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센터에서 임상병리사의 업무 전문성 연구: 일반건강검진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of Medical Technologists' Work in Health Examination Centers: Focusing on the General Health Examin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2 no.3, 2020년, pp.271 - 277  

성현호 (동남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검진"이란 건강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발견을 목적으로 건강검진기관을 통하여 진찰 및 상담, 신체계측, 진단검사, 병리검사, 영상의학 검사 등 의학적 검진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건강검진의 종류에는 일반건강검진, 종합건강검진, 특수건강검진, 기타건강검진이 있다. 건강검진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병리사들의 일반건강검진 업무의 비중은 전체 업무에서 50% 이상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질환의심 비용적인 측면은 25% 이상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진단검사 비용은 약 5%로 추정되며 의학진단 사용 비율은 70%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임상병리사들이 건강검진 업무에서 사회적, 경제적, 정책적인 타당한 처우를 받고 있는가를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임상병리사의 미래는 향후 업무적으로 정밀의료와 원격의료에서 진단검사 및 질 관리에서 전문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임상병리사들은 국가건강검진 관련 정부정책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더불어 처우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lth examinations" means medical examinations conducted by health examination institutions, including a physical examination, consultation, physical measurement, diagnostic laboratory test (also known as clinical laboratory test, clinical pathology test), pathology test, and Imaging test for ch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의료계는 질 높은 의료서비스의 제공과 경영의 효율성을 위하여 한 직종의 업무가 기존의 업무로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역할이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받는 경우가 많다[8].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건강검진에서 임상병리사의 역할을 확인하고, 국내 건강검진산업의 확산 및 발전에 따른 임상병리사 업무의 확대와 그에 따른 비용분석을 통하여 전문성을 연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2019년 국가의 건강증진정책의 일환으로 임상병리사의 역할과 연계하여 향후 임상병리사들의 미래 전문성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건강검진에서 임상병리사의 역할을 확인하고, 국내 건강검진산업의 확산 및 발전에 따른 임상병리사 업무의 확대와 그에 따른 비용분석을 통하여 전문성을 연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2019년 국가의 건강증진정책의 일환으로 임상병리사의 역할과 연계하여 향후 임상병리사들의 미래 전문성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임상병리사들이 국가건강검진을 포함하여 모든 건강검진 업무에서 사회적, 경제적, 정책적인 타당한 처우를 받고 있는가를 다시 한 번 돌아볼 시기라는 것이다. 임상병리사의 미래는 향후 업무적으로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와 원격의료(telemedicine)에서 진단검사 및 질 관리에서 직업적 가치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임상병리사 회원들과 협회는 정책 연구 등을 통해 정부에 그 결과를 알리고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검진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건강검진"이란 건강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발견을 목적으로 건강검진기관을 통하여 진찰 및 상담, 신체계측, 진단검사, 병리검사, 영상의학 검사 등 의학적 검진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건강검진의 종류에는 일반건강검진, 종합건강검진, 특수건강검진, 기타건강검진이 있다. 건강검진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병리사들의 일반건강검진 업무의 비중은 전체 업무에서 50% 이상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건강검진이란 무엇인가? "건강검진"이란 건강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발견을 목적으로 건강검진기관을 통하여 진찰 및 상담, 신체계측, 진단검사, 병리검사, 영상의학 검사 등 의학적 검진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건강검진의 종류에는 일반건강검진, 종합건강검진, 특수건강검진, 기타건강검진이 있다.
검진기관평가 지침서 중 1차 지침서의 항목구성은? 최초 지침서는 2013년 7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 검진평가부에서 최초 발행되었다. 1차는 4개 검진유형, 14개 평가분야, 54개 평가 부문, 660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2차는 4개 검진유형, 22개 평가 분야, 74개 평가 부문, 68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는데, 공통 1문항은 부당검진이력분야로 행정처분 이력으로 구성 되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orea Law Information Center. Basic health checkup law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cited 2020 March 22]. Available from: http://law.go.kr/lsInfoP.do?lsiSeq85798#0000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ealth checkup definition [Internet].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20 March 22]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ontents.es?mida20303030200 

  3.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Geneva, Switzerland: WHO; 1986 [cited 2020 March 2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healthpromotion/conferences/previous/ottawa/en/index.html 

  4. National Archives of Korea. Basic social security act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0 [cited 2020 March 22]. Available from: 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0332&pageFlag&sitePage1-2-1 

  5. Park NH, Lee HJ, Lee SK, Choi HS, Kim GH. Research report. A comparative study of basic living standard security system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2002 Nov. p264. 

  6. Korea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Korea insurance system [Internet]. Wonju: Korea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20 [cited 2020 March 22]. Available from: https://www.hira.or.kr/cms/policy/02/01/1341866_27024.html 

  7. Park YK, Kim MH, Kim CY, Park YA, Cho HJ. Research report. How did health checkups become "industry"? Seoul: People's Health Institute; 2015 Sep. p126. 

  8. Kim HJ. Nurses' job analysis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Health & Nursing. 2015;27:11-22. 

  9. Jaarsma T, Jarodzka H, Nap M, van Merrienboer JJ, Boshuizen HP. Expertise in clinical pathology: combining the visual and cognitive perspectiv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5;20: 1089-1106. https://doi.org/10.1007/s10459-015-9589-x 

  10. Empson MB. Statistics in the pathology laboratory: diagnostic test interpretation. Pathology. 2002;34:365-369. https://doi.org/10.1080/003130202760120553 

  11. Bossuyt PM, Reitsma JB, Linnet K, Moons KG. Beyond diagnostic accuracy: the clinical utility of diagnostic tests. Clin Chem. 2012;58:1636-1643. https://doi.org/10.1373/clinchem.2012.182576 

  12. Kalra J, Hamed ZR, Seitzinger P. The future of diagnostic laboratory testing in healthcare. Am J Biomed Sci & Res. 2019;5:89-91. https://doi.org/doi:10.34297/AJBSR.2019.05.000883 

  13. Suzuki T. Quality management of clinical laboratory tests. Health Evaluation and Promotion. 2019;46:226-235. https://doi.org/10.7143/jhep.46.226 

  14. Evans GO. Clinical pathology testing recommendations for nonclinical toxicity and safety studies. Toxicol Pathol. 1993;21:513-514. https://doi.org/10.1177/019262339302100511 

  15. Hong YJ, Kim WK.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genetic testing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06;49:591-602. https://doi.org/10.5124/jkma.2006.49.7.597 

  16. Forsman RW. Why is the laboratory an afterthought for managed care organizations? Clin Chem. 1996;42:813-816. https://doi.org/10.1093/clinchem/42.5.813 

  17. Lee HJ, Oh SH, Chang CL. Origins and history of laboratory medicine. Lab Med Online. 2017;7:53-58. https://doi.org/10.3343/lmo.2017.7.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