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ub-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Divide: Focusing on the effects of generation and economic statu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2, 2014년, pp.69 - 78  

안정임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  서윤경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현황과 원인을 리터러시의 세부요인을 중심으로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세대와 경제수준 변인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세부요인별로 어떠한 격차를 발생시키는지를 실증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어린이, 청소년, 성인, 고연령층에 이르는 미디어 이용자 총 2,1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세대간 집단 차이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8개 세부요인에 따라 각각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경제수준 역시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나, 세대 변인과의 상호작용 효과에 의해, 성인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causes of digital media literacy divide according to its sub-factors. The effects of the generation and the economic status, among other variables, have been explored using empirical data from a large-scale survey of 2,171 media users including child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다면 경제수준별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았다. <표 4>에서 보듯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요인별 경제수준 집단 간의 차이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 이는 곧 디지털 격차를 설명하는 원인으로서의 세대와 경제수준 간의 상호작용적 영향력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영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날 가능성도 제기해준다.
  • 본 연구는 세대간, 경제수준간 디지털 격차가 디지털 리터러시 세부요인별로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한 리터러시 교육정책의 방향을 가늠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디지털 격차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요인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지금까지 정보 격차의 일차적 원인으로 규명되어온 세대와 경제수준의 집단에 따라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영역별 격차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세 번째 연구문제는 세대와 경제수준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격차가 상호작용을 통해 차별성을 보이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각 세대 집단별로 다시 경제수준으로 인한 격차 여부를 분석해보았다.
  • 연구문제 1 : 미디어 이용자의 세대 집단간 디지털 격차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요인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 연구문제 2 : 미디어 이용자의 경제수준 집단간 디지털 격차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요인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 연구문제 3 : 미디어 이용자의 세대와 경제수준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요인별로 어떠한 상호작용적 영향력을 보이는가?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재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격차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요인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되, 세대와 경제수준의 집단별로 격차의 양상이 어떻게 차별화되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도출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해소를 위한 정책방안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들을 제시해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디지털 격차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요인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지금까지 정보 격차의 일차적 원인으로 규명되어온 세대와 경제수준의 집단에 따라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영역별 격차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격차는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인터넷 보급이 확산되고 일반인들의 미디어 이용기술과 능력이 보편화되면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었던 디지털 격차는 미디어의 질적 활용, 참여와 소통, 창조와 생산 등 다양한 이용의 측면으로 오히려 확대되었고 이로 인한 불평등은 더욱 심화되는 양상이다. 연구자들은 1차적 격차로서의 접근성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된 시점에서 나타나는 2차적 격차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이용자의 질적 미디어 활용, 참여와 소통,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탐색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2].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디지털 격차가 발생하는 영역에 대한 논의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것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에 대한 접근뿐 아니라 비판적 해독, 창의적 표현, 그리고 참여와 소통을 아우르는 다층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3].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제대로 갖추지 못할 경우, 디지털 격차와 불평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전이 우리 사회에 가저온 변화는 어떤 측면을 나타내는가?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전이 우리 사회에 가져온 변화는 두 가지 상반된 측면을 나타낸다. 한편으로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삶의 편의성이 확대되었다 면, 또 한편으로는 미디어 이용의 불평등으로 인한 ‘디지털 격차’가 심화된 것이다. 초기 인터넷 미디어의 기기적 접근에서 출발한 정보격차의 문제는 미디어 기술 발전에 따라 디지털 격차, 모바일 격차, 스마트 격차로 더욱 확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J., Digital divide and digital literacy on the perspective of audience welfar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Vol. 36, 78-108, 2006. 

  2. Kim, M., & Kim, J., Digital Divide: Conceptu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36, No. 4, 123-155, 2002. 

  3. Buckingham, D., Beyond technology: Re-thinking learning in the age of digital culture, In J. Petersen (ed.). Youth, Media, Democracy: Perceptions of New Literacies, 36-42, Dublin: Dublin Institute of Technology, 2009. 

  4. EAVI, "Testing and refining criteria to assess media literacy levels in Europe." final report, 2011. 

  5. Hwang, Y., Park, N., Lee, H., & Lee, W., Exploring digital literacy in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generation gap,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Vol. 56, No. 2, 198-225, 2012. 

  6. Min, Y., The digital divide among internet users,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 48, No. 1, pp.150-187, 2011. 

  7. Ahn, J., Seo, Y., & Kim, S., A Study on the Generation Gap in Media Literacy Awareness in Social Media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6, No. 6, 129-176, 2012. 

  8. Ahn, J., Seo, Y., & Kim, S., Development of Assessment Instrument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3. 

  9. Livingstone, S., Internet literacy: Young people's negotiation of new online opportunities. In T. McPherson (ed.), Digital Youth, Innovation, and the Unexpected. Cambridge, UK: Polity Press, 2008. 

  10. Hargittai, E., & Walejko, G., The participation divide: Content creation and sharing in the digital age.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 11, No. 2, 239-256, 2008. 

  11. Jones, S., & Fox, S., Generation online in 2009,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12. Jang, G.,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divide and generation gap, Korea Local Information & Developmental Institute, Vol. 65, 8-11, 2010. 

  13. Jung, J., Kim, Y., Lin, W., & Cheong, P., The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 on internet connectedness of adolescents in Seoul, Singapore and Taipei, New Media & Society, Vol. 7, No. 1, 64-88, 2005. 

  14. Hargittai, E., Digital na(t)ives? Variation in internet skills and uses among members of the "net generation", Sociological Inquiry, Vol. 80, No. 1, 92-11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