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5세 소프트웨어 수업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탐색
The Exploring of Educational Meaning on Software Education for a 5-year-old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9, 2020년, pp.183 - 190  

홍찬의 (배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만5세 유아들에게 컴퓨팅 사고력 중심 소프트웨어 수업을 실행하고, 수업에 참여한 유아와 수업을 실행한 교사에게 각각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분석하여 바람직한 유아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밝혀보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두 곳에서, 만5세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총 10개의 수업을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유아에게 나타난 교육적 의미는 선행 경험에서 문제를 발견하기, 스토리로 시뮬레이션 과정에 다가가기, 소프트웨어 기기를 통해 흥미와 성취감 느끼기였으며, 교사에게 나타난 교육적 의미는 절차적 사고과정을 지원하는 발문하기, 사고과정을 구체적 경험으로 이끌기, 집단 활동과 개별 활동 사이에서 적절하게 오고가기였다. 연구를 통해 발견된 교육적 의미는 바람직한 유아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주었으며, 향후에는 컴퓨팅 사고력 중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computational thinking-based software education for a 5-year-old, and to analyze educational meanings. For the study, a total of 10 activities were applied for 50 children at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5세 소프트웨어 수업을 교실에 적용하여, 수업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 유아와 교사의 측면에서 각각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유아 소프트웨어 수업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심도 있게 ‘발견’하기 위한 연구였으며, 교육적 효과를 ‘가늠’해보기 위한 연구는 아니었다.
  • 본 연구에서 동일 교사가 2개 기관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한 이유는, 같은 수업을 다른 학급에 적용해보며 수업의 성공적 경험 혹은 불만족스러운 경험의 이유를 교사 스스로 객관적으로 탐색해보도록하기 위함이었다. Clandinin(1989)은 교사의 경험은 그 의미를 새롭게 구조화 하거나 또 다른 교수 상황에서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돕기 때문에 수업현상을 이해하는 가장 큰 구실을 한다고 한 바 있다[1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중심 소프트웨어 수업을 실행하고, 수업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지를 미시적으로 바라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수업에 참여한 유아의 측면과 수업을 실행한 교사의 측면에서 나타난 즐거움, 어려움, 교육적 가치, 방향성, 더 좋은 수업을 위한 실마리 등을 발견하여 바람직한 유아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 부호화된 자료는 자료의 경향에 따라 범주별로 나누고, 각 범주별로 다시 세부적인 의미를 찾아내어, 이를 함축적 문장으로 표현하였다. 이것이 곧 본 연구에서 발견하고자 한 교육적 의미가 되었으며, 각각에 대한 증거 자료를 찾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재검토한 후, 해석적 오류를 줄이고자 유아교육학 전공 박사학위소지자 3명으로부터 분석의 과정이 올바르게 진행되었는지 검토 받아,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중심 소프트웨어 수업을 실행하고, 수업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지를 미시적으로 바라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수업에 참여한 유아의 측면과 수업을 실행한 교사의 측면에서 나타난 즐거움, 어려움, 교육적 가치, 방향성, 더 좋은 수업을 위한 실마리 등을 발견하여 바람직한 유아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민경: 야, 뒤로 다섯 칸이면 학교로 가.
  • 정미: (그림 자료 속 홍길동 이름을 가리키며) 선생님, 홍길동은 옛날에 있던 사람이잖아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프트웨어 교육 무엇을 경험하면서 더욱 주목 받게 되었나? 21세기 IT 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강조되어 왔던 소프트웨어 교육은 코로나19 위기를 경험하며 언택트로 개념이 확장되며 더욱 주목을 받게 되었다. 최근 일자리, 교육, 환경, 경제, 미디어 등 각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1], 코로나19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상항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논리적, 협력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보다 절실해졌다.
무엇을 배양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이 절실한가? 21세기 IT 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강조되어 왔던 소프트웨어 교육은 코로나19 위기를 경험하며 언택트로 개념이 확장되며 더욱 주목을 받게 되었다. 최근 일자리, 교육, 환경, 경제, 미디어 등 각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1], 코로나19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상항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논리적, 협력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보다 절실해졌다.
수업에 참여한 유아와 수업을 실행한 교사에게 주는 교육적 의미와 유아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은?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두 곳에서, 만5세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총 10개의 수업을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유아에게 나타난 교육적 의미는 선행 경험에서 문제를 발견하기, 스토리로 시뮬레이션 과정에 다가가기, 소프트웨어 기기를 통해 흥미와 성취감 느끼기였으며, 교사에게 나타난 교육적 의미는 절차적 사고과정을 지원하는 발문하기, 사고과정을 구체적 경험으로 이끌기, 집단 활동과 개별 활동 사이에서 적절하게 오고가기였다. 연구를 통해 발견된 교육적 의미는 바람직한 유아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주었으며, 향후에는 컴퓨팅 사고력 중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Schenker. (2020). The Future After COVID: Futurist Expectations for Chang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TEXAS : Prestige Professional Publishing. 

  2. J. M. Wing.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DOI : 10.1145/1118178.1118215 

  3. M. U. Bers. (2017). Coding as a playground: Programm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New York : Routledge. 

  4. S. J. An & Y. J. Lee. (2014). Implication of Changes in the Foreign Computing Curriculum.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1), 47-51. 

  5. D. Seehorn & L. Clayborn. (2017). CSTA K-12 CS Standards for All. Proceedings of the 2017 ACM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730-730. 

  6. H. Y. Chun, S. Park & J. Sung. (2019).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19(2), 177-196. DOI : 10.21213/kjcec.2019.19.2.177 

  7. S. Y. Yang. (2018). Educational direction based on brain science of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17(1), 61-83. 

  8. J. Sung, J. Lee & J. Park. (2019). Explor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omputin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9(5), 107-132. 

  9. M. Choi & S. Kim. (2019). Exploratory Research on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Focusing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of In-service Teachers.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9(5), 159-180. 

  10. J. Lim & Y. Choi. (2020). Teacher's Practice and Reflection in Softwar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9), 401-423. 

  11. D. J. Clandinin. (1989).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series: Developing rhythm in teaching: The narrative study of a beginning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f classrooms. Curriculum Inquiry, 19, 121-141. 

  12. J. Cho, K. Lee, E. Kho, C. Hong, Y. Lee & E. Moon. (2018). New Curriculum of Software Education for 5-Years-Old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Dynamical & Control Systems, 10(14), 374-381. 

  13. C. Hong & C. Park. (2014). A Study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herent in the Education Planning of Kindergarten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9(5), 5-28. 

  14. Y. S. Lee. (2003). Its Instruction Model for Early Childhood.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0(1), 167-206. 

  15. K. Egan. (1986). Teaching a storytell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J. Jung, S. Park & M. Jang. (2016).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Storytell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15(3), 71-97. 

  17. K. Lee, D. Seo & E. Eom. (2009).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in Kindergarten as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2), 271-298. 

  18. S. Yoo, Y. Lee & Y. Shon. (2007). The Research on Kindergarten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Strategy of Maintaining their Class during The Large Group Discuss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2), 249-272. 

  19. A. Sullivan, M. Bers & A. Pugnali. (2017). The impact of user interface on young children's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s in Practice, 16(1), 171-193. 

  20. K. Hong, J. Jo & C. Park. (2017).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 469-4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