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통합과학 수행평가 사례를 통해 탐색한 교사의 수행평가 실천 특성과 PCK 사이의 관련성
An Exploration of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Features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s and PCK during High School Integrated Science Lesso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3, 2020년, pp.291 - 305  

강남화 (한국교원대학교) ,  김민지 (군산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통합과학 수업 중 실시하는 수행평가의 특성과 교사의 PCK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4명의 통합과학 교사의 수행평가 수업을 관찰하였고, 녹화하였으며, 관찰한 수업에 관해 면담을 하였고, 질문지를 통해 교사의 PCK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교사의 평가의 특징은 수행의 과정 및 결과 평가, 학생의 이해 상태파악, 피드백, 교실내의 상호작용의 정도, 평가기준의 사용을 중심으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학생이 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학습의 지원을 위해 평가가 사용되는 정도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사의 과학교수지향과 PCK 그리고 수행평가의 실천이 일정한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통합과학 교육의 목표가 학문적 목적과 과학소양의 목적을 모두 가지는 경우 PCK가 개념학습과 경험학습을 중심으로 정교하게 드러났으며, 평가의 실천 역시 그와 일관되게 다양하고 복합적이었다. 한편, 소양교육을 강조하는 경우 PCK는 경험 중심 학습을 바탕으로 하는 수업 활동을 강조하였고, 평가의 실천에서는 학습을 위한 수행 활동과 평가활동의 구분이 모호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교과 내 학문적 목표를 강조한 경우는 전통적 수업 전략 및 평가 지식이 드러났고, 평가의 실천에 있어서는 총괄평가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근 강조되는 학습을 위한 평가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 신장을 위한 연수의 내용으로 평가에 학생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전략, 수행 과제에 적절한 구체적인 평가 기준의 사용, 학생이 수행평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질적평가 전략, 직관적 평가의 역량 개발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추가 연구 주제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d how the features of performance assessments implemented during integrated science classes are related to teachers' PCK. We observed and video recorded four high school teachers' performance assessment practices, interviewed them, and surveyed their...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8)

  1. Abell, S. K., & Siegel, M. A. (2011). Assessment literacy: What science teachers need to know and be able to do. In The professional knowledge base of science teaching (pp. 205-221). Springer, Dordrecht. 

  2. Bell, B., & Cowie, B. (2002). Formative assessment and science education. New York: Kluwer Academic Publishers. 

  3. Black, P. & Wiliam, D. (1998). Inside the Black Box: Raising Standards through Classroom Assessment. The Phi Delta Kappan, 80(2), 139-144, 146-148. 

  4. Cho, H. H., & Ko, Y. J. (2008).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618-632. 

  5. Frederiksen, J. R., & Collins, A. (1989). A Systems approach to educational testing. Educational Researcher, 18(9), 27-32. https://doi.org/10.3102/0013189X018009027 

  6. Jang, H.-S. & Choi, B. S. (2010).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PCK through development of content representation (CoR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6), 870-885. 

  7. Kang, N.-H., & Wallace, C. S. (2005).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 of laboratory activities: Linking epistemological beliefs, goals, and practices. Science Education, 89(1), 140-165. https://doi.org/10.1002/sce.20013 

  8. Kim, S. (2002). A study on the teacher's competence for classroom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5(1), 67-85. 

  9. Kim, S. N., Kang, E., Kim, B. C., Park, S. C., Yoo, J. E., Lee, E. S., Jun, M. N., Cho, H. H. (2013). A Study on Student Evaluation Policy for Fostering Creative Talents: Focusing on International Cases. KEDI Research Report OR, 2013-09. Seoul: Korean 

  10. Kunter, M., Klusmann, U., Baumert, J., Richter, D., Voss, T., & Hachfeld, A. (2013).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Effects on instructional quality and student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5(3), 805-820. https://doi.org/10.1037/a0032583 

  11. Kwak, Y.-S. (2003). Case study on science classroom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5), 484-493. 

  12. Lee, K. H., Kang, H. Y., Ko, E. S., Lee, D. H., Shin, B., Lee, H. C., & Kim, S. H. (2016).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819-834. 

  13. Lee, J., Ryu, G., Kang, S., Noh, T., & Kang, H. (2018). The characteristics of PCK components and their integrations in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articipating in constru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o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505-518. 

  14.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15.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Springer, Dordrecht. 

  16. Moss, P. A. (1992). Shifting conceptions of validity in educational measurement: Implications for performance assessmen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229-258.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3229 

  17. Noh, T., Lee, J., Kang, S., Han, J., & Kang, H. (2017). The characteristics of the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2), 291-299. 

  18. Park, K. H. & Chung, Y. L. (2018). A case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search and instructional practice of two novi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2(5), 293-304. https://doi.org/10.24231/rici.2018.22.5.293 

  19. Park, J., Jin, K.-A., Kim, S., & Lee, S.-A. (2018). A Study for Enhancing the Teacher' Expertise in Student Assessment for Stabilizing Process-Fortified Assessment Policy. KICE RRE, 2018-5. Jincheon-gun, Chungcheongbuk-do. 

  20. Pellegrino, J. W., Chudowsky, N., & Glaser, R. (2001). Knowing what students know: The science and design of educational assessment. National Academy Press, 2102 Constitutions Avenue, NW, Lockbox 285, Washington, DC 20055. 

  21. Popham, W. J. (2008). Transform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lum Development. 

  22. Ruiz-Primo, M. A., Furtak, E. M., Ayala, C., Yin, Y., & Shavelson, R. J. (2010). Formative assessment, motivation, and science learning. In Handbook of formative assessment (pp. 151-170). Routledge. 

  23. Shavelson, R. J., Baxter, G. P., & Pine, J. (1991). Performance Assessment in Science.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4(4), 347-362. https://doi.org/10.1207/s15324818ame0404_7 

  24. Sherin, M., & van Es, E. A. (2008). Effects of video club particip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20-3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8155 

  25. Shin, H., Ahn, S., & Kim, Y. (2017). A policy analysis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focusing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Journal of Curriculum Evaluation, 20(2), 135-162. 

  26.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27. Wiliam, D. (2011). What is assessment for learning?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37(1), 3-14. https://doi.org/10.1016/j.stueduc.2011.03.001 

  28. Wiliam, D., & Black, P. (1996). Meanings and Consequences: A basis for distinguishing formative and summative functions of assessment?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2(5), 537-548. https://doi.org/10.1080/01411929602205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