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기자 잎 생산에 알맞은 품종, 예취시기 및 생리활성 평가
Variety, Cutting Dat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for Production of Leaves in Goji Berry (Lycium chinense Mill.)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5, 2020년, pp.436 - 445  

주정일 (충남농업기술원 구기자연구소) ,  백승우 (충남농업기술원 구기자연구소) ,  윤덕상 (충남농업기술원 구기자연구소) ,  박영춘 (충남농업기술원 구기자연구소) ,  이보희 (충남농업기술원 구기자연구소) ,  손승완 (충남농업기술원 구기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기자 잎을 이용한 특허제품 개발 및 기능성 식품소재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구기자 잎을 규격화 표준화하여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생산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구기자 육성품종 중에서 잎 생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 가공용 잎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예취시기를 확립코자 하였다. 구기자 11품종 중 잎 생산에 적합한 품종은 '명안'이었고, 다른 품종에 비하여 잎이 크고 분얼과 재생력이 왕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잎 건물수량도 높았다. '명안' 품종에서 구기자 잎 생산에 적합한 예취시기는 초장이 약 60 ~ 70 cm 자랐을 시기였고, 잎 수량은 5월 16일 수확 시 평균 106 kg/10a, 6월 20일 수확시 평균 287 kg/10a로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구기자의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을 1.43 ~ 2.63% 범위였고, 품종과 예취시기에 따라 함량이 다른데 생육이 진전될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구기자나무 잎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항고혈압성을 나타내는 ACE 저해활성이 평균 84.4 ~ 90.8%로 높은 편이었고, 나머지 생리기능성은 20% 이하로 낮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ji berry (Lycium chinense Mill.) is one of medicinal plants. Its leaves has been used to manufacture the functional foods by replacing the dried-fruit because of low production costs. In order to produce the leaves of uniform quality, continuous selec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cultivation tech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식품원료 또는 기능성식품 가공원료로서 규격화되고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진 구기자 잎을 생산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구기자나무의 가공용 잎의 전업적 생산에 적합한 우수품종 선발, 예취시기별 수량성 및 생리활성 등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기자나무는 어떤 작물인가?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는 낙엽성 넓은 잎의 떨기나무로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에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북한에서부터 제주도까지 전국적으로 자생하고 있고, 충남 청양군과 전남 진도군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구기엽에 있는 무기성분은 어떤 순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는가? 66 ~ 6.28% 함유되어 있고, 이외에도 무기성분으로 Ca > Mg > Fe > Mn > Cu > SiO2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 성분은 계통, 착생 위치 및 생육단계에 따라 변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No et al.
Jeong et al., 2006; Kim and Baek, 2014에서 보고한 바에 따르면, 구기자의 베타인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 2013). 또한 베타인은 면역기능 향상, 스태미나 향상, 피로회복, 혈당강하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eong et al., 2006; Kim and Baek,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T.H., S.Y. Lee and J.W. Cho. 2012. Comparison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chinese matrimony vine (Lycium chinense M.). Korean J. Crop Sci. 57:22-28. 

  2. Bae, H.C., I.S. Cho and M.S. Nam. 2004. Fermenta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se Miller. J. Anim. Sci. & Technol. 46:687-700.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1:1199. 

  4. Chang, Y.H., C.G. Park, D.H. Kim and K.B. Youn. 1993.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of leaf, stem and fruits in Lycium chinens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25-128. 

  5. Cho, I.S., H.C. Bae and M.S. Nam. 2003.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by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cii cortex.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250-261. 

  6. Cushman, D.W. and H.S. Cheung.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1637-1648. 

  7. Jang, T.W., J.S. Choi, H.K. Kim, E.J. Lee, M.W. Han, K.B. Lee, D.W. Kim and J.H. Park. 2018. Whitening activ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ccording to the ratio of prethanol A in the extracts. Korean J. Plant Res. 31:667-674. 

  8. Jeong, J.J., Y.T. Kim, W.S. Seo, H.J. Yang, Y.S. Lee and J.Y. Cha. 2006. Hypoglycem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etaine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Life Sci. 16:767-772. 

  9. Jung, E.J., J.S. Lee, S.H. Bok and M.S. Choi. 2011. Effects of extracts of persimmon leaf, buckwheat leaf, and chinese matrimony vine leaf on body fat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15-1226. 

  10. Kim, D.H., S.Y. Lee, N.K. Kim, B.K. Youn, D.S. Jung, E.Y. Choi, S.R. Hong, J.Y. Yoon, M.W. Kang and J.Y. Lee. 2011. Moderating effects of skin hyperpigmentation from Lycii fructus and Lycii folium extracts. J. Appl. Biol. Chem. 54: 270-278. 

  11. Kim, H.N., J.D. Kim, H.J. Son, G.H. Park, H.J. Eo and J.B. Jeong. 2019. Anti-cancer activity of the leave extracts of Rodgersia podophylla through ${\beta}$ -catenin proteasomal degradation in human cancer cells. Korean J. Plant Res. 32:442-447. 

  12. Kim, N.H. and S.H. Baek. 2014.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er fruit and constituent betaine on immunomodulation in Balb/c mice. Korean J. Environ Agric. 33:189-193. 

  13. Kim, T.S., W.J. Park and M.H. Kang. 2007.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vitamin C during storage of Lycii folium extracts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578-1582. 

  14. Kim, Y.H., J.I. Joo, B.C. Lee, H.H. Kim and J.S. Lee. 2013. Screen of a novel yeasts for brewing of gugija leaf Makgeolli and optimal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Kor. J. Mycol. 41:167-171. 

  1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14. The Korean Pharmacopeia. Shinilbooks, Seoul, Korea. pp. 1228-1229 (in Korean). 

  16. Lee, B.C., J.S. Park, T.S. Kwak and C.S. Moon. 1998. Variation of chemical properties in collected boxthorn varieties. Korean J. Breed. 30:267-272. 

  17. Lee, S.E., J.K. Bang, J. Song, N.S. Seong, H.W. Park, H.G. Chung, K.S. Kim and T.J. An. 2004.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sin converting enzyme (ACE) of Korean medicinal herb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73-78. 

  18. Lee, S.R. 1983. Studies on the quality of boxthorn in Korea (Lycium chinense Miller). Korean J. Crop Sci. 28:267-261. 

  19.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J. Eur. Biochem. 47:469-474. 

  2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9. 2018 Industrial Crop Production Statistic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ojong, Korea. p. 35 (in Korean).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5. Korean Food Standards Codex.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in Korean). 

  22. No, J.G., W.J. Park, G.S. Seo, J.S. Park, I.S. Cho and S.W. Paik. 1996.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Gugiseun (Lycium chinense MILLER) depending on variety and harvest time. Korean J. Plant Res. 9:211-217. 

  23. Noro, T., Y. Oda, T. Miyase, A. Ueno and S. Fukushima. 1983. Inhibitors of xanthine oxidase from the flowers and buds of Daphne genkwa. Chem. Pharm. Bull. 31:3984-3987. 

  24. Paik, S.W., J. Lee, T.S. Yun, Y.C. Park, B.H. Lee, S.W. Son and J.I. Ju. 2020.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cutting height on production of leaves for processing raw materials in goji berr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8:136-141. 

  25. Park, J.S. 2000.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new variety chungyang gugija (Lycium chinense Mill.).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Ph.D.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1-91 (in Korean). 

  26. Park, S.J., W.J. Park, B.C. Lee, S.D. Kim and M.H. Kang.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species Lycium chinense Miller extracts by harvest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146-1150. 

  27. Park, W.J. 1995.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ycium chinense Miller.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pp. 1-101 (in Korean). 

  28. Park, W.J, B.C. Lee, J.C. Lee, E.N. Lee, J.E. Song, D.H. Lee and J.S. Lee. 2007. Cardiovascular biofunctional activity and antioxide activity of Gugija (Lycium chinense Mill.) species and its hybrid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391-397. 

  29. Sung, C.K. and S.H. Cho. 1992. Studies on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yrosinase from Diospyros kaki thunb. Kor. Biochem. J. 25:79-87. 

  30. Wolff, S.D., P.H. Yancey, T.S. Stanton and R.S. Balaban. 1989. A simple HPLC method for quantitating major organic solutes of renal medulla. Am. J. Physiol. 256:954-956. 

  31. Xie, G.H., S.E. Choi, M.J. Mun, J.H. Jeong and K.H. Park. 2018. Ameliorative effects of combinative injection of Ginko biloba leaves extract and vitamin conischemia/ reperfusion liver damages model. Korean J. Plant Res. 31:268-273. 

  32. Zhao, B.T., S.Y. Jeong, K. Hwangbo, D.C. Moon, E.K. Seo, D. Lee, J.H. Lee, B.S. Min, E.S. Ma, J.K. Son and M.H. Woo. 2013. Quantitative analysis of betaine in Lycii fructus by HILIC-ELSD. Arch. Pharm. Res. 36:1231-1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