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사업관리자의 품질관리 직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Job Competency of Quality Management for a Construction Manager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8 no.1, 2017년, pp.65 - 73  

정서영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유정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 날, 미국과 유럽의 선진 조직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인사관리의 기초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최근에들어 인사관리에 직무역량의 개념이 도입되어, 많은 조직에서는 이에 따라 인력을 관리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도입되어 있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인적자원관리 방식은 경력, 학위, 자격증 등의 요건을 충족하면 능력있는 기술자로 평가받는 연공서열주의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다. 이는 해당 업무에 대한 실질적인 전문성 및 직무역량에 대한 평가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편,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는 사업진행 단계 및 관리업무의 종류에 따라 그 전문성 및 역량이 세분화되어 있으나, 현재의 경력관리 방식으로는 이러한 세분화된 역량의 확인이 어렵다. 그러므로 발주자의 요구 및 프로젝트 특성에 적합한 건설사업관리자를 선택하고, 건설사업관리자가 자신의 직무역량을 실질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업무별로 세분화된 역량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별로 세분화된 역량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행 건설사업관리자의 능력평가 방식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한 후, 건설사업관리 직무 역량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other advanced organizations are utilizing the concept of competency-based HR management. Recently, many organizations in Korea are also managing workforce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job competencies in personnel management. However, in spite of the curre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별로 세분화된 역량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행 건설사업관리자 능력평가 방식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한 후,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업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2. 기술사 혹은 건축사 자격이 있는 사람의 역량이 자격이 없는 사람보다 높다(기술사 혹은 건축사 자격은 역량 수준에 正의 영향을 미친다).
  • 연구가설 3. 경력이 높을수록 역량 수준도 높다(경력 수준은 역량 수준에 正의 영향을 미친다).
  • 연구가설 4. 기술등급이 높을수록 역량수준이 높다(기술등급은 역량수준에 正의 영향을 미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무엇인가? 고용노동부는 학벌이나 학력이 아닌 직무능력 중심으로 채용, 보상 및 승진하는 능력중심사회를 만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개발하여, 2015년부터 다수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이를 이용하게 하고 있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산업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산업현장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을 의미한다(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2015).
NCS의 기본 구성요소 중 능력단위가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여기서 직무는 NCS 분류체계의 세분류를 의미하며, 세분류(직무) 단위에서 표준이 개발되었다. 능력단위는 NCS 분류체계의 하위단위로서 NCS의 기본 구성요소에 해당되며, 능력단위요소,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평가지침 및 직업기초능력을 포함한다. 또한, 능력단위요소는 능력단위를 구성하는 중요한 핵심 하위능력을 기술한 것으로, 능력단위요소별로 성취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개인이 도달해야 하는 수행의 기준을 의미하는 수행준거와 지식·기술·태도로 구성된다.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있는 건설사업관리자의 능력평가 방식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있는 건설사업관리자의 능력평가 방식은 경력·학위·자격증 보유 등의 요건을 묻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자격요건을 충족하면 능력있는 기술자로 평가받는 연공서열주의 방식으로 해당 업무에 대한 실질적인 전문성 및 직무역량에 대한 평가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J. H., and Kim, Y. S. (2013). "An Analysis of Core Competency of Construction Field Engineer for Cost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KICEM, 14(5), pp. 26-34. 

  2. CMAA (2010). Construction Management Standards of Practice. 2010 Edition. 

  3. Jung, Y. S., Woo, S. K., Park, J. H., Kang, S. H., Lee, Y. H., and Lee, B. N. (2004). "Evaluation of the Owners' CM Function."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5(3), pp. 128-136. 

  4. Kang, K. H., Kim, K. H., Ahn, B. J., and Kim, J. J.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of Competence for a Specialist in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 AIK, 28(4), pp. 123-131. 

  5. Kim, H. J., and Jeon, S. G. (2006). "Applications of Competency-Based HRM to Korean Firms : A Contingency Approach."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 KAM, 14(2), pp. 107-139. 

  6. Kim, S. B., and Kim, Y. B. (2013). "A study on the Effective Standard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Construction Engine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 KSCE, 33(3), pp. 1181-1189. 

  7. Kim, W. Y. (2005). "Construction Engineer Competitiveness Assessment Methods & Cases between Korea and US." International seminar data,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8. Lee, H. L., and Yu, J. H. (2011). "Personal Competency Analysis of Construction Managers by Posi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27(11), pp. 151-158. 

  9. Lee, H. M. (2009). Competency Assessment: Development of human capital competency model and competency assessment. 1st ed, readlead pub, pp.12 

  10. Lee, J. Y., and Choi, H. M. (2009). "A study on the Modeling and Evaluating of Competence for Construc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25(4), pp. 193-200. 

  11. Lee, S. W., Woo, S. K., and Kim, O. K. (2009). " A Study on Evaluation of Construction Project Owner' s Organizational Competency."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0(1), pp. 146-155. 

  12. Seo, H. N., and Lee, H. K. (2008),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Checklist of Design Phase VE Tea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KICEM, 9(4), pp. 155-160. 

  13. Shim, H. B., Kim, S. E., Yoon, S. W., Kim. Y. S., and Chin, S. Y. (2006). "Frame Development for Measuring Organizational Capability of Architecture Design Company"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414-4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