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공공도서관 사서인식 조사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about the Response to the COVID-19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3, 2020년, pp.203 - 220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로사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도서관계의 서비스 방법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행성 질병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는 국가 중심의 도서관 대책 마련, 둘째,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을 통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공공도서관 비대면 및 온라인서비스 강화, 셋째, 직원 및 이용자 측면에서의 철저한 방역 및 선제적 대응, 넷째, 정보불평등 계층의 디지털 문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도서관서비스 확대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COVID-19 pandemic being prolonged, the society is being converted into an untact society, thereby affecting the service methodology of domestic and foreign library systems. This study thus surveyed the librarians' awareness of COVID-19 response measures of public libraries, and proposed pub...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공공도서관의 대응조치에 관하여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2점 척도로 평균이 일정대로 네트워크 행사 진행이 1.
  • 대응조치가 공공도서관 이용자 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대응조치가 현장 오프라인 이용자 수의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34.
  • 디지털/온라인서비스에 대한 공공도서관의 대응조치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2 점 척도로 평균이 정부IT부서와 긴밀히 협력하여 디지털서비스 제공이 1.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 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국내외적으로 수행된 코로나19의 현황 및 대응 등과 관련된 타 학문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와 문헌정보학계에서 수행된 전염병과 관련된 연구 두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은 국제도서관협회 연맹(IFLA)의 국가도서관분과(CDNL)에서 실시한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전 세계 국가도서관의 상황 및 대처현황을 조사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하여 설계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크게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지며, 문항은 총 73개로 이루어져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공공도서관 사서인식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기된 핵심 논의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대응조치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2점 척도로 평균이 이용자들을 위해 특별 개관 시간 마련이 1.
  • 또한 표본의 선정은 우리나라 총 17개 행정 구역으로서 1개 서울특별시, 6개 광역시(광주, 대구, 대전, 부산, 울산, 인천), 8개 도(강원도, 경기도,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1 개 특별자치시(세종), 1개 특별자치도(제주)에 소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즉, 한 지역에 편중되지 않고 전반적인 국내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보다 실효성이 있는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직원을 대상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대응조치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2점 척도로 평균이 인터넷 비용 지원금 제공이 1.
  •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공공도서관의 주요 우려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5점 척도로 평균이 불확실성이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이유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도서관계의 서비스 방법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은 무엇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도서관계의 서비스 방법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은?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행성 질병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는 국가 중심의 도서관 대책 마련, 둘째,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을 통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공공도서관 비대면 및 온라인서비스 강화, 셋째, 직원 및 이용자 측면에서의 철저한 방역 및 선제적 대응, 넷째, 정보불평등 계층의 디지털 문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도서관서비스 확대를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yunghyang (2020). Public library of the corona19 era. Retrieved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7150300085&code990304 

  2. Kwon Soonman (2020). Lessons of coronavirus. The KAPS, (Spring Issue), 4-7. 

  3. Kim, Namsoon (2020).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COVID-19. Health Welfare ISSUE & FOCUS, (373), 1-12. 

  4. Kim, Sungwon (2020).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library service in the situation of infectious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4(2), 247-267. http://dx.doi.org/10.4275/KSLIS.2020.54.2.247 

  5. Kim, Wan-Jong (2015).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epidemic disease on the number of books checked out of the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4), 273-287.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4.273 

  6. Oh My News (2020). Public library 3.8 billion support to overcome corona19. Retrieved from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60706&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7. Chae, Sumi (2020). COVID-19 and future challenges. Health Welfare ISSUE & FOCUS, (374), 1-7. 

  8. Han Woongkyu (2020). Does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provide the right solution in the corona19 era? Future Horizon, 68-77. 

  9. Ahmed, W., Bath, P. A., Sbaffi, L., & Demartini, G. (2019). Novel insights into views towards H1N1 during the 2009 pandemic: A thematic analysis of Twitter data. Health Information and Libraries, 36, 60-72. https://doi.org/10.1111/hir.12247 

  10. Featherstone, R. M., Lyon, B. J., & Ruffin, A. B. (2008). Library roles in disaster response: An oral history project by the NLM.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6(4), 343-350. https://doi.org/10.3163/1536-5050.96.4.009 

  11. Featherstone, R. M., Boldt, R. G., Torabi, N., & Konrad, S. (2012). Provision of pandemic disease information by health sciences librarians: A multisite comparative case serie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0(2), 104-112. https://doi.org/10.3163/1536-5050.100.2.008 

  12. Guarner, J. (2020). Three emerging coronaviruses in two decades: The story of SARS, MERS, and Now COVID-19. Am J Clin Pathol, 153, 420-421. https://doi.org/10.1093/ajcp/aqaa029 

  13. Malizia, M., Hamilton, R., Littrell, D., Vargas, K., & Olney, C. (2012). Connecting public libraries with community emergency responders. Public Libraries, 57(3), 32-36. 

  14. Wang, T., & Lund, B. D. (2020). Announc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united states' public libraries during the 2020 COVID-19 Pandemic. Public Library Quarterly, 1-12. https://doi.org/10.1080/01616846.2020.1764325 

  15. Wilder-Smith, A., & Freedman, D. O. (2020). Isolation, quarantine, social distancing and community containment: Pivotal role for old-style public health measures in the novel coronavirus (2019-nCoV) outbreak. Journal of Travel Medicine, 1-4. https://doi.org/10.1093/jtm/taaa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