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성원의 그릿(GRIT)과 잡 크래프팅, 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대학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s of GRIT,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Medical Center Employe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0, 2020년, pp.259 - 267  

현미숙 (동국대학교의료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릿잡 크래프팅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의 조직효과성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하고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개 대학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의사, 간호사, 행정직원, 기술보건직원 등 450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그릿이 높을수록 잡 크래프팅 활동이 더 활발하였으며(β=.751, p<.001), 잡 크래프팅은 조직몰입(β=.297, p=.005)과 직무만족(β=.353, p<.001)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병원종사자의 그릿은 조직효과성 지표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이 그릿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병원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 방안 설정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a structural model that predict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GRIT and job crafting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medical center employees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50 subject...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경영의 효율적인 조직관리를 통해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하고자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출발하였다. 그동안 그릿에 대한 연구대상은 학생부터 군인, 일반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병원의 인적 시스템 내 다양한 직군에서 개인 특성의 그릿이 잡 크래프팅의 선행 변인인지 파악하고, 그릿과 잡 크래프팅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의 조직효과성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 그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 결과 선행요인인 그릿이 조직효과성의 종속변수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해, 추가적으로 조직효과성 변수에 잡 크래프팅의 매개 효과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기 위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은 변수 간 집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보기 쉽게 도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16].
  • 구조방정식 모델은 변수 간 집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보기 쉽게 도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16]. 본 연구에서는 외생변수인 그릿이 잡 크래프팅을 매개로 최종 종속변수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 방법(Bootstrapping)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의사, 간호사, 행정직원, 기술보건직원 등의 의료종사자의 그릿이 잡 크래프팅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중간 변인인 잡 크래프팅의 역할과 각 변인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병원종사자의 조직몰입을 높이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즉, 개인의 내재적인 특성에 해당하는 그릿이 구성원으로 하여금 업무, 인 및 관계의 영역을 확장하는 잡 크래프팅을 촉진하고 더 나아가 잡 크래프팅 활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의료기관들이 경영의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 병원 조직은 직접 의료행위를 하는 의사, 간호사 외에 의료지원, 행정직 등의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구성원 개개인이 각자의 위치에서 환자를 치료하고자 하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맡은 바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1]. 최근 의료기관은 진료서비스 분야의 질적인 향상은 물론 행정 절차 및 서비스 개선, 설명 잘 해주는 병원, 친절한 병원 등을 우선으로 병원 경영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2]. 또한 의료기관인증평가와 각종 의료 질 평가 등 외부 평가에 대한 경쟁이 높아져 병원종사자들의 업무 강도는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1].
그릿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 수준의 내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그릿은 일관된 흥미가 지속되는 노력으로 이뤄지는 개념으로 수립된 장기목표를 유지하려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성향은 조직의 최상위 목표를 향해 자신의 직무 영역을 확장하는 개인의 잡 크래프팅을 유발하는 동기가 되며, 이는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조직효과성으로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효과성은 조직의 성공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조직이 적합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10].
병원 조직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병원 조직은 직접 의료행위를 하는 의사, 간호사 외에 의료지원, 행정직 등의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구성원 개개인이 각자의 위치에서 환자를 치료하고자 하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맡은 바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1]. 최근 의료기관은 진료서비스 분야의 질적인 향상은 물론 행정 절차 및 서비스 개선, 설명 잘 해주는 병원, 친절한 병원 등을 우선으로 병원 경영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U. S. Son. (2012). The effect of hospital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nflict.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2. W. Lee. (2006). Hospital human resource management improvement direction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35(2), 73-83. 

  3.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 D. R. Kelly.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DOI : 10.1037/0022-3514.92.6.1087 

  4. K. M. Sheldon & A. J. Elliot. (1998). Not all personal goals are personal: Comparing autonomous and controlled reasons for goals as predictors of effort and attain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5), 546-557. DOI : 10.1177/0146167298245010 

  5. S. M. Kwon. (2009) Positive Psychology. Seoul : Hakjisa Publishing Co. 

  6. M. K. Lim, Y. J. Ha, D. J. Oh & Y. W. Sohn. (2014).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Job Crafting Questionnaire (JCQ-K). Korean Corporatiom Management Review, 21(4). 181-206. UCI : G704-002085.2014.21.4.010 

  7. J. M. Berg, J. E. Dutton & A. Wrzesniewski. (2013).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Purpose and Meaning in the Workplace, 81-104. DOI : 10.1037/14183-005 

  8. A. Wrzesniewski & J. E. Dutton. (2001).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2), 179-201. DOI : 10.5465/amr.2001.4378011 

  9. G. R. Slemp & D. A. Vella-Brodrick. (2013).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3(2), 126-146. DOI : 10.5502/ijw.v3i2.1 

  10. B. J. Hodge, W. P. Anthony & L. M. Gales. (1996). Organization Theory: A Strategic Approach, 5th Edition. Hoboken NJ : Pearson. 

  11. J. Min. (2003). A Review of Conceptualizations and Re-conceptualization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7(2), 83-104. UCI : G704-000298.2003.37.2.019 

  12. N. J. Allen & J. P. Meyer.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13. S. W. Chae & S. H. Bae. (2004).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multidimensional approach. Korean Association of Industrial Business Administration, 1-35. 

  14. D. J. Weiss, R. V. England, W. George & L. H. Lofquist. (1967).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in Minnesota Stud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XXII. Industrial Relations Center,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innesota, U.S.A. 

  15. I. J. Park. (2005). A Validation study of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MSQ).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16. J. P. Yu.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 and understanding. Seoul : Hannarae Publishing Co. 160-176. 

  17. A. L. Duckworth, P. D. Quinn & M. E. Seligman. (2009). Positive predictors of teacher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4(6), 540-547. DOI: 10.1080/17439760903157232 

  18. M. O. Suh. (2019).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7(1), 105-130. DOI : 10.30916/KERA.57.1.105 

  19. H. Jung, S. B. Jang & J. K. Tak. (2018).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Emo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Job Crafting.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21(1), 31-51. DOI : 10.24991/KJHRD.2018.3.21.1.31 

  20. M. K. Lim. (2013. 3. 7). Job crafting, A change that makes things fun.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79, 1-10. 

  21. O. J. Choi. (2014). The Effect of Workers' Job Crafting on Job Attitude. Doctoral dissertation. Korea Aerospace University, Goyang. 

  22. J. C. Cheng, C. Y. Chen, H. Y. Teng & C. H. Yen. (2016). Tour leaders' job crafting and job outcomes: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ourism Management Perspectives, 20, 19-29. DOI : 10.1016/j.tmp.2016.06.001 

  23. A. J. Hong, M. H. Won, G. M. Park, J. H. Lee & Y. S. Jo. (2017). Effects of GRI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a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Learning,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1(5), 33-58. DOI : 10.34274/krabe.2017.31.5.002 

  24. S. Y. Kang & H. J. Moon. (2020).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Grit Cluster Typ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21, 41-67. DOI : 10.37918/kce.2020.03.121.41 

  25. J. E. Kim, S. R. Lee & S. J. Yang. (2018).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Grit: Examining Multidimensional Clustering of Grit,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4(2), 131-151. DOI : 10.20406/kjcs.2018.5.24.2.131 

  26. M. J. Kim & J. H. Kim. (2020). The Effect of HRM Syste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23(1), 99-129. DOI : 10.20406/kjcs.2018.5.24.2.131 

  27. M. S. Hyun. (2020).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Occupational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Job Crafting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3), 192-204. DOI : 10.11111/jkana.2020.26.3.192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