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軍)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 리더십 경험이 민간항공 CRM Skill 습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dership Experience on Civil Aviation CRM Skill Acquisition by New Commercial Airline Pilots Having Military Fighter Pilot Careers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8 no.3, 2020년, pp.27 - 40  

이장룡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운항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ight safety in modern commercial aircraft depends on the ability of pilots to manage overall flight operations. ICAO has made it mandatory for airlines to adhere to Crew Resource Management(CRM) policies to reduce operational safety threats. CRM is a set of techniques designed to effectively man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군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들이 임파워링 리더십 경험과 지시적 리더십 경험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리더십 경험이 민항 부기장 초도훈련시 CRM 5가지 스킬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모형은 Fig.
  • 따라서 본 연구는 군 전투기 비행 리더로 복무하고 전역 후 민항에 입사한 조종사들의 임파워링 리더십 경험과 지시적 리더십 경험이 민항에서 필요로 하는 5가지 CRM 스킬들을 효율적으로 습득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간 군에서 전투기 조종사로 복무하고 전역한 신입 민항 조종사들의 비행안전과 관련된 리더십 경험이 민항 CRM 역량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군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들이 임 파워링 리더십 경험과 지시적 리더십 경험 중 어떠한 경험 성향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리더십 경험이 민항 부기장 초도훈련시 CRM 5가지 스킬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각종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전투기 경력 민항 신입 조종사들의 비행 리더십 경험이 민간항공 CRM 스킬을 습득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1.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의사소통’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2.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승무원 협동’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3.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업무관리’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4.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상황인식’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1.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지시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의사소통’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2.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지시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승무원 협동’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3.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지시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업무관리’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4.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지시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상황인식’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5. 전투기 경력 신입 민항조종사의 지시적 리더십 경험은 민항기 CRM을 위한 ‘의사결정’ 스킬 습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둘째, 비행리더는 훌륭한 판단력을 소유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RMㅁ 민간항공 조종사들의 성공적 CRM 수행을 위해 중요한 것은? ICAO(2013)는 민간항공 조종사들의 성공적 CRM 수행을 위해서 의사소통, 승무원 협동, 업무관리, 상황인식, 의사결정 등 5가지 스킬 배양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민간항공분야와 다른 군 전투기 조종사의 업무는? 한편, 군 전투기 조종사들은 민간항공분야와는 다르게 2대 이상의 항공기로 편조를 구성하여 항공작전 목표를 달성해야 하고, 훈련규칙 및 비행절차 준수와 같은 행동들을 통해 안전성과를 이루어야 하며, 시간 제약 및 압박 하에서 각종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특별한 비행 임무들을 수행하고 있다(Kong et al., 2018).
2016년 ICAO에 의한 승무원자원관리 훈련의 특징은? CRM 훈련은 초도(initial)훈련과 보수(recurrent) 훈련으로 구분되고, 이 두 가지 훈련 모두 인간-기계의 상호작용과 인간들 사이의 관계 최적화에 중점을 두며, 팀 빌딩(team building)과 유지, 정보교환, 문제해결, 의사결정, 상황인식, 자동화 시스템의 취급 등의 문제를 다룬다(ICAO,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hin, H. G., and Lee, J. R., "Education and training measures for multi-crew pilot license (MPL) application in Korea for improving air navigation safety",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24(1), 2020, pp.37-46. 

  2. O'Hare, D., Wiggins, M., Batt, R., and Morrison, D., "Cognitive failure analysis for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Ergonomics, 37, 1994, pp.1855-1869. 

  3. Moon, B. S., and Kim, C. Y., "A study on the cultural trait of Korean pilots - Focused on the typology of preferring val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9(1), 2001, pp.15-30. 

  4. Wiegmann, D. A., and Shappell, S. A., "Human error and crew resource management failures in naval aviation mishaps: A review of U.S. Naval Safety Center data, 1990-96",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70, 1999, pp.1147-1151. 

  5. Lee, D. S., and Hawng, J. K., "The measurement of HEXACO personality factors of flight crews at a civil airline and the effect on their adaptive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7(3), 2019, pp.30-44. 

  6. ICAO, "Doc 9995, Manual of Evidence-based Training", Montreal, Canada: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3. 

  7. Kong, M., Park, J., Shin, Y., and Sohn, Y. W.,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directive leadership, safety communication, and safety behavior for Air Force combat pilo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afety mo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6(2), 2018, pp.8-30. 

  8. Jung, M. H., and Kim, D. J., "The effects of pilot support polici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family conflict of air force pilot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31(2), 2015, pp.159-194. 

  9. MOLIT, "Notification 2017-397, Flight Operations Standards for Fixed Wing Airplane", Sejo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17. 

  10. Wiegmann, D. A., and Shappell, S. A., "Human error perspectives in avi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viation Psychology, 11(4), 2000, pp.341-357. 

  11. Helmreich, R., and Foushee, H., "Why crew resource management? Empirical and theoretical bases of human factors training in aviation", In Wiener, E., Kanki, B., and Helmreich, R., (Eds.) Cockpit Resource Management, San Diego: Academic Press, 1993. 

  12. ICAO, "Doc 9683, Human Factors Training Manual", Montreal: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1998. 

  13. Kim, C. Y., Choi, Y. C., Gwon, B. H., and Choi, J. G., "Aviation Safety Management", Goyang: Korea Aerospace University Press, 2015. 

  14. Jensen, R. S., "Pilot Judgment and Crew Resource Management", Burlington, VT: Ashgate, 1995. 

  15. Kanki, G., Helmreich, R., and Anca J. "Crew Resource Management", San Diego: Academic Press, 2010. 

  16. Wickens, C, D., "Situation awareness and workload in Aviation",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27(4), 2002, pp.128-133. 

  17. Flin R., Martin L., Goeters K., Hormann H., Amalberti R., Valot C., and Nijhuis, H., "Development of the NOTECHS (nontechnical skills) system for assessing pilots' CRM skills", Human Factors and Aerospace Safety 3(2), 2003, pp.95-117. 

  18. Gregorich, S., and Wilhelm, J., "Crew resource management training assessed", In Wiener, E., Kanki, B., and Helmreich, R., (Eds.) Cockpit Resource Management, San Diego: Academic Press, 1993. 

  19. Salas, E., Burke, S., Bowers, C., and Wilson, K., "Team training in the skies. Does crew resource management (CRM) training work?", The Journal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ciety, 43(4), 2001, pp.641-674. 

  20. O'Connor, P., Flin, R., and Fletcher, G., "Methods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flightcrew CRM training in the UK aviation industry", Human Factors and Aerospace Safety, 2, 2002, pp.235-255. 

  21. ICAO, "Human Factors Digest no.1, Fundamental Human Factors Concepts", Montreal: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1989. 

  22. CAA, "Crew Resource Management (CRM) Training: Guidance for Flight Crew, CRM In-Structors (CRMIs) and CRM Instructor-Examiners (CRMIEs)", Gatwick, Sussex: Safety Regulation Group, Civil Aviation Authority, 2003. 

  23. ICAO, "Doc 9868, Human Factors Training Manual 2nd Edition", Montreal, Canada: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6. 

  24. MOLIT, "Notification 2017-397, Flight Operations Standards for Fixed Wing Airplane", Sejo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17. 

  25. A Airline, "Aircrew Training Protocol", Seoul: Korean Air, 2019. 

  26. B Airline, "Aircrew Training Protocol", Seoul: Asiana Airlines, 2019. 

  27. AFHQ, "AFHQ Guidance 6-7-4, CRM", Gyeryong: Korean Air Force Head Quarters, 2019. 

  28. AFOC, "Rules of Operations 3-102", Osan: Korean Air Force Operation Command, 2020. 

  29. AFETC, "2020 Military Education Plan", Jinju: Korean Air Force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2020. 

  30. Jung, W. I., "Theory of Public Organization", Seoul: Bakyoungsa, 2005. 

  31. Zhang, X., and Bartol, K. M.,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3(1), 2010, pp.107-128. 

  32. Tichy, N. M., and Devanna, 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ew York: Wiley, 1986. 

  33. French, J. R., Raven, B., and Cartwright, D., "The bases of social power", Classics of Organization Theory, 7, 1959, pp.311-320. 

  34. Sims Jr, H. P., Faraj, S., and Yun, S., "When should a leader be directive or empowering? How to develop your own situational theory of leadership", Business Horizons, 52(2), 2009, pp.149-158. 

  35. Hwang, B. G., "A study on the effect of Air Force command fighter pilot's machiavellianism and leadership styles on the subordinate's safety management attitude and satisfaction", Master's Degree, Seoul: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02. 

  36. Jung, Y. J., "A study on air force pilots' core competencies", Master's Degree, Seoul: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00. 

  37. Boff, K., Kaufman, L., and Thomas, J. P., "Handbook of Perception and Performance", Vol. 1. NY: Wiley, 1986. 

  38. A Airline, "CRM/TEM Initial Course Handbook", Seoul: Korean Air, 2018. 

  39. Lee, H. S., and Yim, J. H., "SPSS 24 Manual", Seoul: Jibhyunjae, 2017. 

  40. Strube, M. J., and Garcia, J. E.,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Fiedler's contingency model of leadership effectiveness", Psychological Bulletin, 90(2), 1981, pp.307-321. 

  41. Lee, J. R., "A study on discharged military pilots' acquiring civil aviation CRM skills and flight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020 On-line Conference, 2020, pp.16-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