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도로 공사장의 성토사면과 절토사면에서 외래식물의 도입
Introduction of Alien Plants on the Fill and Cut Slopes of the Road Constructio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6 no.4, 2019년, pp.191 - 199  

추연수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진승남 (수생태공간정보연구소) ,  손덕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박신영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조형진 (수생태공간정보연구소) ,  이효혜미 (국립생태원 환경영향평가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로 공사는 자연 생태계를 훼손하고, 떨어진 경관들을 긴 통로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외래식물의 침입 및 확산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는 도로 공사가 외래식물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사가 진행 중인 사업장에서 절토사면, 성토사면 및 평탄지의 지형특성에 따라 외래식물상 조사를 수행하였다. 지속적인 교란이 발생하는 사업으로써 일·이년생 외래식물에서 주로 증감이 발생하였다. 지형특성별 외래식물상 변화는 절토사면에서 감소하는 반면, 성토사면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탄지는 발생장소에 따라 증감 특성이 달랐다. 이러한 외래식물상 변화의 원인은 비의도적으로 유입된 외래식물에 의해 주도되었다. 특히 성토사면에서 비의도적으로 유입되는 외래식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성토사면이 생태계교란식물과 같은 위해성 높은 외래식물의 공급원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반면 의도적으로 도입된 식재종들은 파종 시부터 대량 살포하기 때문에 군집을 형성하기 쉬우며 비식재지인 평탄지까지 확산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로공사 중이나 공사 후 도로사면 식생이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되도록, 성토사면 조경계획에 지속성이 높은 고유종 식재를 환경영향평가 협의 시에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ad development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invasion and dispersion of ailen plants by damaging the natural ecosystems and connecting the detached landscapes into long tubular structures. In this study, vegetation surve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ut...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개발이 진행됨에 따른 외래식물상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1) 공사가 진행 중인 도로 사업에서 외래식물상 조사를 수행하고, (2) 공사 진행에 따른 외래식물의 종 조성 및 특성을 파악하여, (3) 도로 공사 시 적용할 수 있는 외래식물 관리 및 저감 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2018년 기준의 공사 시 9차년도 공정률은 80% 이상 진행되었다 (Table 3). 선정된 사업장은 1) 도로 개발을 위하여 절토지와 성토지가 40곳 이상 발생되어 분석이 용이하며, 2) 발생된 절· 성토지에 식생녹화가 이미 완료되어 식재에 의한 식물 군집 변화 분석이 가능하고, 3) 두 개의 사업장이지만, 서로 인접되어 경관 및 지역적 식생 특성이 유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된 도로가 생태계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또한 도로는 경관을 관통하는 선형 구조 개발 사업으로, 공사 시 확산을 저해하는 자연적 구조인 생태계의 보호장벽을 물리적으로 일시에 제거함으로써 외래생물에게 잘 정리된 분산 전용 통로를 제공하여 침입을 촉진한다 (Parendes and Jones 2000). 건설된 도로는 긴 관과 같은 구조로 작용하여 멀리 떨어진 이질적인 생태계를 연결함으로써 생물들의 새로운 이동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이 통로를 따라 유입 및 확산되는 종으로 인하여 각각의 독특한 생태계는 점차로 균질한 종조성을 가진 생태계로 변하게 된다 (Arévalo et al. 2010).
도로 공사로 나타날 수 있는 생태계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2003, Doody 2013). 또한 도로는 경관을 관통하는 선형 구조 개발 사업으로, 공사 시 확산을 저해하는 자연적 구조인 생태계의 보호장벽을 물리적으로 일시에 제거함으로써 외래생물에게 잘 정리된 분산 전용 통로를 제공하여 침입을 촉진한다 (Parendes and Jones 2000). 건설된 도로는 긴 관과 같은 구조로 작용하여 멀리 떨어진 이질적인 생태계를 연결함으로써 생물들의 새로운 이동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이 통로를 따라 유입 및 확산되는 종으로 인하여 각각의 독특한 생태계는 점차로 균질한 종조성을 가진 생태계로 변하게 된다 (Arévalo et al.
성토사면이란 무엇인가? 식생 조사는 도로사업 구간을 지형 특성에 따라 성토사면 (Fill slope), 절토사면 (Cut slope), 식생제거 평탄지 (이하 평탄지, Flat land)로 분류하여, 구분된 지형에서 각각 외래식물상 조사를 수행하였다. 성토사면이란, 기존의 지반위에 흙을 쌓아 만든 사면이며, 절토사면은 기존 지반을 깍아 만들어진 사면이다 (Fig.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ella, S.R. 2010. Disturbance and plant succession in the Mojave and Sonoran Deserts of the American Southwest.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7(4): 1248-1284. 

  2. Arevalo, J., Otto, R., Escudero, C., Fernandez-Lugo, S., Arteaga, M., Delgado, J. and Fernandez-Palacios, J. 2010. Do anthropogenic corridors homogenize plant communities at a local scale? A case studied in Tenerife (Canary Islands). Plant Ecology 209(1): 23-35. 

  3. Bochet, E., Garcia­Fayos, P. and Tormo, J. 2007. Road slope revegetation in semiarid Mediterranean environments. Part I: seed dispersal and spontaneous colonization. Restoration Ecology 15(1): 88-96. 

  4. Choi, J. 2002. Study on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to Select Environment-friendly Roadway.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in Korean) 

  5. Choi, J., Park, M.S., Kim, S.K., Yu, S.H., Choi, W.T., Song, W., Kim, W.M., Kim, S.Y. and Lee J.Y. 2018.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forest caused by develop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6): 604-617. (in Korean) 

  6. Christen, D.C. and Matlack, G.R. 2006. The role of roadsides in plant invasions: a demographic approach. Conservation Biology 20(2): 385-391. 

  7. Christen, D.C. and Matlack, G.R. 2009. The habitat and conduit functions of roads in the spread of three invasive plant species. Biological Invasions 11(2): 453-465. 

  8. Chu, Y., Kim, J.K. and Lee, H. 2017. Impact on introduction of the alien plants by road development projects.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3): 156-168. (in Korean) 

  9. Cowie, I.D. and Werner, P.A. 1993. Alien plant species invasive in Kakadu National Park, tropical northern Australia. Biological Conservation 63: 127-135. 

  10. Doody, J.P. 2013. Alien plant invasion. In Doody, J.P. (ed.), Sand Dun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Restoration.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pp. 177-199. 

  11. EIASS. 2019.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pport System. http://eiass.go.kr/. Accessed 01 November 2018. 

  12. Faucette, L.B., Risse, L.M., Jordan, C.F., Cabrera, M.L., Coleman, D.C. and West, L.T. 2006. Vegetation and soil quality effects from hydroseed and compost blankets used for erosion control in construction activitie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61(6): 355-362. 

  13. Forman, R.T.T., Sperling, D., Bissonette, J.A., Clevenger, A.P., Cutshal, C.D., Dale, V.H., Fahrig, L., France, R., Goldman, C.R., Haenue, K., Jones, J.A., Swanson, F.J., Turrentine, T. and Winter, T.C. 2003. Road Ecology: Science and Solutions. Island Press, Washington, DC, USA. 

  14. Howe, H.F. and Smallwood, J. 1982. Ecology of seed dispersal.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3: 201-228. 

  15. Joly, M., Bertrand, P., Gbangou, RY., White, M.C., Dube, J. and Lavoie, C. 2011. Paving the way for invasive species: road type and the spread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Environmental Management 48(3): 514-522. 

  16. Karim, M. and Mallik, A.U. 2008. Roadside revegetation by native plants: I. Roadside microhabitats, floristic zonation and species traits. Ecological Engineering 32(3): 222-237. 

  17. Kew Gardens. 2018. Seed Information Database-SID. http://data.kew.org/sid/. Accessed 01 November 2018. 

  18. KOSIS. 201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 Accessed 01 Septembert 2019. (in Korean) 

  19. Mader, H.J. 1984. Animal habitat isolation by roads and agricultural fields. Biological Conservation 29: 81-96. 

  20. MSS. 2019. MOLIT Statistic System. http://stat.molit.go.kr. Accessed 01 Septembert 2019. (in Korean) 

  21. Okimura, T., Koide, D. and Mori, A.S. 2016. Differential processes underlying the roadside distributions of native and alien plant assemblage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25(5): 995-1009. 

  22. Oksanen, J., Blanchet, F.G., Kindt, R., Legendre, P., Minchin, P.R., O'Hara, R.B., Simpson, G.L., Solymos, P., Stevens, M.H.H. and Wagner, H. 2019. Package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http://vegan.rforge.r-project.org. Accessed 01 September 2019. 

  23. Olander, L.P., Scatena, F.N. and Silver, W.L. 1998. Impacts of disturbance initiated by road construction in a subtropical cloud forest in the Luquillo Experimental Forest, Puerto Rico.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09: 33-49. 

  24. Parendes, L.A. and Jones, J.A. 2000.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 dispersal in exotic plant invasion along roads and streams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Oregon. Conservation Biology 14(1): 64-75. 

  25. R core Team. 2019.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Accessed 01 Septembert 2019. 

  26. Taylor, K., Brummer, T., Taper, M.L., Wing, A. and Rew, L.J. 2012. Human­mediated long­distance dispersal: an empirical evaluation of seed dispersal by vehicle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8(9): 942-951. 

  27. TRY. 2018. Plant Trait Database. http://try-db.org/TryWeb/Home.php. Accessed 01 November 2018. 

  28. Zeng, S.L., Zhang, T.T., Gao, Y., Ouyang, Z.T., Chen, J.K., Li, B. and Zhao, B. 2010. Effects of road disturbance on plant biodiversity.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66: 437-4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