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사업관리자 선정평가에 안전역량 평가항목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Safety Competency of Construction Manager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5, 2020년, pp.46 - 54  

김도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조현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김광희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  주진규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  신윤석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업은 국내 산업 중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건설업의 재해는 막대한 재산손실과 인명피해로 인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최근 이로 인해 건설업에서 발생하는 재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 각 부처에서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는 이번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에서 보호대상의 확대와 책임소재의 명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발주자 책임에 의한 안전관리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사업수행능력평가를 산업안전보건법의 전부개정안을 고려하여 안전항목을 고려하여 건설사업관리자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the most safety accidents among domestic industries. Special care must be taken because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lead to social problems caused by huge property losses and casualties. As a result of this,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f disasters occurring...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사업관리자 선정 평가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운영방식이나 평가기준의 문제점 도출을 통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발주자의 입장에서 안전요인을 고려한 평가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자 선정 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안전항목 도출과 중요도 분석을 통한 점수 배점 및 새로운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사업수행능력평가를 산업안전보건법의 전부개정안에 따라 발주자에 대한 안전관리 책임 강화를 고려하여 건설사업관리자 선정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항목을 도출하고 중요도 분석을 통한 가중치 적용으로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됨에 따라 안전에 대한 발주자의 책임이 강화되고 있는 현재, 이에 맞는 안전을 고려한 새로운 평가기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기준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발주자가 안전을 고려하여 건설사업관리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안전에 대한 항목을 도출하고 중요도와 우선순위 및 가중치 분석을 통해 새로운 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사업관리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에 안전 항목을 적용하기 위한 요인 선정과 이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통해 가중치를 산정하여 새로운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다만, 각 요인을 평가하였을 때 근거자료의 구체화와 명확화가 부족하다는 점과 연구의 필요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전부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발주자에 대한 안전관리 책임 강화를 고려하여 기존 건설사업관리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에 안전항목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의 구조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의 구조는 미국이나 유럽 등의 국가와는 달리 시장 구조에 의해 형성되었다기보다는 법령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Kim & Moon, 2006). CM이란 건설기술관리법상 건설 활동 전반에 요구되는 기술 및 관리행위 일체를 CM으로 정의하며, 이는 일반적인 의미의 사업관리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대상사업부문에서 요구되는 기술수준 및 기술력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Son & Kim, 2003).
CM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의 구조는 미국이나 유럽 등의 국가와는 달리 시장 구조에 의해 형성되었다기보다는 법령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Kim & Moon, 2006). CM이란 건설기술관리법상 건설 활동 전반에 요구되는 기술 및 관리행위 일체를 CM으로 정의하며, 이는 일반적인 의미의 사업관리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대상사업부문에서 요구되는 기술수준 및 기술력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Son & Kim, 2003).
건설사업의 처음 시작단계인 기획부터 타당성 조사, 설계, 시공, 사후관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사업성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건설사업관리방식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업 시장은 현재 초고층화, 첨단화, 다양화 되어가고 있어 고유의 특성이 각 사업별로 매우 다양하며 발주기관별 유형 역시 다양하다. 이에 따라 단순한 품질관리위주의 감리 방식보다는 건설사업의 처음 시작단계인 기획부터 타당성 조사, 설계, 시공, 사후관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사업성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건설사업관리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 J.H. (2012).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construction management firm in the public projects."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 Byun, B.M., and Suh, J.Y.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f Real Estate Broker by AHP method."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0(1), pp. 115-131. 

  3. Department of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Policy. (2019).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8." Ministry of Employment Labor, Seoul, p. 26. 

  4. Jo, H.H., and Jang, Y.R. (2018). "A Note on the revis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Studies of Socisl Security law, 0(36), pp. 85-127. 

  5. Kim, D.S. (202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afety Items to the Evalu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6. Kim, D.S., Kim, B.J., and Shin, Y.S. (2019). "A Convergent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of Falling Accidents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Using IPA Technique."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7(3), pp. 31-44. 

  7. Kim, D.S., Kim, B.J., and Shin, Y.S. (2019).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For Assessment Criteria of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y of CM (Construction Management) Considering Safe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9(6), pp. 557-566. 

  8. Kim, G.Y. (2017).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selec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agency in Korea : focused on the selection schedule and the assessment method by institution." M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9. Kim, J.J., and Moon, H. (2006). "Analysis and Improving Strategies on Construction Management(CM) Service Adoption in Public Sector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7(1), pp. 119-127. 

  10. Lee, S.B.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criteria in selecting construction manager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M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Technical safety work handbook."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eoul, pp. 1-402.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CM contract performance in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disclosure by year." (Nov. 4, 2019) 

  13. Son, J.R., and Kim, J.J. (2003). "Improving CM Performance by Analizing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in the Public Authorities -Focused on the Apartment Construction Author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9(10), pp. 83-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