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급서비스의 지역 불균형: 부산시 119 구급활동일지 분석
Local Imbalanc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EMS): Analyses on 119 EMS Activity Reports of Busa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3, 2020년, pp.161 - 173  

이달별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부산소방재난본부의 119 구급활동일지를 이용하여 부산의 구급서비스의 지역적 불균형을 조사하였다. 2017년 구급신고 자료를 집계구 단위로 취합하여 구급서비스의 수요(신고건수, 인구대비 신고건)와 공급(신고건수, 인구대비 신고건수, 현장도착시간의 평균·변동계수·이상치, 관할구역 외 출동건수)의 공간분포GIS 공간통계분석핫스팟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구급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모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핫스팟지역과 콜드스팟지역이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이는 부산 내 구급서비스의 수요 뿐 아니라 공급이 지역적으로 불균형함을 의미한다. 특히 원도심과 그 주변지역과 부산시 외곽지역에서의 구급수요 및 공급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local imbalance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Busan using the 119 emergency activity reports of the Busan Fire & Disaster Headquarters. The data for EMS activity reports in 2017 was converted into Jimgyegu uni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dic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급서비스의 수요 및 공급에서의 지역 불균형을 분석하기 위해 이 연구는 수요와 공급의 공간분포를 파악하고, GIS 공간통계분석을 통해 지역적 균형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방재난본부의 2017년 구급활동일지에 포함된 구급서비스 신고 및 출동 자료를 활용하였다.
  • 119 구급활동일지에서 제공되는 실제 구급신고별 서비스 수요와 공급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지 전반의 지역 불균형 여부를 조사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구 대비 구급서비스 수요 및 공급이 많은 부산을 대상으로 구급서비스의 수요과 공급의 지역 불균형과 관련한 3개의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인구 대비 구급서비스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부산을 대상으로 구급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이 부산 내에서 균등하게 나타나는지, 그렇지 않다면 지역적 불균형 행태는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소방재난본부의 2017년 119 구급활동일지의 구급신고 자료를 집계구 단위로 취합한 후, GIS의 공간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부산 내 구급서비스의 지역 불균형을 조사한다.
  • 집계구 단위 결과값인 z값 양(+)이면 신고건수가 많거나 평균 소요시간이 긴 지역들이 공간적으로 군집(핫스팟)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z값이 음(-)이면 신고건수가 적거나 평균 소요시간이 짧은 지역들이 공간적으로 군집(콜드스팟)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구급서비스 신고건수와 소요시간의 특성에 따라 지역의 군집을 구분하고, 구 단위 집계를 통해 구급서비스 수요와 공급의 지역적 불균형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서비스란? 동법 제3조국가 등의 책무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구조구급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고 추진해야함을 명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급서비스는 시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중앙 및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주요한 공공서비스 중 하나로, 모든 국민에게 균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정부에 있고, 국민은 동등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 권리가 있다. 특히, 구급서비스는 소방 및 구조와 함께 수요 발생 직후 적정한 시간 내에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시급성과 정시성이 핵심으로 여겨진다.
부산의 구급서비스의 지역적 불균형을 조사하기 위해 어떤 것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는가? 이 연구는 부산소방재난본부의 119 구급활동일지를 이용하여 부산의 구급서비스의 지역적 불균형을 조사하였다. 2017년 구급신고 자료를 집계구 단위로 취합하여 구급서비스의 수요(신고건수, 인구대비 신고건)와 공급(신고건수, 인구대비 신고건수, 현장도착시간의 평균·변동계수·이상치, 관할구역 외 출동건수)의 공간분포를 GIS 공간통계분석 중 핫스팟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구급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모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핫스팟지역과 콜드스팟지역이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이는 부산 내 구급서비스의 수요 뿐 아니라 공급이 지역적으로 불균형함을 의미한다.
구급서비스의 지역적 불균형이 발생하는 이유는? 특히, 구급서비스는 소방 및 구조와 함께 수요 발생 직후 적정한 시간 내에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시급성과 정시성이 핵심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구급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구급대 증설을 위한 예산 부족(Jang, 2018) 등으로 지역적 불균형이 발생·심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usan Metropolitan Fire & Safety Headquarters, 2017,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EMS) Activity Reports. Busan. 

  2. Choi, J.H., Lee, J.S. and Hong, W.H. 2015. Aanlysis of improvement effects on building approach vulnerability by expanding emergency rescue centersin Busan. Transctions of Korean I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9(5):79-87. 

  3. Hwang, J.H., Lee, J.Y., Park, S.W., Lee, D.W., Lee, B.W. and Na, B.J. 2012. The analysis of underserved mergency medical services area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Arbo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7(2):76-83. 

  4. Jang, K.J., Kang, K.H., Jang, Y.H. and Hahn, K.D. 2016. Analysis fo the time intervals in 119 ambulance services. Fire Society Engineering 30(4):128-134. 

  5. Kim, J.D. and Shin, S.Y. 2013. A study o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demand and fire service for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4(9):4485-4491. 

  6. Lee, D.B. 2017. A study on spatial and social equity of fire service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7(1):145-154. 

  7. Lee, J.S. and Jeon, J.B. 2016.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clustering pattern of major office buildings in Seoul: changing impacts between 2003 and 2012.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2(7):105-113. 

  8. Lee, K.Y., Moon, J.D, and Choi, E.S. 2016.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119 ambulance dispatch, the distance and response time to the Scene. Journal of the Korea Contens Association. 16(1):482-492. 

  9. Lee, T.G., Ahn, S.S. and Yang, G.G. 2007. Corroboration analysis of resident satisfaction degrees on local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focused on civil appeal health rescue relief services of Gyeongnam Province.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1(2):107-128. 

  10. Oh, C.S., Lee, S.W., Lee, I.M. and Kho, S.Y. 2012. A spatial analysis about arrival delay and dispatch distribution of the 119 Rescue-Aid Service utilizing GIS: Gyeongsangbuk-Do case study.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32(1):13-22. 

  11. Park, E.J. and Lim, M.H. 2020.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 hotspot areas in Jeonju. Housing Studies Review 28(2):131-150. 

  12. Statistics Korea. 2015. Data of Population, Household, House and Industry for Jipgyegu, http://sgis.kostat.go.kr/view/index (2020. 01. 10) 

  13. Yu, S.G. and Eom, T.H. 2010. Correlation between En route distance and Role time on call received hours. The Joum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4(3):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