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복령균핵,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용매별 생리활성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mycelium, sclerotium, and fruiting body of Wolfiporia cocos (F.A. Wolf) Ryvarden & Gilb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8 no.3, 2020년, pp.244 - 253  

안기홍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조재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김옥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이찬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한재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령 발달단계인 균사체(mycelium), 균핵(sclerotium) 및 자실체(fruiting body)에 대한 열수(hot-water), 70% 주정(70% EtOH) 및 70% 메탄올(70% MeOH) 용매별 생리활성 성분과 발달단계별 건조시료의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단계별 시료 중에서 균사체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균핵과 자실체와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별 결과, 균사체의 경우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균핵은 70% 주정추출물(70% EtOH)에서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으며, 자실체는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균사체, 균핵 및 자실체 건조시료 중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균핵에서 균사체와 자실체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자실체와 균사체에서 균핵과 비교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그 중 알기닌(Arg)과 페닐알라닌(Phe)이 높게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the mycelium, sclerotium, and fruiting body of Wolfiporia cocos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hot water, 70% ethanol, and 70% methanol). Among the three developmental stages, the mycelium extracts showe...

Keyword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복령의 산업적 용도 다양화를 위하여 톱밥을 이용한 봉지재배 방법으로 복령1호를 재배하여 수확한 균핵(sclerotium)과 봉지재배 과정에서 일부 생산된 복령의 자실체(fruiting body) 및 접종원으로 PDA 배지에서 배양한 복령 균사체(mycelium)에 대한 추출용매별(열수, 70% 주정, 70%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 중 항산화 활성, 베타글루칸 성분함량 및 영양성분 등의 차이를 비교하여 복령 균핵 이외의 균사체 및 자실체의 활용가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령이란? 복령(Wolfiporia cocos)은 복령속(Wolfporia) 구멍장이 버섯과(Polyporaceae)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으로 분류되며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는 갈색부후균류이다. 복령의 학명 중 ‘poria’는 그리스어로 ‘구멍’을 의미하며 ‘cocos’는 코코넛의 속명에서 따온 것으로 둥근 균핵의 모양을 의미한다.
복령 균사의 형태적 특성은? 복령은 자연계에서 일반 버섯류와 동일한 생활사를 거치며 균사가 증식하여 균핵을 형성하거나 자실체를 형성하게 되는데(Kim et al., 2002), 균사의 형태적 특성은 격막이 없는 많은 섬유상 세포로 구성되며 세포 증식, 분지생장, 핵상 교환방식 등의 생식과정은 일반 담자균과 동일한 형식으로 이루어진다(Jo et al., 2013).
복령 자실체의 실용가치는 어떠한가? 자실체는 벌집형태의 육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처음에는 흰색이다가 점차 연한 갈색을 변하며 공극은 다각형이다. 자실체는 일반적으로 식용 등의 실용가치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n GH et.al. 2019. Comparison of physiology activity of medicinal mushroom produced in Korea and China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J Mushrooms 17: 34-39. 

  2. Benzie IF, Strain JJ. 1999.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 299: 15-27.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4. Cha JY et.al.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ilic compounds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5. Chandrasekaran G, Oh DS, Shin HJ. 2011.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 culinary-medicinal cauliflower mushrooms, Sparassis crispa Wulf.:Fr. (Aphyllophoromycetideae): a review. Int J Med Mushrooms 13: 177-183. 

  6. Choi SH et.al. 2016. Comparison of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domestic regional Wolfiporia extensa. Kor J Mycol 44: 23-30. 

  7. Choi DB et.al. 2008. Effect of bamboo oil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J Ind Eng Chem 14: 765-770. 

  8. Choi JS, Park SH, Choi JH. 1989. Nitrite scavenging effect by flavonoids and its structure-effect relationship. Arch Pharm Res 12: 26-33. 

  9. Chung SY, Kim NK, Yoon S. 1999.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methanol fraction obtained from green yellow vegetable ju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42-347. 

  10. Daniel JS, Steven AC. 1993. Sensitive analysis of cystine/cysteine using 6-aninoquinoquinoly-N-hydroxysuccinimidy carbamate (AQC) derivatives. Tech Protein Chem 4: 299-306. 

  11.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test. Biometrics 11: 1-42. 

  12.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3. Gardner PR, Fridovich I. 1991. Superoxide sensitivity of Escherichiacoli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J Biol Chem 266: 1478-1483. 

  14.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5. Hamuro J et.al. 1971. Carboxymethylpachymaran, a new water soluble polysaccharide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Nature 233: 486-488. 

  16. Huang SJ, Mau JL.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Agraicus blazei with various doses of $\gamma$ -irradiation. Lebensm Wiss Technol 39: 707-716. 

  17. Jo W et.al. 2013. Changes of the cultivation methods of Poria cocos and its commercialization. J Mushroom 11: 303-307. 

  18. Jung GT et.al.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 32: 928-935. 

  19. Kwon MS et.al. 1998.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ivated hoelen (Poria cocos Wolf) under the picking d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34-1040. 

  20. Kanayama H, Adachi N, Togami M. 1983. A new antitumor polysaccharide from the mycelia of Poria cocos Wolf. Chem Pharm Bull 31: 1115-1118. 

  21. Kang A et.al. 1999. Studies on improvement of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ia cocos. Kor J Mycol 27: 378-382. 

  22. Kim JY et.al. 2018. Comparison of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ia cocos Wolf cultivated in a mortuary and cemetery. J Mushrooms 16: 111-117. 

  23. Kim YJ et.al. 2016. Antioxidant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Poria cocos depending on cultivation methods. Kor J Herbol 31: 107-114. 

  24. Kim SC et.al. 2015.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beta$ -glucan. J Mushroom 13: 79-83. 

  25. Kim HY et.al.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6-170. 

  26. Kim DG et.al.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oria coc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97-1101. 

  27.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8. Lee DS, Kim KH, Yook HS. 2016.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Sparassis crispa depending on extrac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617-1622. 

  29. Lee KS, Lee MW, Lee JY. 1982.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oria cocos. Kor J Mycol 10: 27-31. 

  30. Mau JL et.al. 2004.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Grifola frondosa, Morchella esculenta and Termitomyces albuminosus mycelia. Food Chem 87: 111-118. 

  31. Moreno S et.al.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osemary extracts linked to their polyphenol composition. Free Radic Res 40: 223-231. 

  32. Nguyen TK et.al. 2013.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ruiting bodies of Dyctiophora indusiata. J Mushroom 11: 269-277. 

  33. Nukaya H et.al. 1996. Isolation of inhibitors of TPA-induced mouse ear edema from Hoelen, Poria cocos. Chem Pharm Bull 44: 847-849. 

  34. Oh HK. 2019. Biologial activities of Poria cocos Wolf and Corni fructus extracts based on their extraction solvent. J Korean Appl Sci Technol 36: 1303-1311. 

  3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Diet 44: 307-315. 

  36. Park NH, Jo WS, Park SC. 2016.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and Chinese Wolfiporia extensa for origin identification. J Mushrooms 14: 232-236. 

  37. Qi Y et.al. 2013.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55-662. 

  38.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39. Saha AK et.al. 2013. Screening of six ayuvedic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y. J Phar Phytochem 2: 181-188. 

  40. Saito H, Misaki A, Harada T. 1968. A comparison the structure of curdan and pachyman. Agr Biol Chem 32: 1261-1269. 

  41. Seo S et.al. 2017. Antioxidant properties of Lentinula edodes after sawdust bag cultivation with different oak sbustrates. Kor J Mycol 45: 121-131. 

  42. Shimada K et.al. 1992. Antioxidative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r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40: 945-948. 

  43. Shon MY. 2007.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oria cocos and Machilus thunbergii fermented with mycelial mushrooms. Food Ind Nutr 12: 51-57. 

  44. Sohn HY, Shin YK, Kim JS. 2010.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olid-state fermented medicinal herbs using Phelimus baumii against human colorectal HCT116 cell. J Life Sci 20: 1268-1275. 

  45. Song CH et.al. 2012.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by stepwise steaming process. Kor J Med Crop Sci 20: 238-244. 

  46. Tai T et.al. 1995. Anti-emetic principles of Poria cocos. Planta Med 61: 527- 530. 

  47. Wang SY et.al. 2003.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Lactuca indica. J Agric Food Chem 26: 1506-1512. 

  48. Wasser SP, Didukh M. 2005. Culinary-medicinal higher basidiomycete mushrooms as a prominent source of dietary supplements and drugs for the 21st century. In Mushroom Biology and Mushroom Products. Acta Edulis Fungi, 20-34. 

  49. Yang SB et.al. 2015. Cultivation of Poria cocos using plastic bag method I-effect of temperature and number of plastic bag layers. Curr Res Agric Life Sci 33: 37-40. 

  50. Zhang M et.al. 2006. Growth-inhibitory effects of a beta-glucan from the mycelium of Poria cocos on human breast carcinoma MCF-7 cells: cell-cycle arrest and apoptosis induction. Oncol Rep 15: 637-64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