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합적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실행 -조사연구 및 자기연구-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Practice on Convergent Science Teaching: Survey and Self-Stud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4, 2020년, pp.359 - 374  

이수아 (서울창동초등학교) ,  전영석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자기연구의 복합 형태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로서 초등 교사의 융합 수업 및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대표하는 사례로서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융합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로서 나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살펴보고, 속력을 주제로 수학-과학-체육의 가족 유사성에 근거한 융합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지도한 양상을 자기연구로 실행하였다. 초등 교사들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개방형 검사 문항을 초등 교사 28명에게 서면 질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했던 초등 교사들은 융합 수업을 교과 활용적 접근 또는 다학문적 접근의 융합으로 생각하였다. 융합 지식을 개별 교과의 집합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융합된 지식은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습득할 수 있다는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 역시 비슷한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자기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나는 가족유사성의 범주별 분석 결과와 그것에 근거한 융합 지식 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활동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수학의 단위, 비와 비율의 개념은 과학의 속력 개념과 연계되어 있어서 두 교과의 개념을 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체육 활동은 수학과 과학 개념을 융합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여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가족유사성에 근거한 간학문적 융합 지식 체계와 교사인 나의 인식론적 신념 간의 간극과 해결 양상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complex type consisting of survey study and self-study. The former investigated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on convergence knowledge and teaching. As a representative of the result of survey study I, as a teacher as well as a researcher, was the participant of the se...

Keyword

표/그림 (1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e and Jhun(2018)는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융합의 필요성과 융합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무엇을 도입하였는가? 융합과학수업은 단순히 여러 교과의 요소를 함께 묶는 것이 아니라 융합의 가능성과 목적, 방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과학과 타 교과 간의 융합의 근거를 확보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며, 그 결과에 근거하여 융합의 원리와 방법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Lee and Jhun(2018)은 과학 교과와 다른 교과 간의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융합의 필요성과 융합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가족 유사성 접근(Family Resemblance Approach, Wittgenstein, 1958)을 도입하였다. 가족유사성의 관점에서 보면, 과학의 특정한 개념을 주제로 융합 지식을 구성할 때 과학 교과의 단원과 타 교과의 단원들 간에 일치된 공통점이 있거나 서로 교차하는 유사성이 있다면, 서로 다른 교과 내용 간에 겹치고 교차하는 유사성이 나타나는 바로 그 지점에서 융합의 가능성과 융합의 지점을 찾을 수 있다.
그동안의 융합 과학교육 프로그램에서 융합의 양상이 제한적이었다는 비판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반면에 그동안 수행되어 온 융합 과학교육 프로그램에서 융합의 양상이 제한적이었다는 비판 또한 제시되었다. Lee and Kim(2013)은 STEAM 리더 스쿨(leader school)에서 개발된 STEAM 수업계획안을 분석한 결과, 관련 교과의 기반이 되는 핵심 지식과 간학문적 지식보다는 한 개 교과의 학술적 개념을 중심으로 융합 수업을 계획하는 경우가 많았음을 밝혔다. Park et al.(2013)은 STEAM 교사연구회에서 개발된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융복합 수준을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이 다학문적 융합 형태를 보였고, 융합의 정도가 심화된 간학문적 융합이나 탈학문적 융합 형태의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적었음을 밝혔다. 국내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교육적 적합성을 비교하고 검토했던 Han and Park(2015) 의 연구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교육 자료들이 융합 과학수업 활동을‘상황제시-창의적 설계-감성적 체험’이라는 정형화된 틀로 파악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STEAM 수업 자료들이 과학, 공학, 기술, 수학, 예술 분야의 요소들을 억지로 끼워 맞추거나 교육과정과 맞지 않게 교육 내용을 무리하게 확장하는 경향도 보였다(Ahn, 2012). 또한, 융합 수업 자료들이 과학과 다른 교과 지식을 단순히 연계하거나 덧붙여 놓은 형태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Jung et al., 2015). 이와 같은 결과는 STEAM 교육이 여러 교과에서 추출한 몇 가지 활동 참여만을 강조하고, 융합을 통해 다루는 개념의 수준이 낮을 경우 융합 활동에 포함된 피상적인 정보만 습득하게 될 위험도 있음을 말해준다(Lee & Kim, 2012; Grossman, Wineburg, & Beers, 2000).
과학 교과와 다른 교과들 간의 융합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 및 학교 현장의 실천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과학 교과와 다른 교과들 간의 융합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 및 학교 현장의 실천 사례는 최근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융합인재교육이 공표된 이래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이들은 과학 개념을 융합의 중심에 두고 융합 설계 모형을 적용하거나(Lee, Rim, & Moon, 2010), 과학 학습에 수학적 기능이나 표현 활동을 도입하기도 했으며(Jung & Jhun, 2015), 과학의 탐구활동을 타 교과의 탐구 활동과 접목시키는 경우도 있었다(Santau & Ritter, 2013). 반면에 그동안 수행되어 온 융합 과학교육 프로그램에서 융합의 양상이 제한적이었다는 비판 또한 제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D. (2012). Study on STEAM education on the basis of academic converg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 Chae, H., & Noh, S. (2015).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 on STEA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1), 44-57. 

  3. Choi, S. (2018). Exploring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Enactments in STEAM Less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4. Clarke, A., & Erickson, G. (2004). The na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self-study. In J. J. Loughran, et a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41-67). Dordrecht: Springer. 

  5.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 19(5), 2-14. 

  6. Drake, S. M., & Burns, R. C. (1994).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Alexandria, VA: ASCD. 

  7. Duran, E., Duran, L. B., & Worch, E. A. (2009). Papier-Mache Animals: An integrating theme for elementary classroom. Science Education Review, 8(1), 19-29. 

  8. Elder, A. D. (2002). Characterizing fifth grade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in science.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347-364).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 Geum, Y., & Bae, S. (2012).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37(2), 57-75. 

  10. Grossman, P., Wineburg, S., & Beers, S. (2000). When theory meets practice in the world of school. In S. Wineburg, & P. Grossman. (Eds.),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Challenges to implementation (pp. 1-16).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1. Hamilton, M. L.& Pinnegar, S. (1998). Conclusion: The value and the promise of self-study. In M. L. Hamilton, et al. (Eds), Reconceptualizing teaching practice: Self-study in teacher education, (pp. 235-246). London: Falmer Press. 

  12. Han, H., & Lee, H. (2012).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STEAM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3), 573-603. 

  13. Han, H., & Park, H.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ramework for STEAM Progra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6), 41-64. 

  14. Hoban, G. F., Butler, S., & Lesslie, L. (2007). Facilitating self-stud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Researching the dynamics of teacher learning. Studying Teacher Education, 3(1), 35-51. 

  15. Hong, S. (2015). Exploratory research for measuring epistemological beliefs on the convergence knowledge of science and a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 Kyunghee University. 

  16. Jang. H., & Choi, B. (2010).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PCK through development of Content Representation(CoRe) - Focusing on Molecular Motion for 7th grad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6), 870-885. 

  17. Jung, H., & Jhun, Y. (2015). An Analysi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the 'Speed of Objects' Chapter based on the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4), 372-381. 

  18. Jung, M., Lee, J., Kang, K., & Park, S. (2015). A Study on the Teacher Education Improvement for Convergence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RR 2015-05. 

  19. Kim, B., & Kim, J. (2013).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 for Exploring PCK Type in STEAM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3(2), 63-85. 

  20. Kim, M., & Kim, H. (2008).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uthentic Open Inquir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565-578. 

  21. Kwak, Y., Son, J., Kim, M., & Ku, J. (2014).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21-330. 

  22. Lee, H., Rim, H., & Moon, J. (2010).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Integrated Instruction. The Mathmetical Education, 49(2), 175-198. 

  23. Lee, J. Park, H., & Kim, J. (2013). Primary Teachers' Perception Analysi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1), 47-59. 

  24. Lee, J., & Shin, Y. (2014).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588-596. 

  25. Lee, J., Park, H., & Kim, J. (2013). Primary Teachers' Perception Analysi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1), 47-59. 

  26. Lee, K. (2009).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3), 330-343. 

  27. Lee, K., & Kim, K. (2012). Exploring the Meanings and Practicability of Korea STEAM Educatio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5(3), 55-81. 

  28. Lee, K., & Kim, K.(2013). An Analysis of the Lesson Plans Designed by Teachers of the Elementary STEAM Leader School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9(2), 281-306. 

  29. Lee, S. (2015). Philosophical Issues of Climate Science: Epistemological Conditions for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Ethical Implications. Korean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18(1), 151-180. 

  30. Lee, S., & Hwang, S. (2012).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974-990. 

  31. Lee, S., & Jhun. Y. (2018). Constructing Convergence Knowledge on Velocity with Family Resemblance Approac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7(2), 188-205. 

  32. Lim, S., Kim, Y., & Lee, T. (2014).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Fiel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1), 133-143. 

  33. Loughran, J. J. (2004). A history and context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In J. J. Loughran, et a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7-39). Dordrecht: Springer. 

  34.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Springer. 

  35. Oh, H. (2012). An analysis of changes on the science teachers' stages of concern on STEM education and STEM-PC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6. Park, C., & Kim, Y. (2017). A Methodological Inquiry of Self-study.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30(4), 75-104. 

  37. Park, Y. (2015). A Study on Enhancing Mathematical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Self-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8. Park. Y., Ku. H., Moon, J., Ahn, S., Yoo, B., Lee, K., Lee, S., Lee, S., Ju, M., Cha, Y., & Ham, S., (2013). Current status and remaining challenges of STEAM : A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Yungbokhap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31(1), 159-186. 

  39. Phipps, S., & Brog, S. (2009). Exploring tensions between teachers' grammar teaching beliefs and practices. System, 37(3), 380-390. 

  40. Samaras, A. P., & Freese, A. R. (2006). Self-study of Teaching Practices. New York: Peter Lang Pub Inc. 

  41. Santau, A. O., & Ritter, J. K. (2013).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It: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Teaching Inquiry-Based, Interdisciplinary Science and Social Studies in Urban Settings. The New Educator, 9(4), 255-286. 

  42. Schraw, G., & Olafson, L. (2003). Teachers' epistemological world views and educational practices. Journal of Cognitive Education and Psychology, 3(2), 178-235. 

  43. Tidwell, D. L., Heston, M. L., & Fitzgerald, L. M. (Eds.). (2009). Research methods for self-study of practice. Dordrecht: Springer. 

  44. Wittgenstein, L. (1958).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Oxford, UK: Blackwell.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