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수학교사의 MKT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MKT development program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4 no.3, 2020년, pp.257 - 276  

옥보명 (단국대학교 대학원) ,  한혜숙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순열과 조합 영역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의 MKT 수준을 알아보고, 예비교사들의 MKT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MKT-DP)을 개발·실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MKT 사전 검사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순열과 조합 영역의 MKT 수준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CK와 KCT의 수준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 MKT 검사 분석 결과 KCT 범주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MKT-DP는 예비수학교사들의 KCT를 함양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가지 하위 범주(CCK, SCK, KCS)에 대해서는 사전,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어느 정도의 수준 상승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MKT 전반에 걸쳐서 MKT-DP의 긍정적 영향력을 기대해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KT level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area of permutations and combinations was investigated, and MKT-Development Program(MKT-DP) focused on improving the MK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사후 SCK 점수의 평균이 다른 범주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적용한 MKT-DP가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SCK 함양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SCK는 수학교사의 전문화된 내용지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SCK의 핵심 내용 중에서 학생 오류의 원인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수준을 측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SCK를 묻는 문항에 대한 답변에서 예비교사들이 자주 보인 반응 중 하나가 학생 오류의 원인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직관적으로 또는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예1.
  • 셋째, 본 연구의 MKT 측정 검사도구는 MKT 각 하위 범주의 핵심개념 중 일부 개념을 측정하는 과제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 MKT 수준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MKT의 각 하위 범주의 여러 가지 핵심개념의 측정이 가능한 다양한 검사 문항 개발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 예비교사의 MKT 수준에 대하여 한혜숙(2016)은 예비교사들의 KCT에 대한 지식이 피상적인 수준임을 강조하면서,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자주 범하는 오류에 대한 소개와 어떤 교수학적 처치가 필요한지에 대해 고민하고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SCK와 KCT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을 발달시킬 있는 구체적인 사례중심 또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도 제안하였다. 이에 순열과 조합에 대한 MKT-DP는 선행연구들(이지현, 2009; 전미현, 김구연, 2015 한혜숙, 2016)에서 제안한 MKT 함양에 대한 예비교사 교육의 개선점들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MKT-DP 3단계인 ‘KTC-함양’에서 순열과 조합 영역에서 자주 나타나는 학생 오류 및 오개념을 교정하거나 학생의 학습 어려움(MKT-DP 2단계 내용)을 해결하기 위한 교수법을 다각도에서 탐구하고, 그 결과를 포스터로 제작하여 발표를 통해 동료들과 논의하고 공유하는 활동을 하였다.
  • 비록 4가지 하위 범주 모두에서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나, KCT 범주에서만 사전,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 수행한 MKT-DP는 예비교사들의 KCT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은 순열과 조합의 각 개념-기본적인 세기, 순열, 조합에 대해 모둠별로 학생 오류/오개념 및 학습 어려움 사례를 조사하여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수학적 방법에 대해서 탐색하고, 그 결과를 동료들과 공유하고 논의하는 기회를 가졌다. 그러한 학습 경험이 순열과 조합 영역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KCT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추측된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순열과 조합 영역에 대한 MKT를 알아본 후, 순열과 조합 영역에 대한 MKT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여 그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예비수학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수학교사 지식을 다루는 또 다른 대표적인 연구로는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국제비교연구인 TEDS-M(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를 위한 지식의 깊이와 수준은 어떠한지, 이러한 지식이 교사 양성 프로그램 집단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Senk 외, 2012). 기존의 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연구들이 작고 특수한 표본을 사용하거나 편의 표본을 사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면, TEDS-M은 “전국적 확률 표집(national probability sample)에 기반을 두고”(Senk 외, 2012, p.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수학교사 29명을 대상으로 순열과 조합 영역에서 예비교사들의 MKT 수준을 알아보고, MKT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여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KT란 Ball, 1990; Ball, Hill, & Bass, 2005; Ball, Lubienski, & Mewborn, 2001; Copur-Gencturk & Lubienski, 2013; Ma, 1999; Stylianides & Ball, 2008). 수학교사 지식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로는 Ball과 그의 동료들이 수행한 연구를 들 수 있는데, 그들은 수학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지식을 MKT(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로 명명하며 MKT를 구성 하는 하위 요소를 규명하였고(Ball, Thames, & Phelps, 2008), MKT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예. Hill & Ball, 2004; Hill, Ball, & Schilling, 2008; Hill, Schilling, & Ball, 2004), 수학교사의 지식, 학생들의 성취, 수업의 질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예.
예비교사 교육과정은 무엇을 갖추는 시기인가? 예비교사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가르치는 것과 관련된 지식을 접하고, 가르치는 것이 향상될 수 있는 준비를 하며, 교육현장에서 요구 되는 지식을 제공받는다(조경원, 2004). 즉 예비교사 교육과정은 예비교사가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과 내용이나 수업 방법 등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갖추는 시기이다(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현, 2011). 그러나 국내에서 이루어진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대한 몇 몇 선행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의 MKT가 대체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윤현경, 권오남, 2011; 전미현, 김구연, 2015; 한혜숙, 2016).
세분화된 교사 지식의 범주는 무엇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 연구자들은 교사 지식의 범주를 보다 구체화하려고 시도하였는데, 대표적으로 Shulman(1987)이 교사 지식을 ‘일반 교육학적 지식’, ‘학습자에 관한 지식’, ‘교육 상황에 관한 지식’, ‘역사적 배경에 관한 지식’, ‘교과 내용지식’, ‘교육과정 지식’, ‘교수학적 내용 지식’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렇게 세분화된 지식 범주는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 함양을 위한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문적인 교사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준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각 교과교육 분야에서도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었는데, 수학교육 분야에서는 수학교사들이 가져야 할 지식의 범주를 규명하고, 교사 지식을 측정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예.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Kang, Y. R., Cho, C. S., & Kim, J. H. (2012).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for the word problems of fraction divis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3), 301-316. 

  2. Koh, H. J., & Choi-Koh, S. S. (2013).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in high school calculus lesson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6(1), 157-185. 

  3. Kim, K. S., Yoon, J. H., Park, J. A., & Noh, T. H. (2011).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sidered by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demonst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1), 99-114. 

  4. Kim, B. R. (2016). An analysis o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MKT in permutation and comb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5. Kim, S. R., Park, H. S., & Kim, W. S. (2007). Epistemological obstacles on learning the product rule and the sum rule of combinator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2), 193-205. 

  6. Kim, S. W., Lee, J. A, Jung, S. A, Cho, E. L., & Lee, S. W. (2012).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practical knowledge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3), 455-470. 

  7. Kim, Y. K., & Pang, J. S. (2012).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1), 27-51. 

  8. Kim, J. Y. (2019). An analysis on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and teachers' MKT in permutation and comb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9. Kim, H. G. (2012).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on number and operation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1), 71-84. 

  10. Mun, J., & Kim, G. (2015). Measuring and analysis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of function, School Mathematics, 17(3), 469-492. 

  11. Park, K. (2016).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2), 269-285. 

  12. Seo, S. J. (2009). A study on students' mathematical misconceptions and errors for permutation and comb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13. Yang, S. A., & Lee, S. J. (2019). Secondary teachers' advanced knowledge for teaching algebra, School Mathematics, 21(2), 419-439. 

  14. Yoon, H. K., & Kwon, O. N. (2011).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MKT about the concept of vector, School Mathematics, 13(4), 615-632. 

  15. Lee, K. A (2014). An analysis of errors in solving combination and permutation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6. Lee, M. H. (2014). An analysis of the TPACK cultivation process and model building of middle school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Lee, J. H. (2009). Studies on class activitie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0(1), 1-33. 

  18. Lee, J. H., Lee, J. Y., & Choi, Y. (2005). Analysis of variables and errors of the combinatorial problem, School Mathematics, 7(2), 123-137. 

  19. Lee, H. S. (2011).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on the number and operation and their teach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0. Lee, H. (2019). The eff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f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School Matehmatics, 21(1), 233-250. 

  21. Lim, H. J., & Lee, J. E. (2016).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tudents' perception on teachers' teach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duies, 23(6), 71-95. 

  22. Jang, K. H. (2017). An analysis on permutation and combin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on levels of cou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3. Jeon, M., & Kim, G. (2015). Measuring and analyzing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in Mathematics, 25(4), 691-715. 

  24. Cho, K. W. (2004). A critical examination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5(1), 1-19. 

  25. Cho, S. M., & Noh, S. S. (2007). Research on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4(2), 385-418. 

  26. Cho, H. I. (2015). Effects of teacher enthusiasm, academic optimism, and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8(4), 293-317. 

  27. Choi, M. J., Lee, J. H., & Kim, W. K. (2016). An analysis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f statistic estim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3), 317-334. 

  28. Han, H. (2016).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0(1), 101-120. 

  29. Hwang, J., & Shin, B. (2016). An analysis of teacher's knowledge about reduction ad absurdum,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1), 91-106. 

  30. Bair, S. L., & Rich, B. S. (2011). Characterizing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in algebraic reasoning and number theory.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3(4), 292-321. 

  31. Ball, D. L. (1990). The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at prospective teacters bring to teacher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449-466. 

  32. Ball, D. L., Hill, H. C., & Bass, H. (2005). Knowing mathematics for teaching: Who knows mathematics well enough to teach third grade, and how can we decide? American Educator, Fall, 14-22, 43-46. 

  33. Ball, D. L., Lubienski, S. T., & Mewborn, D. S. (2001). Research on teaching mathematics: The unsolved problem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In V. Richardson(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4th ed., pp. 433-456) New York: Macmillan. 

  34.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35. Butterfield, B., & Chinnappan, M. (2010). Walking the talk: Transl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to practice. In L. Sparrow, B. Kissane, & C. Hurst (Eds.), Shaping the future of mathematics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33rd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pp. 109-116). Fremantale, WA: MERGA. 

  36. Copur-Gencturk, Y., & Lubienski, S. T. (2013). Measuring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 longitudinal study using two measur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6(3), 211-236. 

  37. Hill, H. C., & Ball, D. L. (2004).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ing: Results from California's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institut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5), 330-351. 

  38.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4), 372-400. 

  39. Hill, H. C., Rowan, B., & Ball, D. L. (2005). Effects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2(2), 371-406. 

  40. Hill, H. C., Schilling, S. G., & Ball, D. L. (2004).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105(1), 11-30. 

  41. Jakobsen, A., Kazima, M., & Kasoka, D. N. (2018). Assessing prospective teachers' development of MKT through their teacher education: a Malawian case. In E. Noren, H. Palmer, & A. Cooke (Eds.), Nordic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Eighth Nordic Conference on Mathematics Education, pp. 219-227). Stockholm, Sweden: Swedish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2.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3. Melusova, J., & Sunderlik, J. (2014). Pre-sercive teachers' problem posing in Combinatorics. Paper presented at the 12th Mathematical Conferrence in Nitra held on 19 June 2014, Nitra. 

  44. Pettry, D. L. (2016).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in beginning algebra among secondary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Montana State University. 

  45. Pino-Fan, L., Godino, J. D., Font, V., & Castro, W. F. (2013). Prospective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on derivative. In B. Ubuz, C. Haser & M. Mariotti (Eds.), Proceedings of the Eighth Congress of European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3195-3205). Antalya, Turkey: CERME. 

  46. Proctor, J. (2019).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i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Walden University. 

  47. Senk, S. L., Tatto, M. T., Reckase, M., Rowley, G., Peck, R., & Bankov, K. (2012). Knowledge of future primary teachers for teaching mathematics: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ZDM Mathematics Education, 44(3), 307-324. 

  48.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49. Stylianides, A. J., & Ball, D. L. (2008).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knowledge about proof for engaging students in the activity of prov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4), 307-3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