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기술자의 원가관리 업무역량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Core Competency of Construction Field Engineer for Cost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4 no.5, 2013년, pp.26 - 34  

최재홍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많은 기업들이 개개인의 인적자원을 기업 가치 창출의 핵심 자산으로 인식하고,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 및 인재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건설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종합건설회사의 건설기술자는 건설 프로젝트 생애주기의 각 단계에서 다양한 참여주체와 함께 공사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건설기술자의 역량은 건설공사의 성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건설기술자 능력 평가 방식은 자격 위주의 평가로서 실제 공사관리 업무에 대한 소화능력과는 거리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업의 기본관리 항목 중 하나인 원가관리의 업무 프로세스 및 세부 수행항목을 분석하여 원가관리 업무 숙련도 수준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건설기술자 직급별 요구역량 대비 현 수준 분석 및 업무 단계별 건설기술자 업무역량 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ny companies recognize the individual human resource as a core asset of the corporate value creation and devote a lot of effort to develop and manage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As the integrated construction company taking the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Jung and Lee 2010) 또한, 최근 종합건설기업의 원가관리는 ‘재무관점’에서 ‘기술관점’의 원가관리로 변화하는 추세에 있다. (정영수와 주미희 2011)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원가관리 업무수행을 위한 건설기술자의 업무 역량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건설기술자의 역량 중심의 인적자원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원가관리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건설기술자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 업무 수행 항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설문분석을 통해 건설기술자의 현 역량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자격중심의 평가방식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건설사업관리 업무로서 원가관리는 건설정보통합관리의 관점에서도 다른 업무기능에 대한 공헌도가 가장 높다.
  •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의 여러 업무 중에서 기업의 이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장 기본이 되는 항목이라고 할 수 있는 원가관리 업무 분석을 통하여 건설기술자의 역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구체적인 수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 역량항목 도출과 관련하여 조직역량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개인역량과 관련된 연구는 국가 간의 제도적 비교,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 기법 등을 활용하여 역량 항목을 도출하고 중요도를 비교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 분석을 통해 숙련도 수준을 제시함으로써 관리기술 관점에서 건설기술자의 역량요소를 정의하고, 현 수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갖는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자의 직무역량 요소를 규명하고, 이러한 역량 요소를 통하여 건설기술자의 현 역량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가관리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건설기술자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 업무 수행 항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설문분석을 통해 건설기술자의 현 역량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자격중심의 평가방식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원가관리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하여, 각 단계의 세부 업무 수행항목을 도출하고 각 수행항목에 대한 건설기술자의 역량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건설기술자 능력 평가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건설사업관리와 관련하여 역량에 기반하여 건설기술자 능력을 평가하고, 인적자원관리를 수행하는 데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업의 원가관리 업무 수행 항목을 토대로 하여 건설기술자의 역량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 설문 응답자들의 역량수준 분석을 위하여, 각 문항 별로 중요도 수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각 문항별 중요도 수준에 대한 Likert 값의 평균점수를 정규화 기준값으로 정한 후각 항목의 점수를 환산하여 현 수준에 대한 가중치로 활용하였다.
  • 하지만, 건설업과 관련된 역량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으로 건설기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들이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역량요소가 무엇인지 제대로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자의 직무역량 요소를 규명하고, 이러한 역량 요소를 통하여 건설기술자의 현 역량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가관리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건설기술자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 업무 수행 항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건설기술자로서 원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한 현재 본인의 보유 역량을 「매우 낮은 경우」 ①점, 「보통의 경우」 ④점, 「매우 높은 경우」 ⑦점으로 가정하여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 직급이 낮은 경우에 낮은 숙련도 수준에 대한 역량 점수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높은 수준에 대해서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점수가 낮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 직급이 높아질수록 각 단계에 대한 역량을 충분히 보유하여 직급별 역량 분포는 그림 3과 같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분포에 대한 가정은 동일직급 내에서 숙련도 수준에 따른 보유역량에 대한 분포로서, 다른 직급간의 역량수준을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 설문을 통해 도출된 중요도와 현 수준의 Likert 값을 가중평균 하여 각 숙련도 수준별 역량 점수로 도출하여, 1단계부터 5단계까지 각 숙련도 수준에 대한 역량을 직급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숙련도 수준에 대한 정의는 원가관리 업무에 대해서 경력이 쌓일수록 높은 숙련도 수준에 대한 역량이 높음을 가정한다.
  • 직급이 낮은 경우에 낮은 숙련도 수준에 대한 역량 점수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높은 수준에 대해서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점수가 낮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 직급이 높아질수록 각 단계에 대한 역량을 충분히 보유하여 직급별 역량 분포는 그림 3과 같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가관리 업무 분석을 통하여 건설기술자의 역량을 분석의 수행방법은 무엇인가? (1) 국내외 관련 문헌조사 등을 통해서 건설기술자 역량분석에 관련된 이론 및 연구동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다. (2) 관련문헌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서 건설기업 원가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조사, 분석한다. (3) 작성된 업무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세부 업무수행 항목을 제시한다. (4) 세부 업무수행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업무 수행 숙련도 수준을 제시한다. (5) 건설기업 실무진 설문조사를 통해 세부 업무수행 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현 보유역량에 대하여 조사한다. (6) 설문응답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개인역량관련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조직역량으로서 CM 역량 강화와 관련된 연구가 주로 수행된 것을 알 수 있다. 개인역량관련 연구로서는 김두환(2005)이 건설기업의 공사와 공무 직무의 역량모델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재영(2009)은 건설기술자의 등급별 역량 항목을 도출하였다. 역량항목 도출과 관련하여 조직역량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개인역량과 관련된 연구는 국가 간의 제도적 비교,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 기법 등을 활용하여 역량 항목을 도출하고 중요도를 비교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최근 종합건설기업의 원가관리는 어떻게 변하는 추세인가? (Jung and Gibson 1999) 또한, 원가는 정량적이고 구체적인 측정을 통해 건설사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주요지표로서의 의미도 강조된다. (Jung and Lee 2010) 또한, 최근 종합건설기업의 원가관리는 ‘재무관점’에서 ‘기술관점’의 원가관리로 변화하는 추세에 있다. (정영수와 주미희 2011)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원가관리 업무수행을 위한 건설기술자의 업무 역량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건설기술자의 역량 중심의 인적자원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두환 (2005). "건설기업의 주요 직무별 역량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37 

  2. 김옥기 (2008). "건설사업 발주자 조직 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14 

  3. 대한건축학회 (2010). 건축공사관리, 기문당, pp. 361-365 

  4. 박혜영 (2004).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역량모델 구축".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16, 72-76 

  5. 서하나.이학기 (2008). "설계 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55-160 

  6. 송상훈.김우영.이현수 (2003). "건설현장 공사관리 프로세스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19권 제4호, pp. 152-153 

  7. 이동희 (2006). "역량모델링을 통한 직무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역량모델링과 활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16, 18-20 

  8. 이복남 (2003), "건설기술자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능력평가 방안". 국토연구원, 건설경제 통권35권 

  9. 이재영.최혜미 (2009). "역량모델링을 통한 건설기술자 역량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5권 제4호, pp. 195-199 

  10. 이현철.신석배.홍주현.고성석 (2009). "VE 기반 공동주택 개발사업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4-25 

  11. 이홍민.김종인 (2003). "핵심역량 핵심인재: 인적자원 핵심역량 모델의 개발과 역량 평가". 한국능률협회, pp. 20-27 

  12. 정영수.주미희 (2011). "건설기업 원가관리 패턴의 현황 및 변화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80-86 

  13. Jung, Y. and Gibson, G. E. (1999). "Planning for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13(4), pp. 217-225 

  14. Jung, Y. and Lee, S. (2010). "Automated Prog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in Construction : Variables for Theory and Implement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in Civil and Building Engineering-2010(ICCCBE 2010), Nottingham, UK, Paper No. 117 

  15. The australian institute of quantity surveyors (1998).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quantity surveyors-construction economists 

  16. Kenneth Carlton Cooper (2000). Effective competency modeling & reporting : a step-by-step guide for improving individual & organizational performance, New York : AMA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