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세대의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추구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102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3시간 미만'이 54.9%로 가장 많았다.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r=.349,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466, p<.001)는 건강추구행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상자의 성별(β=.22, p=.012), 질병유형(β=.23, p=.013), 주관적 건강상태(β=.38, p<.001)가 건강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 수준을 높이고 건강추구행동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level of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behaviors. Subjects were 102 senior citizens who used the internet at least once in the last month and visited elderly community centers and welfare cent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5.0. Fifty five percent of subjects responded the average weekly internet usage hours was 'less than 3 hours', The e-health literacy (r=.349,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r=.466,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seeking behavior. Subjects' gender (β=.22, p=.012), type of disease (β=.23, p=.013)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β=.38,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seeking behavi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the level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o improve of their health-seeking behavior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e-헬스 리터러시 | e-헬스 리터러시란? |
인터넷상에서 건강정보를 추구하고, 탐색하며, 이해하고, 평가하는 능력이자, 건강 문제를 다루고 해결하기 위해서 얻어진 지식을 적용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10].
인터넷을 통해 적극적으로 건강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는 이용자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고[8]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정보 중에 필요로 하는 양질의 정보를 정확히 찾아서 해석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정보화 시대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9]. 이러한 경향은 ‘e-헬스 리터러시(e-Health literacy)’라는 개념을 도출하였는데, ‘e-헬스 리터러시’는 인터넷상에서 건강정보를 추구하고, 탐색하며, 이해하고, 평가하는 능력이자, 건강 문제를 다루고 해결하기 위해서 얻어진 지식을 적용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10].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노인의 질병 양상 대부분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임을 고려할 때 현 시대의 노인들은 건강 유지와 질병 치료를 위해 건강정보를 추구한다. |
노인의 건강추구행동 | 노인의 건강추구행동에 e-헬스 리터러시가 미치는 영향이 있나요? |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
e-헬스 리터러시는 노인의 건강추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연구에서의 노인의 인터넷 사용 목적은 정보 검색 및 수집 외에 쇼핑, 게임, 메신저를 주로 사용하는 노인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e-헬스 리터러시는 건강추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일반적으로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은 노인일수록 건강 추구행동의 수준이 높다는 선행연구[15,24]와는 상이한 결과였다. |
심뇌혈관질환자 | 심뇌혈관질환자가 만성질환을 보유한 노인에 비해 건강추구행동의 정도가 낮은 이유는? |
건강생활습관은 노년기에서 형성되는 것보다 이전부터 일상생활 속에 습관화가 되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고착화된 잘못된 생활 습관 개선이 쉽지 않았을 것이고, 이런 요인으로 인해 만성질 환자 노인보다 건강추구행동 정도가 낮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을 보유한 노인의 자가 혈압측정, 혈당측정, 지식과 태도, 투약관리와 같은 자기 관리 행위가 자연스레 건강추구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여겨지 며, 흡연, 음주, 비만, 신체활동 부족은 심뇌혈관질환과 관련성이 큰 건강 요인이다. 이러한 건강생활습관은 노년기에서 형성되는 것보다 이전부터 일상생활 속에 습관화가 되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고착화된 잘못된 생활 습관 개선이 쉽지 않았을 것이고, 이런 요인으로 인해 만성질 환자 노인보다 건강추구행동 정도가 낮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