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응급의료 정보전달매체로서의 119구급활동일지 분석
An Analysis of the 119 EMS System using the Standardized Record on the Efficient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Delivery Media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4 no.1, 2010년, pp.64 - 71  

노상균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이 연구를 위해 2009년 1월1일부터 2009년 2월 8일 까지 일개 종합병원에 119구급대로 내원한 모든 환자의 구급활동일지 255부를 조사하였다. 구급활동일지의 전체 기재율 62.1%, 가장 높은 항목은 환자 인수자에 대한 기록으로 100.0%, 가장 낮은 항목은 의사지도에 관한 항목으로 0.4%로 나타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효율적인 응급의료 정보전달매체로서의 119구급활동일지의 기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의 확충과 의료진의 적극적인 관심 및 피드백, 구급활동일지의 항목 배열의 규칙성,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ords of 255 patients was analyzed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record form. T patients' records were collected through the visit of emergency department in one hospital by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09. In conclusion, the total e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119구급대원에 의해 작성되어지는 구급활동일지가 각 항목별로 얼마나 기록되어지는지, 또 이송자별 기록의 차이는 없는지를 알아보고, 구급활동일지가 응급의료 정보전달매체로서 역할을 할 수있도록 문제를 인식하고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의 중추 역할로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는 119구급대가 의료 질 향상을 통해 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환자의 정확한 평가를 통한 문제점 파악과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의 시행 및 정확한 기록으로 이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한 구급활동일지 기재율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구급활동일지의 기재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4%로 나타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효율적인 응급의료 정보전달매체로서의 119구급활동일지의 기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의 확충과 의료진의 적극적인 관심 및 피드백, 구급활동일지의 항목 배열의 규칙성,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The Rules of Organization.Administration in 119 Rescue, Ordinance of Ministry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2009). 

  2. K.H. Kang, B.Y. Koh, E.M. Gil, G.S. Kim, et al.,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pp453-455, Daihaks (2008). 

  3. Edna K Huffman.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10th ed. Illinois. Physician Record Company. 1994;106. 

  4. Y.M. Roh, Evaluation of Completeness on the Standardized Rescue Record Form Used by 119 EMS System for Effectiv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pp.7-9(2002). 

  5. D. Spaite, R. Benoit, D. Brown, R. Cales, D. Dawson, C. Glass, C. Kaufmann, D. Pollock, S. Ryan, and E.M. Yano, "Uniform Prehospital Data Elements and Definitions: A Report from the Uniform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Data Conference", Ann Emerg Med., Vol.25, No.4, pp.525-534(1995). 

  6. K.Y. Jung and C.W. Kim, "Medical Control for Prehospital Emergency Care", Emergency Medicine Journal, Vol.8, No.4, pp.541-548(1999). 

  7. Y. Kim, S.S. Min, J.K. Kim, G. Lee, et al., "Evaluation of Pertinence in Prehospital Triage and Management by Paramedic's Reports", Emergency Medicine Journal, Vol.11, No.4, pp.489-498(2000). 

  8. J.H. Lee, E.C. Kim, H.S. Lee, S.H. Kim, et al., "Original Articles: Prehospital Ambulance Run Report: How Much Collected and Contents are Completed?", Emergency Medicine Journal, Vol.16, No.1, pp.51-62(2005). 

  9. E.S. Lee, An Analysis on Prehospital Care Report for Sharing Efficient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Graduate School of Nursing, Gachon University, pp.23-28(2006). 

  10. H.Y. Yoon, T.Y. Lee, and J.M. Jo, "A Survey o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Reports and Reporting Formats for 119 EMS System", Newest Medicine Journal, Vol.40, No.5, pp.55-64(1997). 

  11. S.G. Roh, Proposal for the Improved Emergency Care System of 119 Rescu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pp.41-43(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