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안전 증진을 위한 비행종합시험 인프라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Comprehensive Flight Testing Infrastructure to Increase Aviation Safe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9, 2020년, pp.147 - 153  

김승한 (항공안전기술원) ,  김규범 (가톨릭관동대학교 무인항공학과) ,  임재현 (항공안전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드론 산업이 최근 4차 산업 혁명을 주도하는 분야로 발표되면서 드론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많은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드론 시험비행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고흥 항공센터만으로는 시험비행 요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려우며, 드론과 같이 신규 개발하였거나 기존 형상을 개조한 비행체가 비행시험장이 아닌 곳에서 시험비행을 수행할 시 예측할 수 없는 비행성능이나 조종 미숙으로 인한 잠재적 사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인 및 무인 항공기의 안전 검증을 위해 충분한 시험비행 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비행시험장의 상태와 ICAO DOC 9184-AN / 902 Part 1을 분석 하여, 종합적인 비행 테스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비행 테스트 사이트 예비 평가 방법과 인프라 사이트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demand for drone test flight is rapidly increasing, it is difficult for Goheung Aviation Center alone to meet the test flight demand. Newly developed drones or modified existing aircraft carry potential flight risks due to unpredictable flight performance or poor pilot skill when performing test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CAO DOC 9184-AN/902 Part1를 근간으로 종합비행시험장 인프라 구축과 함께, 안전성 확보와 효율적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가지고, 비행종합시험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무인기의 중첩공역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과 드론 기술 발달에 따른 탄력적인 공역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ICAO DOC 9184-AN/902 Part1를 근간으로 종합비행시험장 인프라 구축과 함께, 안전성 확보와 효율적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가지고, 비행종합시험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무인기의 중첩공역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과 드론 기술 발달에 따른 탄력적인 공역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비행종합시험 인프라 구축 관련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한 현황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내의 개발 및 상용화를 앞둔 유무인기와 해외에서도입 예정인 다양한 형태의 무인기의 안전성 검증을 위해서라도 비행 안전보장이 가능한 시험비행 공간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안전 증진을 위한 유/무인 비행종합시험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 산업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항공 산업은 설계·제작, 운항 등에 있어 4차 산업혁명에서 부각되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로봇공학 등이 실용적으로 접목될 수 있는 분야이다.
비행시험장이 아닌 곳에서 시험비행을 수행할 때, 잠재적 사고의 위험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어떤 확보가 필수적인가? 그러나 드론 시험비행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고흥 항공센터만으로는 시험비행 요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려우며, 드론과 같이 신규 개발하였거나 기존 형상을 개조한 비행체가 비행시험장이 아닌 곳에서 시험비행을 수행할 시 예측할 수 없는 비행성능이나 조종 미숙으로 인한 잠재적 사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인 및 무인 항공기의 안전 검증을 위해 충분한 시험비행 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비행시험장의 상태와 ICAO DOC 9184-AN / 902 Part 1을 분석 하여, 종합적인 비행 테스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비행 테스트 사이트 예비 평가 방법과 인프라 사이트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드론 시험비행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어떤 일이 발생되었는가? 드론 산업이 최근 4차 산업 혁명을 주도하는 분야로 발표되면서 드론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많은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드론 시험비행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고흥 항공센터만으로는 시험비행 요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려우며, 드론과 같이 신규 개발하였거나 기존 형상을 개조한 비행체가 비행시험장이 아닌 곳에서 시험비행을 수행할 시 예측할 수 없는 비행성능이나 조종 미숙으로 인한 잠재적 사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인 및 무인 항공기의 안전 검증을 위해 충분한 시험비행 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2013). 2012 Technology Level Assessment, Seoul 

  2.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2013). 2013 Land Transport Technology Level Assessment, Anyang 

  3.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3). Annual Report of the Council 2010, Quebec 

  4.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0). Aviation Industry Development Basic Plan(2010-2019), Gwacheon 

  5.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2013). 2013 Land transportation R&D trend survey, Anyang 

  6. S. O. Koo. et al.' (2015). Aeronautical Flight Test Evaluation Infrastructure Expansion, Daejeon: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7. S. N. Ha, E. H. Lee, S. M. Jeon. (2019). An Analysis of Airworthiness Requirements for the Certification of Unmanned Aircraft, 2019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402-403 

  8. J. Y. Kang. et al.' (2012). Civil Aviation Safety Technolog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ning, Seoul.: Korea Aerospace University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5.14). Established Korea's first'drone dedicated flight test site', Press release 

  10. JAXA. (n.d.) Flight test facilities (Online). http://www.aero.jaxa.jp/eng/facilities/flight 

  11. FAA. (n.d.). Airport Facilities Terminal Integration Laboratory(Online). https://www.faa.gov/about/office_org/headquarters_offices/ang/offices/tc/about/campus/faa_host/labs/ttms_team/aftil 

  12. https://marshalladg.com/capabilities/technologies/advanced-composites 

  13.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1987). Airport Planning Manual, Doc 9184-An/902, Quebec 

  14. K. S. Kim. et al.' (2014). A Study on Standard Guidelines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Airport Sector Business, Sejong: Korea Development Institut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