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seeking Behaviors of Elderly Using the Internet in the Community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321 - 332  

송지현 (이대서울병원) ,  신수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세대의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추구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102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3시간 미만'이 54.9%로 가장 많았다.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r=.349,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466, p<.001)는 건강추구행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상자의 성별(β=.22, p=.012), 질병유형(β=.23, p=.013), 주관적 건강상태(β=.38, p<.001)가 건강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 수준을 높이고 건강추구행동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level of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behaviors. Subjects were 102 senior citizens who used the internet at least once in the last month and visited elderly community centers and welfare centers. Collect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추구행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e-헬스 리터러시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와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추구행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본 연구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을 살피고, 더 나아가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추구행동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인터넷 건강정보를 활용하여 노인의 건강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며 건강추구행동 증진을 위한 교육 전략과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헬스 리터러시란? 인터넷을 통해 적극적으로 건강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는 이용자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고[8]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정보 중에 필요로 하는 양질의 정보를 정확히 찾아서 해석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정보화 시대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9]. 이러한 경향은 ‘e-헬스 리터러시(e-Health literacy)’라는 개념을 도출하였는데, ‘e-헬스 리터러시’는 인터넷상에서 건강정보를 추구하고, 탐색하며, 이해하고, 평가하는 능력이자, 건강 문제를 다루고 해결하기 위해서 얻어진 지식을 적용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10].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노인의 질병 양상 대부분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임을 고려할 때 현 시대의 노인들은 건강 유지와 질병 치료를 위해 건강정보를 추구한다.
노인의 건강추구행동에 e-헬스 리터러시가 미치는 영향이 있나요? e-헬스 리터러시는 노인의 건강추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연구에서의 노인의 인터넷 사용 목적은 정보 검색 및 수집 외에 쇼핑, 게임, 메신저를 주로 사용하는 노인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e-헬스 리터러시는 건강추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일반적으로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은 노인일수록 건강 추구행동의 수준이 높다는 선행연구[15,24]와는 상이한 결과였다.
심뇌혈관질환자가 만성질환을 보유한 노인에 비해 건강추구행동의 정도가 낮은 이유는?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을 보유한 노인의 자가 혈압측정, 혈당측정, 지식과 태도, 투약관리와 같은 자기 관리 행위가 자연스레 건강추구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여겨지 며, 흡연, 음주, 비만, 신체활동 부족은 심뇌혈관질환과 관련성이 큰 건강 요인이다. 이러한 건강생활습관은 노년기에서 형성되는 것보다 이전부터 일상생활 속에 습관화가 되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고착화된 잘못된 생활 습관 개선이 쉽지 않았을 것이고, 이런 요인으로 인해 만성질 환자 노인보다 건강추구행동 정도가 낮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S. H. Kim. (2019.05.). 2018 Internet Usage Survey Report.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Online). https://www.kisa.or.kr/public/library/etc_View.jsp?regno0011998&searchType&searchKeyword&pageIndex1 

  2. M. Y. Kim & H. J. Jun. (2016). Longitudinal Trends(2004-2014) of the Use and Non-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482-494. DOI : 10.5762/KAIS.2016.17.6.482 

  3. C. Phellas. (2012). Aging in European societies: Healthy aging in Europe (Vol. 6). New York :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 G. H. Jung. (2018). 2017 Elderly Survey Results Report. Seoul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12.05). Life table. Statistical Office(Online). http://kosis.kr/index/index.do 

  6. T. R. Huerta, D. M. Walker, T. Johnson & E. W. Ford. (2016). A time series analysis of cancer-related information seeking: Hints from the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HINTS) 2003-2014.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1(9), 1031-1038. DOI : 10.1080/10810730.2016.1204381 

  7. P. C. I. Pang, S. Chang, K. Verspoor & J. Pearce. (2016). Designing health websites based on users' web-base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a mixed-method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8(6), e145. 

  8. G. Liobikiene & J. Bernatoniene. (2018). The determinants of access to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knowledge of health related topics in European countries. Health Policy, 122(12), 1348-1355. DOI : 10.1016/j.healthpol.2018.09.019 

  9. S. M. Lee & Y. H. Nam. (2018). The Effect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Behavior in Health Science Majo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9(2), 77-86. 

  10. C. D. Norman & H. A. Skinner. (2006). eHEALS: The eHealth literacy scal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8(4), e27. 

  11. W. J. Cao et al. (2012). Factor analysis of a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HPLP): application to older adults in Mainland China.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5(3), 632-638. 

  12. D. J. Park, M. S. Kwon & J. H. Choi. (2013).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ttitud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on Personal Health Behavior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7(3), 379-413. 

  13. H. J. Lee. (2014). An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2), 989-999. DOI : 10.5762/KAIS.2014.15.2.989 

  14. U. R. Im. (2014). Research concerning the influence personal e-health literacy has on the reliability of on-line medical information.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5. J. H. Jeong & J. S. Kim. (2014).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1), 65-73. 

  16. H. J. Jeong & J. H. Bae. (2018). The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Social-Support on Medication Adherence in Elder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7), 419-428. 

  17. S. J. Chang, E. J. Yang, H. J. Ryu, H. J. Kim & J. Y. Yoon. (2018).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eHealth Literacy Scale in Korea.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30(5), 504-515. DOI : 10.7475/kjan.2018.30.5.504 

  18. J. E. Ware. (1976). Scales for measuring general health perceptions. Health Services Research, 11(4), 396. 

  19. D. L. Speake, M. E. Cowart & K. Pellet.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2), 93-100. 

  20. Y. S. Hong. (1998). Barriers to Health-Seeking Behavior in Midlife Wome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7(2), 121-129. 

  21. W. C. Kim. (2015). Influence of exercise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in older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1), 549-559. DOI : 10.14400/JDC.2015.13.11.549 

  22. S. N. Walker, K. R. Sechrist & N. J. Pender. (1995).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College of Nursing, Omaha :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23. H. M. Seo & Y. S. Ha (2004).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 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7), 1288-1297. 

  24. H. J. Ryu. (2019). The association betwee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 in elderly people.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S. J. Czaja et al. (2012). Factors influencing use of an e-Health website in a community sample of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20(2), 277-284. 

  26. W. C. Kim (2015). Influence of exercise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in older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1), 549-559. DOI : 10.14400/JDC.2015.13.11.549 

  27. Y. C. Song. (2018).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Urban Low-Income Old Adults. Health & Nursing, 30(2), 11-20. 

  28. S. H. Yi. (2014).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Preschool Grand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Pusan. 

  29. B. Tennant et al. (2015). eHealth literacy and web 2.0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mong baby boomers and older adult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7(3), e70. 

  30. S. W. Ryu & Y. J. Ha. (2004).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4(11), 71-87. 

  31. J. A. Gazmararian, M. V. Williams, J. Peel & D. W. Baker. (2003). Health literacy and knowledge of chronic diseas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1(3), 267-275. 

  32. S. S. Lee, H. J. Son, D. S. Lee & H. W. Kang. (2017).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2(4), 55-67. DOI : 10.21097/ksw.2017.11.12.4.55 

  33. W. K. Kim. (2012).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1(5), 89-98. 

  34. S. J. Park & Y. H. Lee. (2016).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Attitude, and Health Concer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Adul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12), 192-202. 

  35. H. S. Jeong & O. S. Kim. (2013).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Health & Nursing, 25(2), 35-46. 

  36. R. Wang et al. (2019). Prevalence of tobacco related chronic diseases and its role in smoking cessation among smokers in a rural area of Shanghai, China: a cross 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19(1), 753. 

  37. M. S. Lee. (2017).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 among Older Adults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esiding in Rural Area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9(3), 256-265. DOI : 10.7475/kjan.2017.29.3.256 

  38. G. R. Rios. (2013). eHealth literacy and older adults: a review of literature.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29(2), 116-125. 

  39. J. W. Park & M. Y. Kim. (2017). A Comparison Study of e-health Literacy and Self-care Agency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Non-health Department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4), 439-449. 

  40. M. S. Jeon. (2015).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 of the health status, future prospects,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ith the Elderly Using In-Home Services for the Elderly.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4, 131-151. 

  41. J. M. Ocampo. (2010). Self-rated health: importance of use in elderly adults. Colomvia Medica, 41(3), 257-289. 

  42. M. I. Kim, S. W. Lee & H. J. Kim. (2013). A Study on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in Seoul According to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3), 327-360. 

  43. H. Y. Kim. (2010). Community Inequalities in Health : The Contextual Effect of Social Capital,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44, 59-92. 

  44. N. G. Choi & D. M. DiNitto. (2013). The digital divide among low-income homebound older adults: Internet use patterns, eHealth literacy, and attitudes toward computer/Internet us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5(5), e93. 

  45. N. T. Artinian et al. (2010).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lifestyle changes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 reduction in adult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2(4), 406-441. DOI : 10.1161/CIR.0b013e3181e8edf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