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3, 2020년, pp.341 - 349  

이윤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하시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최선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연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7년 8월 국립횡성숲체원에서 진행된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에 참가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직무연수 참여 전과 후에 교사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효능감과 관련해 교사의 자신감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실질적인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 training. The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Activities, in Hoengseong, Korea in August 2017. Presurveys and postsurveys were administered to 46, K-12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다양한 특수분야 연수 주제들 가운데 교사의 교육적 관심을 이끌어 내고, 이를 통해 학교 산림교육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산림교육이 가진 교육적 효과성을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산림교육 직무연수에 참가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향후 보다 효과적인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설계ㆍ보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연환경은 무엇인가? 나무와 숲은 우리와 가까이 있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연환경이다. 숲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생명을 지지해주는 근원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ㆍ생태적ㆍ사회적ㆍ문화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한다(Kim, 2003).
교사의 환경감수성은 교육의 실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유는? 숲교육을 통한 성인들의 환경감수성 증진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교사는 직무연수의 참여자이며 교실로 돌아가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들의 환경감수성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Shin(2005)은 환경교육이 지식 전달만 아니라 태도와 가치관의 문제를 내포하기 때문에 교사의 환경감수성은 교육의 실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교사가 환경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환경에 대한 교육은 거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고 하였다.
국립횡성숲체원에서 진행된 교원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2017년 8월 국립횡성숲체원에서 진행된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에 참가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직무연수 참여 전과 후에 교사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효능감과 관련해 교사의 자신감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실질적인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shton, P.T. 1985. Motivation and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C. Ames & R. Ames(Eds.).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2. Orlando. FL: Academic Press. 

  2. Cho, K.S., Lee, S.K., Kim, I.H., Kim, S.W. and Chun, Y.W. 2011. Needs assessment of teachers on in-service training programme for forest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4): 43-57. 

  3. Cho, K.S. 2013. Analysis of participating teachers' experiences with the current forest education program offered by a youth organization: Focused on the association of green rang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19-32. 

  4. Choi, H.S. and Lee, S.S. 2011. Effect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natural materials on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4): 163-185. 

  5. Hur, Y.S. 2005. A study of children and teacher's experience showing in natural friendly education activitie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6. Hwang, X., Park, S.J. and Park, S.J. 2016. The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on teacher efficacy.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7(4): 21-42. 

  7. Kang, B.J. and Kim, K.S.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ool to evaluate kindergarten teachers'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4(1): 39-57. 

  8. Kang, J.E. and Kim, E.J. 2019. A study on the natur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areful thinking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forest-experiencing activity based on the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6(1): 231-255. 

  9. Kang, S.M., Lee, J.H. and Jeong, Y.O.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perience activity using school forest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2): 105-124. 

  10. Kang, Y.S. and Kim, Y.S. 2012. An effect of forests activities for life respect o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2): 1-18. 

  11. Kim, A.Y. and Kim, M.J. 2004. Validation of teacher-efficac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1): 37-58. 

  12. Kim, E.H. and Lee, S.W. 2010. Analysis of variables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1): 135-159. 

  13. Kim, H.J. and Hong, H.K. 2007. The effect of a training program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care teachers' demands on teacher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167-193. 

  14. Kim, Y.H. 2003. Cas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 link between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est education policy direction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Korea Forest Servic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Conference: 40-58. 

  15. Korea Forest Service. 2007. A research on strengthening forest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16. Korea Forest Service. 2009. The latest information on forests that every teenager must know - Forest IQ200. 

  17. Korea Forest Service. 2010.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pproved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to strengthen school forest education. 

  18. Korea Forest Service. 2011a.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pproved textbook for middle school to strengthen school forest education. 

  19. Korea Forest Service. 2011b. Standard-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raining teacher to strengthen forest education. 

  20. Korea Forest Service. 2018. Forest education master plan (2018-2022). 

  21. Korea Forest Service. 2016. Forest education promotion act. http://law.go.kr. (2018.02.21). 

  22. Lee, G.E. 2013.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each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3. Lee, H.B., Cho, K.S. and Chun, Y.W. 2013. Determining factors and criteria for evaluating the teacher's forest education in-service curriculum.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6(2): 208-225. 

  24. Lee, H.B., Cho, K.S. and Lee, J.W. 2014. Developing the rubric evaluation tool for evaluat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teacher's forest education in-service curriculum.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7(2): 133-149. 

  25. Lee, H.J. 1998. A study on a teacher-efficacy scale development.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6. Lee, J.H. and Hong, H.K. 2011. The effects of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an infant and toddler teacher on teachers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4): 233-260. 

  27. Lee, J.Y., Kim, I.H., Jeon, J.I., Jung, S.J., Gwak, J.N., Song, S.A. and Kwon, H.S.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ramework for analyzing forest education paradigm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1(1): 31-44. 

  28. Lee, M.H. 2012. Development of teacher-training for improvement of teaching 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37(2): 21-55. 

  29. Lee, S.D. and Kim, H.G. 2010. A review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47(2): 65-86. 

  30. Ministry of Education. 1953. Educational officials act. http://law.go.kr. (2019.08.20). 

  31. Ministry of Education. 2018. 2019 Teacher training promotion direction. https://www.moe.go.kr. (2018.10.10). 

  32. Park, J.M. 2011. A study for developing the scale of pro-environmental attitude in the classroom for preschool teachers. (Dissertation).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3. Ryu, H.S., Jang, J.A., Kim, J.J. and Cho, H.S. 2008. The effect of discussion using ecological pictures on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7(1): 57-72. 

  34. Ryu, S.H., Park, Y.Y. and Lee, S.W. 2013. The effects of gardening activities promoting nature-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ature-friendly attitude. Korean Education Inquiry 31(3): 1-20. 

  35. Shin, O.R. 2005. Early age's environmental education reality analysis: Focused on kindergartens and governmen supported kindergartens in Seoul.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36. Yi, S.H., Kim, B.K., Pack, Y.H., Cho, Y.H., Kim, D.W., Park, J.E. and Lee, E.K. 2019. Effects of a natural-object-based forest activity program on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y, motor skills, nature-friendly attitude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knowledge of nature.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6(3): 139-170. 

  37. Yoon, H.S., Kim, H.K., Lee, K.Y. and Cho, H.H. 2012. The effect of free inquiry teacher training program on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ing efficacy. Korean Journal of Teahcer Education 28(3): 343-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