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대표 곰팡이 100종과 한국명
One Hundred Representative Fungi in Korea and Their Korean Names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8 no.3, 2020년, pp.355 - 367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임영운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명동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김자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국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김창무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 ,  김창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  도윤수 (농촌진흥청 사업기획단) ,  백창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상현규 (전남대학교 농식품생명공학부) ,  신우창 (국순당 기업부설연구소) ,  이승열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정다운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유전자원실) ,  정희영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최영준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  최인영 (전북대학교 농생물학과) ,  한재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홍승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초록

국민들이 곰팡이에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곰팡이 100종을 선발하고 이들에 대한 한국명을 제시하였다. 이 과제는 한국균학회의 균학용어심의위원회의 주관으로 수행되었다. 1) 위원회는 먼저 한국 대표곰팡이 100종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정하였고 이에 따라 후보 곰팡이를 선발하였다. 2) 한국명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위하여 곰팡이 한국명 작명 원칙을 제정하고 이에 따라 한국명의 후보명을 제시하였다. 3) 후보명을 인터넷에 게시하여 한국균학회원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또한 식물병원균은 한국식물병리학회의, 버섯은 한국버섯학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곰팡이 한국명을 결정하였다. 한국명이 부여된 한국의 대표곰팡이 100종은 일반곰팡이(효모포함)가 41종, 식물병원균이 28종, 버섯이 31종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hundred representative species of fungi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ir Korean names were proposed to increase interest in fungi among Korean people. This task was perform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Committee of Mycological Terms, under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First, the committee 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민들이 곰팡이에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곰팡이 100종을 선발하고 이들에 대한 한국명을 제시하였다. 이 과제는 한국균학회의 균학용어심의위원회의 주관으로 수행되었다.
  • 생물 이름의 특성상 정해진 이름을 자주 바꾸는 것은 사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과제를 통하여 제시된 한국명은 우선 공표하되 1년여 기간의 시범 사용을 통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수정 과정을 거친 후에 2022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한국균학회는 국민들이 곰팡이에 대하여 더 친숙해지고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도록 다양한 곰팡이의 한국말 이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에는 4,093종의 곰팡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7], 이들 모두에 대한 우리나라 이름을 제시할 수는 없고 우선 국민에게 영향력이 큰 대표적인 곰팡이 100종을 선발하고 이들에 대하여 한국명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한국균학회는 국민들이 곰팡이에 대하여 더 친숙해지고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도록 다양한 곰팡이의 한국말 이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에는 4,093종의 곰팡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7], 이들 모두에 대한 우리나라 이름을 제시할 수는 없고 우선 국민에게 영향력이 큰 대표적인 곰팡이 100종을 선발하고 이들에 대하여 한국명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Willis KJ. State of the world's Fungi 2018 report. London: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8. 

  2. Hawksworth DL, Lucking R. Fungal diversity revisited: 2.2 to 3.8 million species. Microbiol Spectrum 2007;5:FUNK-0052-2016. 

  3. Wang B, Qiu YL. Phylogenetic distribution and evolution of mycorrhizas in land plants. Mycorrhiza 2006;15:299-363. 

  4. Kim SS, Kim BG, Kim YS, Kim JH, Park YH, Lee ER, Lee JS, Lee JY, Park YH, Jeong HS, et al. Korean name for mushroom species. Kor J Mycol 1978;6:43-55. 

  5. Lee YS, Lim YW, Kim JJ, Youn HY, Kim CM, Park JY.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Basidiomycota'. Incheon: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5. 

  6.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Seoul: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7. Yu JS, Yeom JH, Kim TW, Kim JS, Hyeon CW, Kim CM, Kim JH, Lee YY.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Plants, Fungi, Algae, Prokaryotes'.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8. Samson RA, Visagie CM, Houbraken J, Hong SB, Hubka V, Klaassen CHW, Perrone G, Seifert KA, Susca A, Tanney JB, et al. Phylogeny, ident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the genus Aspergillus. Stud Mycol 2014;78:141-73. 

  9. Zheng R, Wei J, Hu H, Yu Y, Wu P, Xing G, Liu B, XIA J. A glossary of terms and names of cryptogamia. Beijing: Science Publishing Co.; 1990. 

  10. Ken K. List of fungi recorded in Japan. Tsukuba: The Kanto Branch of the Mycological Society of Japan: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