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lue LED (Light emitting diode) 조사에 의한 배추김치와 백김치 발효액의 품질 특성 및 분리 균주의 생육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broths and growth of the isolated strains due to blue light emitting diode irradi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5, 2020년, pp.538 - 545  

오영지 (서울대학교 식품바이오융합연구소) ,  홍정일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응용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배추김치(RK)와 백김치(WK) 시료를 이용하여 72시간의 저장 기간 동안, Blue-LED 조사 효과를 확인하였다. BLED 처리에 의해 RK에서의 유산균 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곰팡이 및 효모의 생육도에서는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의 경우, BLED 처리 시 대부분 명도가 조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BLED 조사에 의해 색의 변화가 일정기간 지연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BLED 처리에 의해 WK는 저장기간 동안 pH 감소가 유의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ABTS법에 의해 측정된 산화방지 활성에서는 두 종류의 김치시료액 모두 BLED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p<0.05). 두 김치에서 우점종으로 분리된 W. cibaria RK1와 W. cibaria WK1 유산균은 BLED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모두 생육이 저해되었고, 표준 균주인 Leu. mesenteroides는 BLED 조사에 의한 생육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까지 BLED 조사를 이용한 유해 균주 억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반면, 현 연구에서는 BLED조사에 의한 김치 발효상의 특성 변화와 발효미생물들의 생육도를 확인함으로써 발효 식품의 숙성 시기에 따라 적절한 LED 광원을 이용한 발효 미생물들의 생육 조절과 식품의 기능적 향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mchi is a widely consumed traditional Korean food, and its probiotic properties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broths obtained from two types of Chinese cabbage kimchi (red with red pepper and white without red pepper) were ass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김치의 위생성 향상 및 발효과정 조절 등의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신기술 및 처리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LED 중 특히 BLED 처리가 각 측면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LED 처리에 의한 김치발효와 발효균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냉장온도(4℃)하에 BLED 광원을 김치 국물에 조사하여 미생물의 생육 특성의 변화와 색도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고, 분리 동정된 우점 유산균과 표준 균주에 대해 BLED조사에 의한 생육 특성을 확인하였다.
  • 향후 김치 발효계의 성분들과 BLED의 상호작용, 생육 시기에 따른 BLED 조사 효과와 조사 광도에 따른 생육 조절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유산균 속에 대한 BLED의 상이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김치 발효과정 중 변화되는 다양한 유산균 군집에 대해 생육도 조절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저렴한 가격의 경제적 효율성을 가진 LED광원에 의해 잡균 억제 효과 이외에도 품질 향상과 발효미생물의 생육도 조절을 통해 식품 산업뿐만 아니라 의약학, 화장품 산업 전반에서 가공, 생산 라인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서는 BLED 조사에 의해 김치 발효 과정 중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김치발효액 내 단일 균주에 대한 BLED 효과를 추가적으로 보기 위해 우점 균주를 선택, 동정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BLED가 조사된 김치 발효액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달리, BLED는 분리된 단일 균주인 W.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LED 처리에 의해 RK에서의 유산균 증식은 어떻게 되었는가? 본 연구에서는 배추김치(RK)와 백김치(WK) 시료를 이용하여 72시간의 저장 기간 동안, Blue-LED 조사 효과를 확인하였다. BLED 처리에 의해 RK에서의 유산균 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곰팡이 및 효모의 생육도에서는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김치의 품질 제고를 위한 연구를 2가지 측면으로 나타낸다면? 김치의 품질 제고를 위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되어왔다. 하나는 제조 과정 중의 위생성 향상 측면으로, 김치 내 천연 추출물 또는 보존제 첨가(Chang과 Chang, 2011; Kang 등, 2019; Kim 등, 2008), 미생물 제어를 위한 물리적 처리(Choi 등, 2019; Kim 등, 2006; Shin과 Shin, 2006; Yu 등, 2011), 포장재를 이용한 미생물 제어(Jaisan 등, 2018; Jeong과 Yoo, 2016; Park 등, 2011)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발효과정에서 스타터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과정 조절과 저장성 향상에 대한 연구이다. 스타터 미생물로 유산균(Chang 등, 2011; Lee 등, 2015; Moon 등, 2018), 효모(Kandasamy 등, 2018; Kim 등, 1997; Kim 등, 1999)등을 이용한 연구가 존재한다. 현 연구에서 사용된 Blue LED (BLED)는 주로 병원성 미생물 저해를 위한 광역학 치료법(Ogonowska 등, 2019; Sabino 등, 2019)으로 연구되어왔다.
소규모업체를 위한 배추김치의 해썹관리기에서 제시되는 것은? 소분화, 소포장 되는 다양한 김치 제품의 수요에 발맞춰 제조 공정에서부터 소비자 공급까지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과 위생과 저장 기술에 대한 중요성은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 ‘소규모업체를 위한 배추김치의 해썹관리기준’(Korea Agency of HACCP Accreditation, 2010)에 의하면 배추의 세척 공정과 속재료로 사용하는 기타농산물에 대한 세척 공정, 금속검출공정이 중요관리점(CCP; critical control point)으로 제시되고 있다. 김치의 제조과정 중 세척, 절임, 부재료(양념)와의 혼합을 통해 일부 미생물들과 유해물질이 제어되기도 하지만, 원/부재료에 잔존하는 미생물 군집과 다양한 발효 조건에 의해 전체적인 맛과 기호성뿐만 아니라 위생과 외관까지 좌우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havya ML, Hebbar HU. Efficacy of blue LED in microbial inactivation: Effect of photosensitization and process parameters. Int. J. Food Microbiol. 290: 296-304 (2019) 

  2. Changenet-Barret P, Espagne A, Plaza P, Hellingwerf KJ, Martin MM. Investigations of the primary events in a bacterial photoreceptor for photomotility: photoactive yellow protein (PYP). New J. Chem. 29(4): 527-534 (2005) 

  3. Chang HW, Kim KH, Nam YD, Roh SW, Kim MS, Jeon CO, Oh HM, Bae JW. Analysis of yeast and archaeal population dynamics in kimchi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26(1-2): 159-166 (2008) 

  4. Chang JY, Chang HC. Growth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s by kimchi prepared with bacteriocin-producing starter culture. J. Food Sci.76(1): M72-M78 (2011) 

  5. Chang JY, Kim IC, Chang HC. Effect of solar sal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8(2): 256-265 (2011) 

  6. Choi EJ, Park HW, Lee JG, Chun HH. Microbial inactivation modeling and salting characteristics of shredded kimchi cabbages (Brassica pekinensis L.) treated with radio frequency heating. Korean J. Food Preserv. 26(1): 8-16 (2019) 

  7. Dai T, Gupta A, Murray CK, Vrahas MS, Tegos GP, Hamblin MR. Blue light for infectious diseases: Propionibacterium acnes, Helicobacter pylori, and beyond?. Drug Resist. Update. 15(4): 223-236 (2012) 

  8. Food Industries Statistical Information. 2015. The market trend of abroad food industries-soft drink market.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3325. Accessed Aug. 06, 2020. 

  9. Fusco V, Quero GM, Cho GS, Kabisch J, Meske D, Neve H, Bockelmann W, Franz CM. The genus Weissella: taxonomy, ecology and biotechnological potential. Front. Microbiol. 6: 155 (2015) 

  10. Ghate VS, Ng KS, Zhou W, Yang H, Khoo GH, Yoon WB, Yuk HG. Antibacterial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s of visible wavelengths on selected foodborne pathogens at different illumination temperatures. Int. J. Food Microbiol. 166(3): 399-406 (2013) 

  11. Gong D, Cao S, Sheng T, Shao J, Song C, Wo F, Chen W, Yang, Z. Effect of blue light on ethylene biosynthesis, signalling and fruit ripening in postharvest peaches. Sci. Hortic. 197: 657-664 (2015) 

  12. Guffey JS, Wilborn J. In vitro bactericidal effects of 405-nm and 470-nm blue light. Photomed. Laser Surg. 24(6): 684-688 (2006) 

  13. Jaisan C, An DS, Lee DS. Application of physical gas absorbers in manipulating the $CO_2$ pressure of kimchi package. J. Food Sci. 83(12): 3002-3008 (2018) 

  14. Jeong SH, Jung JY, Lee SH, Jin HM, Jeon CO. Microbial succession and metabolite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dongchimi, traditional Korean watery kimchi. Int. J. Food Microbiol. 164(1): 46-53 (2013) 

  15. Jeong S, Yoo S. Kimchi packaging technology: An overview. Korean J. Pack. Sci. Technol. 22(3): 41-47 (2016) 

  16. Jeong SY, Velmurugan P, Lim JM, Oh BT, Jeong DY. Photobiological (LED light)-mediated fermentation of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fruit with probiotic bacteria to yield bioactive compounds. LWT - Food Sci. Technol. 93: 158-166 (2018) 

  17. Jung JY, Lee SH, Jeon CO. Kimchi microflora: history,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for industrial kimchi produc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98: 2385-2393 (2014) 

  18. Kandasamy S, Kavitake D, Shetty PH.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as starter cultures for fermented foods and their role in commercialization of fermented foods. pp. 25-52. In: Innovations in Technologies for Fermented Food and Beverage Industries. Food Microbiology and Food Safety. Panda S, Shetty P (eds). Springer, Cham, Switzerland (2018) 

  19. Kang M, Park J, Yoo S. Effect of clove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kimchi paste. Food Sci. Nutr. 7: 537-546 (2019) 

  20. Kim HJ, Kang SM, Yang CB. Effects of yeast addition as starter on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90-799 (1997) 

  21. Kim M, Chun J.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as revealed by 16S rRNA gene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103: 91-96 (2005) 

  22. Kim MJ, Bang WS, Yuk HG. $405{\pm}5nm$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causes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Salmonella spp. on fresh-cut papaya without deterioration. Food Microbiol. 62: 124-132 (2017a) 

  23. Kim MJ, Park JG, Kim JH, Park JN, Lee HJ, Kim WG, Lee JW, Byun MW. Combined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shelf-stability and quality of packaged kimchi during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 13: 531-537 (2006) 

  24. Kim MJ, Tang CH, Bang WS, Yuk HG. Antibacterial effect of $405{\pm}5nm$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on the surface of fresh-cut mango and its influence on fruit quality. Int. J. Food Microbiol., 244: 82-89 (2017b) 

  25. Kim YC, Jung EY, Kim HJ, Jung DH, Hong SG, Kwon TJ, Kang SM. Improvement of kimchi fermentation by using acid-tolerant muta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aromatic yeast Saccharomyces fermentati as starters. J. Microbiol. Biotechnol. 9: 22-31 (1999) 

  26. Kim YS, Kim YS, Kim SY, Whang JH, Suh HJ. Application of omija (Schiandra chinensis) and plum (Prunus mume) extracts for the improvement of kimchi quality. Food control, 19: 662-669 (2008) 

  27.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Process food segment market report.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3325&page&searchKey&searchString&searchCategory. Accessed Aug. 10, 2020 

  28. Korea Agency of HACCP Accreditation and Services. Available from: https://www.haccp.or.kr/site/haccp/boardView.do?post59855&boardSeq119&key166. Accessed Aug. 10, 2020 

  29. Kort R, Hoff WD, Van West M, Kroon AR, Hoffer SM, Vlieg KH, Hellingwerf KJ. The xanthopsins: a new family of eubacterial bluelight photoreceptors. EMBO J. 15: 3209-3218 (1996) 

  30. Lee ME, Jang JY, Lee JH, Park HW, Choi HJ, Kim TW. Starter cultures for kimchi fermentation. J. Microbiol. Biotechnol. 25: 559-568 (2015) 

  31. Lee NY, Lee MJ, Kim YK, Park JC, Park HK, Choi JS, Hyun JN, Kim KJ, Park KH, Ko JK, Kim JG.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radiation on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leaf.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 685-690 (2010) 

  32. Liang JY, Yuann JMP, Cheng CW, Jian HL, Lin CC, Chen LY. Blue light induced free radicals from riboflavin on E. coli DNA damage. J. Photoch. Photobio. B. 119: 60-64 (2013) 

  33. Liu H, Chen Y, Hu T, Zhang S, Zhang Y, Zhao T, Yu H, Kang Y. The influence of light-emitting diodes on the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pea sprouts. J. Funct. Food. 25: 459-465 (2016) 

  34. Maclean M, MacGregor SJ, Anderson JG, Woolsey G. Inactivation of bacterial pathogens following exposure to light from a 405-nanometer light-emitting diode array. Appl. Environ. Microbiol. 75: 1932-1937 (2009) 

  35. Ma G, Zhang L, Kato M, Yamawaki K, Kiriiwa Y, Yahata M, Matsumoto H. Effect of blue and red LED light irradiation on $\beta$ -cryptoxanthin accumulation in the flavedo of citrus fruits. J. Agric. Food Chem. 60: 197-201 (2012) 

  36. Manivannan A, Soundararajan P, Halimah N, Ho Ko CH, Jeong BR. Blue LED light enhances growth, phytochemical content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Rehmannia glutinosa cultured in vitro. Hortic. Environ. Biotechnol. 56: 105-113 (2015) 

  37. Moon SH, Chang M, Kim HY, Chang HC. Pichia kudriavzevii is the major yeast involved in film-formation, off-odor production, and texture-softening in over-ripened Kimchi. Food Sci. Biotechnol. 23: 489-497 (2014) 

  38. Moon SH, Kim CR, Chang HC.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as a starter culture to control kimchi fermentation. LWT-Food Sci. Technol. 88: 181-188 (2018) 

  39. Ogonowska P, Wozniak A, Pieranski MK, Wasylew T, Kwiek P, Brasel M, Grinholc M, Nakonieczna J. Appl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ght-emitting diodes for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bacteria. Light. Res. Technol. 51: 612-624 (2019) 

  40. Park HY, Ahn JA, Seo HJ, Choi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all package Kimchi according to packing material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Cook. Sci. 27: 63-73 (2011) 

  41. Penha CB, Bonin E, da Silva AF, Hioka N, Zanqueta EB, Nakamura TU, Mikcha JMG.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foodborne and food spoilage bacteria by curcumin. LWT-Food Sci. Tech. 76: 198-202 (2017) 

  4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43. Sabino CP, Wainwright M, Dos Anjos C, Sellera FP, Baptista MS, Lincopan N, Ribeiro MS. Inactivation kinetics and lethal dose analysis of antimicrobial blue light and photodynamic therapy. Photodiagn. Photodyn. 28: 186-191 (2019) 

  44. Shin JK, Shin HH. Sterilization and storage of liquid kimchi sauce by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Food Eng. Prog. 10: 262-268 (2006) 

  45. Srimagal A, Ramesh T, Sahu JK.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treatment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in milk. LWT-Food Sci. Technol. 71: 378-385 (2016) 

  46. Stoeckenius W, Bogomolni RA. Bacteriorhodopsin and related pigments of halobacteria. Annu. Rev. Biochem. 51: 587-616 (1982) 

  47. Swartz TE, Tseng TS, Frederickson MA, Paris G, Comerci DJ, Rajashekara G, Kim JG, Mudgett MB, Splitter GA, Ugalde RA, Goldbaum FA, Briggs WR, Bogomolni RA. Blue-light-activated histidine kinases: two-component sensors in bacteria. Science, 317: 1090-1093 (2007) 

  48. Xu F, Shi L, Chen W, Cao S, Su X, Yang Z. Effect of blue light treatment on fruit quality, antioxidant enzymes and radical-scavenging activity in strawberry fruit. Sci. Hortic. 175: 181-186 (2014) 

  49. Yu DJ, Shin YJ, Kim HJ, Song HJ, Lee JH, Jang SA, Song KB. Microbial inactivation in kimchi saline water using microwave plasma sterilization sy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23-12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