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와 농촌에서 발생한 독사 교상 환자의 임상적 양상과 합병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inical Features and Complications of Snake Bite Pati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5 no.3, 2020년, pp.154 - 161  

홍성준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  이주환 (대구파티마병원 응급의학과) ,  최우익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 ,  진상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 ,  전재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도시와 농촌에서 발생한 독사 교상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합병증 발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독사 교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2013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7년간의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환자는 독사 교상이 발생한 지역에 따라 도시지역 그룹과 농촌지역 그룹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성과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체 77명의 연구대상 중 44명(57.1%)이 농촌지역 그룹으로 조사되었다. 도시에서 발생한 독사 교상 환자보다 농촌지역 환자에서 평균 연령이 높았고, 중등도도 높았으며, 교상 장소에서 병원까지의 거리가 멀어 항뱀독소 치료를 포함한 응급처치 지연으로 급성 신기능 부전, 횡문근융해증, 혈액 응고 장애와 같은 합병증 발생이 많았다. 독사 교상에서 핵심이 되는 치료는 항뱀독소 치료로 교상 후 가능한 빨리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진행한 후에 항뱀독소를 투여할 경우, 초기투여 시보다 더 많은 양의 항뱀독소 투여가 필요하다. 농촌은 의료 취약 지역으로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고 고령의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나쁜 예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방의 중소형 병원에서도 항뱀독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그러지 못할 때는 빠르게 대형 병원으로의 이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and complications of snake bite pati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over 18 years of age who were hospitalized for snake bites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9. Patients w...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도시와 농촌에서 발생한 독사 교상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합병증 발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 저자들은 지역에 따른 독사 교상의 임상적 특징과 중등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시에서 발생한 독사 교상보다 농촌지역의 환자군에서 평균 연령이 높았고, 중등도도 높았으며, 교상 장소에서 병원까지의 거리가 더 멀었고, 사용된 항뱀독소 투여양도 많았다.
  • 독사 교상은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가 중요하며 잘못된 처치는 오히려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2]. 이에 저자들은 농촌지역에서 독사 교상으로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여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과 합병증을 도시지역과 비교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Venomous snakes distribution and species risk categori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ited 2013 Oct 20].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bloodproducts/snakeantivenoms/database/default.htm. 

  2. Lim H, Kang HG, Kim KH. Antivenom for snake bite in Korea. J Korea Med Assoc 2013;56(12):1091-1103 (Korean) 

  3. Lim CY, Lee JH, Moon TI, Chu YS, Ko TI, Sohn SW, Choi SW, Kim OJ. A case of severe snake bites of the genus Agkistrodon for pediatric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2):128-132 (Korean) 

  4. Lyu HG, Kim DK, Choi CS, Baek BC, Jang YU. The management of snake bite. J Korean Surg Soc 1991 Aug;41(2):238-246 (Korean) 

  5. Parrish HM, Neser WB, Silberg SL. Copperhead bites in Delaware: results of a survey and suggested treatment. Del Med J 1968;40(6):169-173 

  6. Scharman EJ, Noffsinger VD. Copperhead Snakebites: Clinical severity of local effects. Ann Emerg Med 2001;38(1):55-61 

  7. Jin SC, Lee JW, Yang SJ, Joo MD, Choi WI. Consider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and systemic symptoms of snake bites. J Korean Soc Emerg Med 2008;19(6):686-696 (Korean) 

  8. Kang S, Moon J, Chun B. Does the Traditional snakebite severity score correctly classify envenomated patients? Clin Exp Emerg Med 2016;3(1):34-40 (Korean) 

  9. Sajevic T, Leonardi A, Krizaj I. Haemostatically active proteins in snake venoms. Toxicon 2011;57(5):627-645 

  10. Athappan G, Balaji MV, Navaneethan U, Thirumalikolundusubramanian P. Acute renal failure in snake envenomation: a large prospective study. Saudi J Kidney Dis Transpl 2008;19(3):404-410 

  11. Lee BJ, Hong SI, Kim HS, Kim TH, Lee JH, Kim HJ, Ryu BY, Kim HK. Hematological features of coagulopathy and the efficacy of antivenin therapy for a Korean snakebite. J Korean Surg Soc 2007;72(1):18-26 (Korean) 

  12. Larreche S, Mion G, Mayet A, Verret C, Puidupin M, Benois A, Petitjeans F, Libert N, Goyffon M. Antivenin remains effective against African Viperidae bites despite a delayed treatment. Am J Emerg Med 2011;29(2):155-161 

  13. Kumar KS, Narayanan S, Udayabhaskaran V, Thulaseedharan NK. Clinical and epidemiologic profile and predictors of outcome of poisonous snake bites an analysis of 1,500 cases from a tertiary care center in Malabar, North Kerala, India. Int J Gen Med 2018;11:209-216 

  14. Khina M, Nyuntb T, Ooc NT, Hlad Y. Prognostic indicators in patients with snakebite: Analysis of two-year data from a township hospital in central Myanmar. WHO South-East Asia J Public Health 2012;1(2):144-150 

  15. Ozay G, Bosnak M, Ece A, Davutoglu M, Dikici B, Gurkan F, Bosnak V, Haspolat K.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nakebite poisoning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ediatr Int 2005;47(6):669-675 

  16. Feitosa EL, Sampaio VS, Salinas JL, Queiroz AM, Silva IM, Gomes AA, Sachett J, Siqueira AM, Ferreira LCL, dos Santos MC, Lacerda M, Monteiro W. Older age and time to medical assistance are associated with severity and mortality of snakebites in the Brazilian Amazon: a case control study. PLoS One 2015;10(7):e0132237 

  17. You JS, Chung SP, Kim EC, Lee HS, Kim SH. Survey of the antidote stocking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Korea.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7;5(2):106-111 (Korean) 

  18. Lee BY, Jung SM. A study on related factors use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literacy among the vulnerable elderly in community.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8;43(3):147-157 (Korean) 

  19. Jeon JC, Lee DH, Kwon GY, Kim SJ. Relation of first aid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after snake bites.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9;7(2):105-11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