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 1960년대부터 1990년대의 도시보전을 중심으로
Change of Seoul's Downtown Planning: Focusing on Urban Conservation from the 1960s to the 1990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9, 2020년, pp.39 - 48  

이범훈 (인천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60 ~ 1990년대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도시보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먼저, 근대화와 도시화 등이 미친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로 과잉 인구 문제로 인한 도심 기능의 분산 정책을 시도한 1960년대부터 강남 개발에 따른 도심의 기능 분산 정책을 추진한 1970년대, 국제이벤트와 경제성장을 이유로 기존의 도심에서 부도심으로 기능이 이전한 1980년대, 정도 600년 기념사업과 기존 도심의 역사성을 인식하게 된 1990년대까지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울시 도심 계획에서 나타난 도시 보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기존의 건물과 가로시설물이라는 물리적 측면을 유지하였고 둘째, 문화재 주변 지역의 규제라는 공간적 측면의 유지를, 셋째, 북촌, 인사동 등 역사적 장소에 대상으로 한 공공 부문 참여인 공간적 측면의 관리를 시도하였으며, 넷째, 서울시민들에게 익숙한 장소들의 접근성을 개선한 사회적 측면의 관리 등으로 도시 보전의 개념이 물리적 - 공간적 - 사회적 측면의 순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anges in Seoul's downtown planning from the 1960s to 1990s. The approach was examined by classifying its formation process though urban conservation. The effects of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on Seoul's downtown planning were as follows. In the 1960s...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로 도시기본계획서 내 공간구조 계획, 중심지 체계, 생활권 구성 등이 해당된다. 또한 서울의 한양도성 내부, 오늘날 역사도심이라고 지칭하는 지역을 주요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지역은 오랫동안 역사와 문화가 계승되어온 장소이자 사람들이 공동으로 서울시 도심으로 인정해오고 기억하고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1960~90년대까지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도시 보전이라는 개념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근대화와 도시화 등이 미친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를 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부터 강남 개발에 따른 도심의 기능 분산 정책을 추진한 1970년대, 국제이벤트와 경제성장을 이유로 기존의 도심에서 부도심으로 기능이 이전한 1980년대, 정도 600년 기념사업과 기존 도심의 역사성을 인식하게 된 1990년대까지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먼저, 서울시 도시계획과 관련하여 첫째, 손정목의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1960년대 초에서 1990년까지 한국사회에서 전개된 도시화만큼 급격한 변화에 대해 과거와 미래에도 유례가 없는 사례라고 여기고 서울의 급속한 도시화와 대규모 물리적 개발을 이끌던 인물들의 욕망과 이들 사이의 역학적 관계들을 기초 자료와 증언들로 남겼다[9].
  • 이는 도시 보전의 관점에서 공간적 측면의 유지로 볼 수 있다. 문화재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가능한 보존하는 동시에 대형 신규개발과 옛 건물의 혼합을 통한 도심 경관에 있어 다양성, 흥미, 활력을 더해주려는 개발 방향을 설정한 것이었다.
  • 본 절에서는 1960~1990년대 근대화와 도시화 등이 미친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를 주로 파악하고자 한다. 주로 도시기본계획서 내 공간구조 계획, 중심지 체계, 생활권 구성 등이 해당된다.
  • 본 절에서는 1960~1990년대까지 서울시 도심의 도시계획 접근방식 중 도시 보전의 개념을 중심으로 내용 분석을 하고자 한다. 도시 보전이란 가능한 원래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규제하는 보호의 개념부터 도심의 전통적인 상업, 공공, 주거 건축물이 가능한 유지하고 개선하며, 적절한 경우 새로운 용도로 재이용하는 범위까지로 설정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1960~90년대까지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도시 보전이라는 개념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근대화와 도시화 등이 미친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를 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즉, 강남개발이라는 국가 주도 정책에 따라 도심의 인구 및 기능의 분산 정책도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도심의 경우, 강남과 같은 신도시를 지향하여 개발수단으로 전면적인 철거재개발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 다만 과거에는 서울시 도심 공간을 어떻게 관리하였을까? 라는 연구질문을 제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1960 ~ 1990년대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와 도시 보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사실 도심만이 가진 다양한 규모와 크기 등 도시건축적 요소들은 오늘날 관광객이 찾는 명소가 되며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역민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이라는 정책적 수단을 통하여 도심을 바라보는 재개발의 태도와 도시 보전의 가치 변화를 살펴보았다.
  • 이처럼 서울시 도심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과거에서 현재로의 시간적 축을 따라 진행하는 시계열적 연구를 진행하여 서울시 도심 계획을 단편적으로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대별로 관통하고 있는 도시계획 내 보전이라는 담론을 중심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이는 본 연구의 차별성이다.
  • 최초의 법정 도시기본계획인 ‘1994년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에서 서울의 미래상으로 600년 역사문화의 보전을 중요한 정책으로 다루었으며, 이를 기존의 도심에서 실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계획제도란? 도시계획제도란 도시계획 활동을 위한 제도를 말한다. 우리나라 도시계획제도는 국토 및 지역계획 – 도시·구역 계획 – 개별 건축물 계획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 도시계획제도의 3단계는? 도시계획제도란 도시계획 활동을 위한 제도를 말한다. 우리나라 도시계획제도는 국토 및 지역계획 – 도시·구역 계획 – 개별 건축물 계획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서울시의 경우, 다양한 도시·구역 계획을 수립하여 도시의 건설, 정비, 개량 등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도시 보전이라는 개념의 형성 과정을 살펴본 결과는? 결과적으로 국가 주도 정책이 도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울시 도심 계획에서 나타난 도시 보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기존의 건물과 가로시설물이라는 물리적 측면을 유지하였으며, 둘째, 문화재 주변 지역의 규제라는 공간적 측면을 유지하고, 셋째, 북촌, 인사동 등 역사적 장소에 대상으로 한 공공 부문 참여인 공간적 측면의 관리를 시도한 점, 넷째, 서울시민들에게 익숙한 장소들의 접근성을 개선한 사회적 측면의 관리 등으로 도시 보전의 개념이 물리적 – 공간적 – 사회적 측면의 순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도심 계획 내 보전의 범위는 다차원적으로, 건물 구조과 함께 가로, 개방공간, 도시유형, 녹지공간, 도시경관 등을 포함하고, 인간 활동과도 관계로 점차 종합적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공 부문의 정치적인 정책 결정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통찰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H. Kee, S. H. Park, "Changes of Attitudes towards Old Urban Environments in the Comprehensive Plans of Seoul, from 1966 through 2014",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35, No. 2, pp. 11-22, February. 2019. 

  2. J. Y. Ahn, K. H. Kim, "The Discussion on Historic Preservation of Hwashin Department Store and It's Implication on Urban Planning",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Vol. 15, No. 6, pp. 93-110, December. 2014. 

  3. E. J. Yang, S. H. Park,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lanning for the Historic Urban Core in Gunsan City : Based on a Content Analysis of Gunsan's Municipal Plans from the 1960's to the 2010'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Vol. 18, No. 5, pp. 5-17, October. 2017. DOI: https://doi.org/10.38195/judik.2017.10.18.5.5 

  4. Robert K. Yin, Case Study Research : Design and Methods. p.230, Sage Publishing, 2013, pp. 1-17 

  5. H. B. Shim, Institutional Construction of Economic Production Activities an Urban Morphologic Changes in Seoul C.B.D, Docto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 7-15, 2013. 

  6. W. K. Bae, O. Kim,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oles of Non-implemented Renewal Projects Areas Maintaining Vitality in the Downtown of Seoul", Seoul Studies, Vol. 17, No. 3, pp. 1-24, September. 2016. 

  7. H. J. Lee, S. H. Park, "Planning for Archaeological Relics Excavated in Historic Urban Cores : A Case Study of Seven Redevelopment Projects in Seoul City Center since the 2000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32, No. 10, pp. 3-14, October. 2016. DOI: https://doi.org/10.5659/JAIK_PD.2016.32.10.3 

  8. A. Orbasli, Tourists in Historic Towns : Urban Conservation and Heritage Management. p.224, Taylor & Francis Group, 2016, pp. 20-37 

  9. J. M. Sohn. The Story of Seoul City Planning : 50 years of Seoul's upheaval and my testimony. p.352, Hanol, 2014. 

  10. C. M. Cheol,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ngaged Urban Planning in Korea : Focused on 2030 Master Plans for Cheongju, Suwon, and Seoul", Seoul Municipal Studies, Vol. 17, No. 4, pp. 1-16, December. 2016. 

  11. S. Y. Kim, "A Strategy on the Environmental Color in Seoul for 2030 Seoul Plan of Townscape and Fine View Progra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Vol. 31, No. 2, pp. 5-14, May. 2017. DOI: https://doi.org/10.17289/jkscs.31.2.201705.5 

  12. J. O. Suh, D. N. Kim, S. C. Lee, "The Verification of the Physical Urban Center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loor Area of the Building and the Urban Center of Urban Basic Plan in Seoul : With Case Study on the Seoul Urban Basic Pla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Vol. 18, No. 1, pp. 105-114, February. 2017. DOI: https://doi.org/10.38195/judik.2017.02.18.1.105 

  13. Y. R. Seo, K. H. Kim, "The Impacts of City Comprehensive Plans 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oul since 1960s: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Multi-Centric City Concept",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Vol. 17, No. 3, pp. 5-23, June. 2016. 

  14. S. K. Yu, K. M. Kim,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in the Eastern areas within city wall of Seoul during Joseon Dynasty",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Vol. 67, pp. 239-264, May. 2017. DOI: https://doi.org/10.17647/jss.2017.05.67.239 

  15. K. M. Sim, K. H. Kim, "Urban Fabric of the Jongno Street Block Created by the Building of Licensed Shops(Sijeon)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Vol. 10, No. 4, pp. 21-36, December. 2009. 

  16. K. A. Le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Amendment for Hanok Conserva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30, No. 5, pp. 121-130, May. 2013. 

  17. J. H. Ji, "The Development of Gangnam and the Formation of Gangnam-style Urbanism : On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 22, No. 2, pp. 307-330, May. 2016. 

  18. B. Y. Kim, "Gangnam Development and Olympic Effect: Focusing on the Jamsil Olympic Town Project in the 1970s and 1980s",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 Vol. 17, pp. 67-101, April. 2017. DOI: https://doi.org/10.22345/kjuh.2017.4.17.67 

  19. K. H. Kim, "History, City and People : Restoration of Original Namsan's Image",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Vol. 35, No. 2, pp. 70-72, April. 1991. 

  20. O. Y. Jang, K. H. Kim, "The Characteristics of Area-based Conserv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Vol. 10, No. 1, pp. 21-37, March. 2003. 

  21. S. H. Choi, K. H. Kim, "A Study on the Planning of Semi-industrial Area Zones Developed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1960s-Focused on the Ttuk-do Readjustment Project Area,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Vol. 15, No. 6, pp. 157-171, December. 2014. 

  22. H. J. Kim, "The Effect of Designation of Bukchon as Traditional Housing Conservation District on Land Value", Seoul Studies, Vol. 6, No. 4, pp. 37-53, December. 2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