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매체 환경에서의 뷰티 콘텐츠 이용: 웹진, TV,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간 적소분석
Usage of Beauty Contents in a Multi-Channel Environment: A Niche Analysis of Webzines, Televisions and Online Video Platform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261 - 270  

이성준 (청주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적소 이론(Niche Theory)을 기반으로 뷰티 콘텐츠 소비를 통한 이용 충족 측면에서 웹진, TV 및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어떤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정보성, 오락성, 매력적인 인물 등장, 이용 편리성 및 솔직함 등 5가지의 공통적인 이용 충족 요인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적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매력적인 인물 등장 측면을 제외한 모든 이용 충족 차원에서 적소폭이 다른 미디어들에 비해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V와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적소 중복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은 다른 미디어들에 비해 이용 편리성과 솔직함에서 경쟁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들은 향후 뷰티 콘텐츠 소비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지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mpeting relationships among webzines, TVs and online video platforms in terms of usage gratification of consumption of beauty contents based on niche theory. Five types of usage gra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attractive characters, convenie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다른 매체들에 비해 뷰티 콘텐츠 이용을 위한 보다 일반적이고 보편화된 매체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바라 하겠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향후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도 다른 매체들에 비해 생존 가능성이 더 높음을 의미[1][20][23]하는 바라 하겠다.
  • 본 연구는 뷰티 콘텐츠 소비 관련해서 웹진, TV 및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세 매체간의 경쟁 구도를 살펴보기 위해 이들 세 매체에 대한 이용자 충족 적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2: 뷰티 콘텐츠 이용의 충족 차원에서 웹진, TV,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간 적소중복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3: 뷰티 콘텐츠 이용의 충족 차원에서 웹진, TV,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간 경쟁우위는 어떠한가?
  •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뷰티 콘텐츠(Beauty Content) 소비와 관련 기존 매체들과 새로운 매체로서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과의 경쟁 구도 관계를 설명한 연구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뷰티 콘텐츠 소비 관련 기존 매체로서 웹진, TV채널 및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간의 경쟁 구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 하지만 아직까지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듯이 적소 이론을 기반으로 뷰티 콘텐츠 소비를 통한 이용자 충족 측면에서 새로운 미디어로서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TV, 웹진(Webzine: Web Magazine)간의 경쟁 구도를 살펴본 연구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적소 이론(Niche Theory)[11]을 기반으로 뷰티 콘텐츠 소비를 통한 이용자 충족 측면에서 새로운 미디어로서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과 대표적인 기존 매체들로서 TV, 웹진(Webzine: Web Magazine) 등이 어떤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들은 향후 뷰티 콘텐츠 소비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는지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점차 본격화되고 있는 다매체 환경 속에서 뷰티 콘텐츠 소비를 통한 이용자 충족 측면에서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TV, 웹진 등 3개의 매체가 어떤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적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들은 다음과 같은 함의를 지닌다.
  • 둘째로, 적소 중복 값의 결과를 살펴보면 정보성과 오락성 차원에서는 TV와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그리고 매력적인 인물 등장 및 이용 편리성에서는 웹진과 TV, 그리고 솔직함에서는 웹진과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중복되는 정도가 높고 서로 간의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다른 차원들에 비해 정보성과 오락성 차원에서 세 매체간 적소 중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곧 이 2가지 차원에서 매체간에 가장 치열한 경쟁 구도가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하는 바라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디어들이 지속적으로 출현하면서 과거와 달리 무엇이 용이해졌는가?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디어들이 지속적으로 출현하면서 특정 장르의 콘텐츠 소비를 위해 단일 매체 ⦁ 플랫폼만을 이용해왔던 과거와 달리 미디어 이용자들이 다양한 매체들을 동시에 활용하면서 장르 제약 없이 콘텐츠에 접근하며 이용할 수있는 다매체 환경이 점차 본격화되고 있다[1][2]. 이러한 다매체 환경의 본격화는 이용자 측면에서는 보다 많은 콘텐츠 이용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미디어 사업자들에게는 한정된 이용자들을 두고 산업 내에서 기존보다 더 많은 경쟁자들과 격화된 경쟁을 치러야 하는 상황을 전개하기도 한다[3].
뷰티 콘텐츠란? 뷰티 콘텐츠(혹은 뷰티 프로그램)가 무엇인지에 대해 아직까지 학자들간에 일치되는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뷰티 콘텐츠란 메이크업, 피부 및 헤어 관리 등 개인의 美와 관련된 정보들을 보다 심층적이고 전문성을 가지고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9][12]. 이러한 뷰티 콘텐츠는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이외에도 이전에 이미 여러 기존 매체들을 통해서도 이용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왔는데 뷰티 콘텐츠를 제공했던 기존 매체로 우선적으로 매거진 (Magazine)과 이의 디지털화된 형태인 웹진(Webzine) 등을 들 수 있다.
뷰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존 매체는? 뷰티 콘텐츠(혹은 뷰티 프로그램)가 무엇인지에 대해 아직까지 학자들간에 일치되는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뷰티 콘텐츠란 메이크업, 피부 및 헤어 관리 등 개인의 美와 관련된 정보들을 보다 심층적이고 전문성을 가지고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9][12]. 이러한 뷰티 콘텐츠는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이외에도 이전에 이미 여러 기존 매체들을 통해서도 이용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왔는데 뷰티 콘텐츠를 제공했던 기존 매체로 우선적으로 매거진 (Magazine)과 이의 디지털화된 형태인 웹진(Webzine) 등을 들 수 있다. 매거진(잡지)은 신문 등의 매체가 지닌 보도식의 정보 전달 기능과 함께 서적 등이 지닌 문화의 전달 기능 등을 같이 수행하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매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정재민, 이화진, 김영주, "미디어간 경쟁과 대체: 지상파방송, 케이블/위성 방송, 인터넷의 적소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4호, pp.523-564, 2005. 

  2. 장병희, 이양환, 임성철,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드라마 시청: TV, PC, 모바일 플랫폼 간 적소분석," 방송통신연구, 제10권, pp.130-165, 2010. 

  3. 허윤, 이상우, "다매체 환경에서의 미디어 간 경쟁과 대체: 기존의 방송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적소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4호, pp.29-54, 2012. 

  4. 이성준,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 형성 영향 요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13-29, 2018. 

  5. 박주연, 박수철,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별 이용자 충족차원 적소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제35권, 제2호, pp.141-180, 2018. 

  6. 이승엽, 이상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기존 매체 간의 경쟁관계에 관한 적소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2권, 제3호, pp.7-45, 2014. 

  7. 박주연, 박수철, "TV방송과 인터넷 개인방송의 보완과 대체에 관한 연구: 이용자 충족 적소분석을 적용하여,"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8권, 제1호, pp.135-157, 2017. 

  8. 이성준,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구조적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405-418, 2018. 

  9. 정용국, "여대생의 뷰티 유튜브 이용동기 및 시청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3호, pp.7-28, 2018. 

  10. 이선정, 이수범, "유튜브 상에서 K-뷰티 한류 콘텐츠확산 전략 연구," GRI 연구논총, 제20권, 제3호, pp.231-259, 2018. 

  11. J. W. Dimmick, "Ecology, economics and gratification utilities," In A. Alexander, J. Owers, and R. Carveth(Eds.), Media economics: Theory and practi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pp.135-156, 1993. 

  12. 어흥선, 이종숙, "젊은 여성의 YouTube 기반 뷰티콘텐츠 이용 동기가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된 용이성,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미용학회지, 제15권, 제1호, pp.95-105, 2019. 

  13. 백아름, "패션잡지 Vogue 화보에 나타난 패션 이미지별 뷰티디자인 트렌드 분석," 미용예술경영연구, 제9권, 제1호, pp.91-100, 2015. 

  14. 박수진, 박길순,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외모의 변화 양상,"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05-114, 2008. 

  15. 황민선, "은행 webzine contents 및 interface 분석 연구," 디지털디자인연구, 제12권, 제1호, pp.225-238, 2012. 

  16. 신기선, 김주덕, "패션 매거진 표지를 통한 메이크업 트렌드 비교 분석 - 보그지를 중심으로 -,"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제9권, 제1호, pp.13-31, 2019. 

  17. 남긍희, 안진아, "뷰티 프로그램 특성이 시청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포럼, pp.279-297, 2014. 

  18. 이현선, "케이블 TV 뷰티 정보 프로그램의 PPL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태도 연구: 광고 공지 시기와 소비자 인지 여부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제17권, 제2호, pp.205-223, 2014. 

  19. 석보라, 김활빈, "유튜브 1인 미디어 뷰티 채널의 이용 동기가 채널 평가,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1권, 제4호, pp.168-198, 2019. 

  20. 정재민, 박종구, "경제뉴스의 경쟁 적소분석: 신문, 방송, 인터넷, SNS의 이용자 충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2호, pp.205-246, 2012. 

  21. J. W. Dimmick and E. Rothenbuhler, "The theory of the niche: Quantifying competition among media industr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4, No.1, pp.103-119, 1984. 

  22. 백지현, 이주연, 김효동, "적소이론을 이용한 관광정보 미디어간의 경쟁 분석," 제11권, 제8호, pp.448-458, 2011. 

  23. J. W. Dimmick, Medi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he theory of the niche, NJ: Lawranace Erlbaum Associates, 2003. 

  24. 정윤재, 진범섭, 김유경, "공익광고 매체효과 연구: 매체 간 수용자 충족 적소분석," 광고연구, 제101호, pp.155-185, 2014. 

  25.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nvitch,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26. 장병희, "신문, TV 뉴스, 인터넷 뉴스 간 이용자 충족적소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8권, 제2호, pp.93-132, 2010. 

  27. 송경희, "케이블 TV에 대한 틈새시장 분석 연구: 수용자 충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2권, 제3호, pp.100-136, 1998. 

  28. A. B. Albaraan and J. W. Dimmick, "An assessment of utility and competitive superiority in the video entertainment industries,"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6, No.2, pp.45-51, 1993. 

  29. 서경선, 조고미, "청소년의 뷰티관련 유튜브 이용동기, 자아존중감, 또래관계와의 연관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5권, 제4호, pp.271-282, 2019. 

  30. 문서영, 김연아, "뷰티 전공자의 유튜브 뷰티 콘텐츠이용동기, 만족도,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제9권, 제3호, pp.405-415, 2019. 

  31. 주정민, 양승준, 채종훈, 김건희, "개인방송의 진행자와 이용자 속성이 재미지각에 미치는 영향: 뷰티콘텐츠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제15권, 제2호, pp.51-91,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