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으로 발효한 침향공진단으로부터 분리한 Nodakenetin의 Neuraminidase 활성 억제 효능
Neuraminidase-inhibition Activity of Nodakenetin from Gongjin-dan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8 no.3, 2020년, pp.303 - 309  

서지현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박동준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소영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조호성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진무현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한방 보약 처방인 원방공진단을 재해석한 침향공진단 (당귀, 녹용, 산수유, 및 침향의 혼합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고, 침향공진단 성분 중 발효를 통해 증가하는 성분을 분리, 정제하고 nodakenetin임을 동정하였다. 발효 전 침향공진단(침향공진단 농축액 1% 함유 MRS 배지, unfermented Gongjin-dan, GD) 및 발효후 침향공진단(침향공진단 발효액, fermented Gongjin-dan, FGD)에서의 nodakenetin 함량 분석 결과, 각각 6 ㎍/ml과 70 ㎍/ml으로 발효를 통해 nodakenetin이 약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한편, 고서에 전해지는 공진단의 면역력 강화 효능에 근거하여, GD 및 FGD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능을 확인하고자 Neuraminidase (NA) 활성 평가법(NA activity assay)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GD는 NA 활성을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FGD는 농도의존적으로 NA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500 ㎍/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92%의 억제율을 보였다. 또한, 발효를 통해 증가한 침향공진단의 성분인 nodakenetin과 그 배당체인 nodakenin에 대한 NA 활성 평가 결과, nodakenin은 NA 활성을 거의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nodakenetin은 농도의존적으로 NA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250 ㎍/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68%의 억제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유산균 발효를 통해 침향공진단 내에 미량 존재하던 nodakenetin이 nodakenin의 가수분해로 인해 증가하였으며, NA 활성 억제 성분인 nodakenetin이 증가함으로 인해 FGD도 높은 NA 활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unfermented Gongjin-dan (GD) and fermented Gongjin-dan (FGD) and to confirm whether GD or FGD has an inhibitory effect on viral neuraminidase (NA) activity. A major component of FGD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nodakene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D가 발효를 통해 FGD가 됨에 따라 NA 활성이 억제되는 것이 발효를 통해 증가한 침향공진단 성분인 nodakenetin에 의한 것인지 확인해보고자, nodakenetin과 nodakenin의 NA 활성 억제 평가를 실시하였다. 250 µg/ml nodakenin은 DMSO 처리 대조군 대비 NA 활성을 약 4%만큼 억제하였으나, nodakenetin (10, 50, 및 250 µg/ml)은 NA 활성 억제율이 각각 12%, 22%, 및 68%로 동일 농도의 nodakenin 대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미한 NA 활성 억제 효과가 있었다(Fig.
  • 주로, 발효를 통해 전환된 성분을 규명하거나[18−21], 발효를 통해 강화된 항염[22], 항산화 및 항균[23] 등의 효능을 밝힌 논문들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한방 처방인 공진단에 신규한 효능을 더하거나 기존의 효능을 강화하고자 원방공진단의 사향을 침향으로 대체한 가감공진단(침향공진단)을 L. plantarum 종으로 발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발효한 침향공진단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분리한 nodakenetin의 NA 활성 억제 효능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Nodakenin의 경우, 동물실험을 통해 기억력 개선[31] 및 인지능 개선 효과[32], 호흡기 염증 억제 효과[33], 항박테리아 효과[28] 등이 보고되었으나, 비배당체인 nodakenetin의 효능에 관한 연구는 암세포에 대한 독성 효과[34] 외에 보고된 바가 없었으며 본 연구에서 밝힌 NA 활성 억제 효능이 유일하다.
  • 침향공진단 성분 중 발효를 통해 생성 혹은 증가하는 유효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총 4가지 시료들(GD, FGD, 침향공진단 농축액, 및 MRS 배지)에 대하여 HPLC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FGD의 spectrum에서 침향공진단 유래 성분이면서 동시에 발효를 통해 증가한 peak들을 확인하고, 그중에서 함량 변화가 가장 큰 성분을 분리 및 정제하고자 하였다. FGD를 동량의 n-hexane, EtOAc, BuOH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 연구에서는 침향공진단을 L. plantarum으로 발효하고 발효를 통해 증가한 침향공진단의 유효 성분을 밝히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가지는 발효 한약으로의 침향공진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한편, 공진단의 효능을 언급한 고서에 따르면 공진단은 선천적으로 몸이 허약하거나 병에 걸려 허약해진 허로에 처방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결국 면역력 강화를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진단 혹은 발효한 공진단 섭취를 통한 면역력 강화, 정확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한 독감의 예방 가능성을 neuraminidase (NA) 활성 억제 평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는 당단백질인 NA는 숙주 세포 표면의 sialic acid와 바이러스 표면의 hemagglutinin의 결합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세포 표면으로부터 바이러스를 분리시키고 새로운 세포들에 대한 감염을 지속함으로써 바이러스가 생물체 내에서 증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Wi YL. 1990. Seuideughyobang, pp. 271. Uiseongdang, Seoul. 

  2. Heo J. 1993. Hangul Donguibogam. pp. 817. Minjoong-Seogak, Seoul. 

  3. Kim HJ, Hwang SY, Mok JY, Hwang BS, Jeong SI, Jang SI. 2009. Gagam-Gongjindan extract attenuates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in Balb/c mice. Kor. J. Herbology 24: 127-135. 

  4. Hwang DY. 2014. Daeyeog Jeungmaeg.Bangyaghabpyeon. pp. 163-164. Namsandang, Seoul. 

  5. Lee KH, Choi DK. 2016.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and use of song dynasty Agarwood Line. Chin. Hist. Res. 100: 171-203. 

  6. You YH, Koh JH, Chung SO, Jun WJ, Kim KM. 2009. Effects of fermented Ssanghwatang on swimming capacity in mice. Food. Sci. Biotechnol. 18: 275-277. 

  7. Kerry RG, Patra JK, Gouda S, Park YH, Shin HS, Das G. 2018. Benefaction of probiotics for human health: A review. J. Food Drug Anal. 26: 927-939. 

  8. Suez J, Zmora N, Segal E, Elinav E. 2019. The pros, cons, and many unknowns of probiotics. Nat. Med. 25: 716-729. 

  9. Knackstedt R, Knackstedt T, Gatherwright J. 2019. The role of topical probiotics in skin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of animal and human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therapies. Exp. Dermatol. 29: 15-21. 

  10. Siezen RJ, Tzeneva VA, Castioni A, Wels M, Phan H, Rademaker J, et al. 2010. Phenotypic and genomic divers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environmental niches. Environ. Microbiol. 12: 758-773. 

  11. Herbel SR, Vahjen W, Wieler LH, Guenther S. 2013. Timely approaches to identify probiotic species of the genus Lactobacillus. Gut Pathog. 5: 27. 

  12. Sun Z, Harris H, McCann A, Guo C, Argimon S, Zhang W, et al. 2015. Expanding the biotechnology potential of lactobacilli through comparative genomics of 213 strains and associated genera. Nat. Commun. 6: 8322. 

  13. Arasu MV, Kim DH, Kim PI, Jung MW, Ilavenil S, Jane M, et al. 2014. In vitro antifungal, probiot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K46 isolated from fermented sesame leaf. Ann. Microbiol. 64: 1333-1346. 

  14. Murofushi Y, Villena J, Morie K, Kanmani P, Tohno M, Shimazu T, et al. 2015. The toll-like receptor family protein P105/MD1 complex is involved in the immunoregulatory effect of exopolysaccharides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N14O. Mol. Immunol. 64: 63-75. 

  15. Wang K, Li W, Rui X, Chen X, Jiang M, Dong M. 2014. Characterization of a novel exopolysaccharide with antitumor activity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70810. Int. J. Biol. Macromol. 63: 133-139. 

  16. Woo JY, Gu W, Kim KA, Jang SE, Han MJ, Kim DH. 2014. Lactobacillus pentosus var. plantarum C29 ameliorates memory impairment and inflammaging in a D-galactose-induced accelerated aging mouse model. Anaerobe 27: 22-26. 

  17. Jung YJ, Han DO, Choi BH, Park C, Lee HJ, Kim SH, et al. 2007.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1: 387-391. 

  18. Zhang P, Yang XW. 2009. Biotransformation of nodakenin and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nodakenin and its aglycone in incubated system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by HPLC method. J. Asian Nat. Prod. Res. 11: 371-379. 

  19. Kwang JL, Song NY, Roh JH, Liang C, Ma JY. 2013. Analysis of bioconversed components in fermented Jaeumganghwa-tang by Lactobacillus. J. Appl. Biol. Chem. 56: 131-135. 

  20. Yang MC, Jeong SW, Ma JY. 2011. Analysis of constituents in Sipjundaebo-tang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350-356. 

  21. Kim DS, Roh JH, Cho CW, Ma JY. 2012. Analysis of nodakenetin from Samultangs fermented by lactose bacteria strains. Kor. J. Herbology 27: 35-39. 

  22. Lee KW, Cho HK, Yoo HR, Seol IC, Kim YS. 2018. The effects of an extract of fermented Artemisiae Iwayomogii Herba, Curcumae longae, Crataegi fructus and Salviae miltiorrhizae radix on antiinflammation associated with dyslipidemia and anti-oxidation in RAW264.7 and HUVEC Cells. J. Int. Korean Med. 39: 480-494. 

  23. Kang DH, Kim HS. 2011. Functionality analysis of korean medicine fermented by Lactobacillus strai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259-265. 

  24. Lee JH, Jo DC, Kim CG, Moon SJ, Park TY, Ko YS. et al. 2013. A literature review of effectiveness on the Gongjin-dan (Gongchendan). J. Korean Med. Rehabi. 23: 69-78. 

  25. Moscona A. 2005. Neuraminidase Inhibitors for Influenza. N. Engl. J. Med. 353: 1363-1373. 

  26. Liu AL, Wang HD, Lee MY, Wang YT, Du GH. 2008.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s as influenza virus neuraminidase inhibitors and their in vitro anti-viral activities. Bioorg. Med. Chem. 16: 1741-1747. 

  27. Kim EH, Lee JH, Song MS, Baek YH, Choi YK, Ma JY. 2012. Administration of novel oriental medicine, KIOM-C, protect against influenza virus. J. Biomed. Res. 13: 149-156. 

  28. Lee SH, Shin DS, Kim JS, Oh KB, Kang SS. 2003. Antibacterial coumarins from Angelica gigas roots. Arch. Pharm. Res. 26: 449-452. 

  29. Seong GU, Beak ME, Lee YJ, Won JH. 2018. Quality evalu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and different root parts. Kor. J. Herbology 33: 85-91. 

  30. Landete JM, Curiel JA, Rodriguez H, Rivas B, Munoz R. 2014. Aryl glycosidases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J. Funct. Foods. 7: 322-329. 

  31. Kim DH, Kim DY, Kim YC, Jung JW, Lee S, Yoon BH, et al. 2007. Nodakenin, a coumarin compound, ameliorates scopolamineinduced memory disruption in mice. Life Sci. 80: 1944-1950. 

  32. Gao Q, Jeon SJ, Jung HA, Lee HE, Park SJ, Lee YH, et al. 2015. Nodakenin enhances cognitive function and adult hippocampal neurogenesis in mice. Neurochem. Res. 40: 1438-1447. 

  33. Xiong Y, Wang JS, Yu H, Zhang X, Miao C, Ma S. 2014. The effects of nodakenin on airway inflammation, hyper-responsiveness and remodeling in a murine model of allergic asthma.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6: 341-348. 

  34. Hideji T, Yun YS, Hiroshi M, Koich T, Lee SR. 1994. Cytotoxic coumarins from the roots of Angelica gigas Nakai. J. Oriental Bot. Res. 7: 1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