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otential Disaster Damage and Perceptible Stress Influencing Evacuation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3 = no.49, 2020년, pp.594 - 601  

지영일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문유미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연령, 지역별 재난피해가능성불안 간의 대응일치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취약계층피해 가능성불안과 재난시스템 붕괴피해가능성불안이 밀접한 위치에서 지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에 재난시스템붕괴, 피난생활, 자연재해 등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대피행동에 스트레스와 자연재해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자연재해피해가능성불안과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스트레스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최근 들어 강우량을 통한 재해에서 경험하였듯이 재해의 피해가능성불안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예방차원의 계획과 심리적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nxiety about disaster damage potential in Gyonggi-do and evacuation behavior that influences evacuation behavior.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i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nx...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 지역을 중심으로 재난피해가능성불안수준, 지각된 스트레스, 대피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가설설정은 다음과 같다.
  • 셋째, 재난피해가능성불안,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대피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 재난피해가능성불안의 하위요인으로 안전취약계층 피해가능성, 재난시스템붕괴피해가능성, 인적재난피해가능성, 일상생활피해가능성, 자연재해피해가능성 등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 중에서 중요한 대응기준을 도출해냄으로써 연령별 위험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응일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 재난피해가능성불안의 하위요인으로 안전취약계층피해가능성, 재난시스템붕괴피해가능성, 인적재난피해가능성, 일상생활피해가능성, 자연재해피해가능성 등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 중에서 중요한 대응기준을 도출해냄으로써 지역별 위험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경기도 용인, 성남, 수원, 기타(안양, 이천) 등과 재난피해가능성불안 하위 5요인 차원간 대응하는 위치의 상호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차원1 X축, 차원2 Y축의 좌표를 의미하며, 나타난 차원1(68.
  • , 2017). 이에 본 연구는 재난피해가능성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피난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재난피해가능성불안수준 변인 간 차이를 분석하고,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재난 시 대처능력 향상원인에 대한 모색에 기여하고자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경기도 용인 지역을 중심으로 재난피해가능성불안, 지각된 스트레스, 대피행동 등을 파악하여 지역안전대응 모색과 재난대응 등 활동의 데이터화에 기여가 가능하다.
  • 선행연구에서는 피해의 결정요인과 재난 이후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연구가 잘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재난피해가능성불안척도를 활용하여 재난피해가능성불안수준과 요인을 통해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피행동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재난피해가능성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해는 크게 무엇으로 분류하고 있는가? 재해는 크게 자연재해와 인적재난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19의 창궐( 2020.01)은 생명의 위협, 정치, 경제, 일상생활장애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재난피해가능성불안의 하위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대응일치분석은 조사대상자가 연령별 재난피해가능성불안 이미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예를 들어 40대 조사대상자들이 재난안전 불안에 대한 요소들이 무엇인지 가시화가 가능하다. 재난피해가능성불안의 하위요인으로 안전취약계층 피해가능성, 재난시스템붕괴피해가능성, 인적재난피해가능성, 일상생활피해가능성, 자연재해피해가능성 등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 중에서 중요한 대응기준을 도출해냄으로써 연령별 위험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자연재해로 인한 재산 피해액 중 특히 높게 나온 년도와 피해액은 얼마인가? 자연재해로 인한 재산피해액에 대해 e-나라지표 데이터에 의하면 1960년대 1조 2493억원, 1970년대 2조 1019억원, 1980년대 5조 6440억원, 1990년대 8조 3123억원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00년대 들어 20조원을 넘어서면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2006년과 2012년 피해액은 각각 2조 3178억 원과 1조 601억원으로 유독 높았다.[e- 나라지표, 2019] 이러한 재해는 재산피해와 국민의 불안 및 두려움과 스트레스의 발생으로 정신적 문제도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mount of natural disaster damage, (www.index.go.kr) 

  2. Baek, C.-H. (2018). Tunnel's Disaster and Safety Value Safety Costs and Human Risk Factors. pp. 104-117. 

  3. Cho, M.-S. (2019).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Disaster Victims: Analysis of Third Disaster Victims Panner Data. pp. 217-225. 

  4. Disaster and Trauma Information, (www.index.go.kr) 

  5. Hwang S.-G, Lee, Y.-J., Lee, H.-J. (2017). Development of Youth Stress Management Programs through Selfesteem Improvement. Korea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Institute, pp. 16-20. 

  6. Kim, D.-H. (2005). Stress After Natural Disaster. pp. 153-157. 

  7. Kim H.-J. (2005). How to Deal with Stress in Industrial Accident Patients.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p1-55. 

  8. Kim, S.D. (2019). "A proposal of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5, No. 4, pp. 502-513. 

  9. Koo, Y.-J. (2017). The Effects of Mother's Responses on Child's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Child's Negative Sincerity and Negative Emotions. 

  10. Lee, M.-Y. (2015). Disaster Determinants and Economic Impact. pp. 1-197. 

  11. Moon, Y.-M., Han, K.-B. (2017). "A study on the measures of disaster and safety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vulnerabl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afety and Management, Vol. 19, No. 2, pp.15-29. 

  12. Park J.-H., Seo, Y.-S. (2010).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Korean Tectonic Stress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pp. 611-629. 

  13. Park S.-H. (2018). "Reformation of Disaster Relief System to Strengthen the Resiliency of Disaster Victims." pp.1-68. 

  14. Shin, K.-S. (2020)."The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on the disaster management job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2, pp. 353-36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