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원격강의 운영에 관한 연구 -시스코 웹엑스 미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 of smart remote lecture - Focusing on Cisco Webex meet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317 - 322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  이가하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원격강의를 올바르게 운영하기 위한 운영방안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을 시작한 학교 중, 시스코사의 웹엑스 미팅으로 원격강의를 진행한 일부 대학의 대학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원격 강의 플랫폼 운영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로 원격강의의 강의 요건을 정립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대학생, 대학원생 총 45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21일부터 5월 15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크게 기본요소, 충족 요소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COVID-19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 상황 혹은 평상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추후 원격 강의 플랫폼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국내 원격강의 플랫폼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operation method for correctly operating remote lectures at universities. Among the universities that start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from some universities who conducted remote lec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헌 조사를 통해 현재 웹엑스의 원격강의 운영 방식을 파악한 뒤 현재 시스코사의 웹엑스 미팅을 통해 원격 강의를 하고 있는 대학생,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원격강의 운영요건에 필요한 토대와 올바른 운영방식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원격강의를 올바르게 진행하기 위한 선행조건으로 교육 운영방안에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 시스코사의 웹엑스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스마트 원격 강의 운영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원격강의의 플랫폼 중 대표적으로 쓰이고 있는 시스코사의 웹엑스를 중심으로 문헌 조사를 통해 원격강의 운영의 구성요소를 나누고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이 원격강의에 있어서 필요한 요건을 알아보았다. 기업의 회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웹엑스는 회의뿐만 아니라 교육 운영 방식에 적절한 하나의 플랫폼으로써 진화되어야 한다.

가설 설정

  • 2) 비디오나 오디오 장치를 아무 때나 수시로 끄고 켜지 않는다.
  • 3) 상대방이 발표할 때에는 마이크를 꺼두어 하울링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5) 내가 신청한 강의가 아니면 아무 때나 함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 엑스는 무엇인가? 하지만 오늘날 많은 직장인은 회의 시간이 업무시간 중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고 말한다. 글로벌 네트워크 및 보안 전문 기업인 시스코의 웹 엑스(Fig. 1)는 이러한 환경을 바꾸겠다는 의지로 개방성에 초점을 둔 웹 컨퍼런스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어떤 장소에서 어떤 기기를 사용하든 쉽게 회의에 참석하고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6].
웹 엑스는 사용자에게 무엇을 제공하는가? 1)는 이러한 환경을 바꾸겠다는 의지로 개방성에 초점을 둔 웹 컨퍼런스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어떤 장소에서 어떤 기기를 사용하든 쉽게 회의에 참석하고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6].
국내 대학에서 강의 도구 플랫폼으로 줌과 시스코사를 주로 사용하는 는? 원격 강의로 개강한 국내 대학들은 미국 기업 ‘줌(Zoom)’사와 ‘시스코(Sisco)’사가 운영하는 화상회의 솔루션을 대게 강의 도구로 채택했다. 유튜브 등도 선택지로 제공되고 있지만, 줌과 시스코사의 플랫폼이 수업 진행에 보다 최적화 되어있어 이들 회사의 솔루션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3]. 한편, 시스코 웹엑스는 최대 1,000명까지 접속 가능한 미팅을 90일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프로모션에 속도를 내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2020). COVID-19, Doopia,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920414&cid40942&categoryId32773 

  2. G. C. Na, (2020). 75% of 4-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1st semester of all remote classes", MBC news today,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today/article/5770360_32531.html 

  3. M. Y Choi, (2020). "The Online Course"... The future ahead of Covid-19, Hankyoreh, http://www.hani.co.kr/arti/economy/it/932957.html 

  4. B. W. Yeo, (2020). Cisco's zoom security controversy offensively spreads WebEx video conference tool, Bloter, http://www.bloter.net/archives/377162 

  5. B. H. Yi, (2020). The world's first meeting, big data is gathered by Microsoft and Google, Joongangilbo Plus, http://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29798 

  6. S. W. Lee, (2019). Reduce work space and time constraints with mobile devices, Dong A,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204/98653976/1 

  7. H. S. Kang, (2020). 'The strength of WebEx is to make it possible to meet students online' Hyun-Seok Kim Professor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Dong A,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402/100479483/1 

  8. H. S. Kang, (2020). 'Crisis is a new opportunity' Yoo In-tae Professor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Dong A,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327/100385867/1 

  9. J. S. Han, (2020). Real-time video lecture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concerns', KTV,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599928 

  10. Y. S. Nam & I. S. Yang. (2020). Notification of "face-to-face lectures" suddenly during the holidays, Joongangilbo Plus, https://news.joins.com/article/23770592 

  11. D. K. Lee, (2020). Phone, Kakao Talk noise, do not know even a video game, Kookmin Daily,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31351&code11131300&cpnv 

  12. Y. Y. Jung, (2020). 'Remote class', 'Video conference', cyber terror flare? Industry "security debate required", Newspim,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408000839 

  13. G. C. Um, (2020). Chungbuk University's remote classes are usually 'seamless', Some colleges are 'not good', News1, https://www.news1.kr/articles/?3876355 

  14. J. E. Huh, (2020). "The Covid-19 Coexistence Era"... The framework for college education, UNN,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29189 

  15. J. D. Kim, (2020). In the post-Corona 19 era, what is the direction of junior college distance classes?, No cut news, https://www.nocutnews.co.kr/news/53438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