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구나 수기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이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M using Instrument or Manual Therapy on Muscle Activ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9, 2020년, pp.200 - 205  

김충유 (부산성모병원 재활의학과) ,  강종호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IASTM)과 도수 근막이완술(MFR)이 위팔두갈래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모든 대상자는 3일 동안 실험에 참석하여 위팔갈래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첫 날은 중재 전 근활성도 값을 측정하였고, 남은 이틀은 임의의 순서로 각각의 수기요법을 중재 후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근활성도 값은 대응t검정과 독립t검정을 통해 비교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두 중재(IASTM, MFR) 모두 중재 전후로 유의하게 위팔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중재 후 집단간 근활성도 값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수기요법(IASTM, MFR) 모두 신경근 조절 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임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strument-assisted soft mobilization (IASTM) and manual myofascial release (MFR) 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biceps brachii.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3 days and measured m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ASTM 및 도수 MFR의 적용에 따른 신경근 조절능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위팔두갈래근에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중재 적용 전에 비해 높은 %MVIC 값을 보였고, 집단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이에 본 연구는 근전도를 이용하여, 도구를 이용한 IASTM 방법과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도수 근막이완술 방법을 비교하여, 신경근 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수기요법에 대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는 어디인가? 많은 현대인들은 근골격계 통증 문제를 겪고 있다. 근골격계 통증은 목, 어깨, 허리와 같은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한다[1]. 이러한 문제들은 반복적인 작업이나 과도한 부하에 의해서 발생하며, 만성통증으로 이어지게 된다[2].
근골격계 통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근골격계 통증은 목, 어깨, 허리와 같은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한다[1]. 이러한 문제들은 반복적인 작업이나 과도한 부하에 의해서 발생하며, 만성통증으로 이어지게 된다[2]. 결과적으로 증상이 악화됨에 따라 우울증을 겪을 수도 있고, 삶의 질도 떨어지게 된다[3].
누적 상해 주기는 언제 발생하는가? 누적 상해 주기는 우리 인체는 잘못된 자세나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해 근 조직에 부하가 누적이 되고 근피로의 발생과 함께 혈액 및 산소의 공급을 제공받지 못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된다[10]. 혈액 및 산소를 제대로 공급받지 못한 근육은 근육의 약증이 생기게 되며, 지속적인 근 조직에 제공된 누적된 부하는 미세외상을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 Borhany, I. Shahid, W. A. Siddique & H. Ali. (2017). Musculoskeletal problems in frequent computer and internet users. J Family Med Prim Care, 7(2), 337-339. DOI : 10.4103/jfmpc.jfmpc_326_17 

  2. B. R. da Costa & E. R. Vieira. (2010).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Longitudinal Studies. Am J Ind Med, 53(3), 285-323. DOI : 10.1002/ajim.20750 

  3. E. H. Tuzun, G. Albayrak, L. Eker, S. Sozay & A. Daskapan. (2004). A Comparison Study of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Fibromyalgia and Myofascial Pain Syndrome. Disabil Rehabil, 24(4), 198-202. DOI : 10.1080/09638280310001639696 

  4. L. Tekin, S. Akarsu, O. Durmus, E. Cakar, U. Dincer & M. Z. KiralpE. (2013). The Effect of Dry Needling in the Treatment of Myofascial Pain Syndrome: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Trial. Clin Rheumatol, 32(3), 309-315. DOI : 10.1007/s10067-012-2112-3 

  5. O. A. Garcia-Espinoza, O. Salas-Fraire, P. P. Flores-Garza, K. Salas-Longoria & J. A. Valadez-Lira. (2017). Analgesic effect of whole body cryotherapy in patients with trapezius myofascial pain syndrome: A longitudinal, non-blinded, experimental study. Medicina Universitaria, 19(76), 115-122. DOI : 10.1016/j.rmu.2017.07.004 

  6. F. J. M. Aguilera, D. P. Martin, R. A. Masanet, A. C. Botella, L. B. Soler & F. B. Morell. (2009). Immediate Effect of Ultrasound and Ischemic Compression Techniques for the Treatment of Trapezius Latent Myofascial Trigger Points in Healthy Subject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 Manip. Physiol. Ther, 32(7), 515-520. DOI : 10.1016/j.jmpt.2009.08.001 

  7. D. H. Kim, T. H. Kim, D. Y. Jung & J. H. Weon. (2014). Effects of the Graston Technique and Self-myofascial Release on the Range of Motion of a Knee Joint. J Korean Soc Phys Med, 9(4), 455-463. DOI : 10.13066/kspm.2014.9.4.455 

  8. J. Stanek et al. (2018). Comparison of Compressive Myofascial Release and the Graston Technique for Improving Ankle-Dorsiflexion Range of Motion. J Athl Train, 53(2), 160-167. DOI : 10.4085/1062-6050-386-16 

  9. J. H. Park et al. (2016). Literature Review of Tool-based Manipulation for Musculoskeletal Diseases-with Focus on Guasha and IASTM. JKMR, 26(4), 57-65. DOI : doi.org/10.18325/jkmr.2016.26.4.57 

  10. Z. A. Iqbal & A. H. Alghadir. (2017).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review. J BACK MUSCULOSKELET, 30(4), 663-666. DOI : doi.org/10.3233/BMR-150266 

  11. J. H. Lee, D. K. Lee & J S. Oh. (2016). The effect of Graston technique on the pain and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Phys Ther Sci, 28(6), 1852-1855. DOI : doi.org/10.1589/jpts.28.1852 

  12. S. W. Cheatham., M. Lee, M. Cain & R. Baker. (2016). The efficacy of instrument 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a systematic review. J Can Chiropr Assoc, 60(3), 200-211.PMID: 27713575 

  13. S. J. Kim. (2011). The effect of Meridian Scraping Therapy on collum & shoulder Myofascial Pain Syndrome. IJCAM, 7(10), 27-35. 

  14. J. Burke, D. J. Buchberger, M. T. Carey-Loghmani, P. E. Dougherty, D. S. Greco & J. D. Dishman. (2007). A Pilot Study Comparing Two Manual Therapy Interventions for Carpal Tunnel Syndrome. J Manipulative Physiol Ther, 30(1), 50-61. DOI : 10.1016/j.jmpt.2006.11.014 

  15. Y. J. Chol, H. P. Sim & J. Y. Lee. (2019). The Pilot Study on the Immediate Effects of Graston Technique for Lower Extremity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Walking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25(1), 21-27. 

  16. M. Arroyo-Morales et al. (2008). Psychophysiological effects of massage-myofascial release after exercise: a randomized sham-control study. J Altern Complement Med, 14(10), 1223-1229. DOI : 10.1089/acm.2008.0253. 

  17. H. K. Seo. (2008). The Effect of Myofascial Release, Joint Mobilization, and Mckenzine on the Cervical Muscle Activity. Doctoral Dissertation of Daegu university. 

  18. G. M. Gehlsen et al. (1999). Fibroblast responses to variation in soft tissue mobilization pressure. Med Sci Sports Exerc, 31(4), 531-535. DOI : 10.1097/00005768-199904000-00006. 

  19. B. E. Seo et al. (1996).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Physical Therapists. Physical Therapy, 76(8), 827-835. DOI : 10.1093/ptj/76.8.8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