper species. Sungkyunkwan University 10: 329-435. 

  15. Ki, K.S. and J.Y. Kim. 2012. Monitoring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nge for Four Years (2007-2010) after Riparian Ecological Restoration, Nakdonggang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707-718. 

  16. Kim, H.R., H.M. Jeong, H.J. Kim and Y.H. You. 2008. Ecological Niche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variabil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6(4): 385-391. 

  17. Kim, J.W. and J.H. Kim. 1994. Stomatal control and strategy segregation to drought stress in young trees of several oak species. Korean Journal of Ecological 17: 241-249. 

  18. Kim, Y.H. 2013.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sevens succer-green Quercus species in Korea. Keimyung University. Master Thesis. 

  19. Kim, Y.H. and J.W. Kim. 2017. Distributional uniqueness of deciduous Oaks (Quercus L.)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 Restoration Technology 20(2):37-59. 

  20.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angmoonsa. Seoul, 1:914. 

  21. Lee, H.J. and Y.H. You. 2009. Ecological niche breadth of Q. mongolica and overlap with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along with three environment gradient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7(2): 191-197. 

  22. Lee, S.H. and Y.H. You. 2012. Measurement of ecological niche of Quercus aliena and Q. serrata under environmental factors treatments and its meaning to ecological distrivutio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5(3): 227-234. 

  23. Lee, S.K., Y.H. You and H.B. Yi. 2010. The growth response of Quercus dentata sapling to the environmental gradients treatment. Journal of Life Science 20(4): 597-601. 

  24. Lee, S.M. and W.S. Lee. 2014. Selection of the Rubbing Trees by Wild Boar (Sus scrofa) and its Ecological Role in a Mixed Forest,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3(3): 510-518. 

  25. Lee, S.Y., K.T. Cho, R.H. Jang and Y.H. You. 2017. Effect of consecutive shoot-cutting for 3 years on saplings’ sprouting regeneration ability of six deciduous oak species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1(1): 66-71. 

  26. Lee, T.B. 1966.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Forest Experiment Station, Seoul. p. 348. 

  27. Levins, R. 1968. Evolution in changing environments: some theoretical explorations (No.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Lim, H., H.R. Kim and Y.H. You. 2012. Growth difference between the seedling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under light,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4(2): 237-242. 

  29. Lim, T.H. 1995. An oak and our culture. Soomoon. Korea. pp. 125-126. 

  30. McNaughton, S.J. and L.L. Wolf. 1970. Dominance and the niche in ecological systems. Science 167(3915): 131-139. 

  31. National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Natural Environment Survey (4th). Korea. 

  32. Pianka, E.R. 1994. Evolutionary ecology. 5th ed. Harper and Row, New York p. 482. 

  33. Shin, J.H. and Y.H. You. 2011. Effects of seed size on the rate of germination, early growth and winter survival in four oaks species.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29(4): 274-279. 

  34. Whittaker, R.H., S.A. Levin and R.B. Root. 1973. Niche, habitat, and ecotope. The American Naturalist 107(955): 32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