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팀프로세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구성원의 정서상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am Proc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Mediating Effects of Members' Affect Stat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146 - 156  

윤주용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학습학과) ,  정기수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학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팀프로세스와 정서상태유형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임직원 241명으로부터 유효한 설문을 받았으며, 수집된 설문은 회귀분석을 통해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팀프로세스 요인인 전환과정, 실행과정, 대인과정이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프로세스 요인인 전환과정은 구성원의 정서상태유형 중 긍정활성과 긍정비활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대인과정은 긍정활성, 긍정비활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부정비활성과 부정활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팀프로세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상태유형인 긍정활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 내 인적자원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팀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팀프로세스의 구축과 관리에 대해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eam process and affect state on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is end, a valid questionnaire was received from 241 employees working at a company,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 analyzed the relationship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변수들을 이론적으로 개념화하고 팀프로세스의 선행연구에서 다뤘던 대인관계요인 중심 구조에서 실제 업무를 조직화하고 실행하는 활동에 대한 요인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팀프로세스에 대한 구조적인 기반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구성원들의 정서상태와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 국내 선행연구[14][15]에서는 이러한 팀프로세스의 복합적이고 체계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프로세스의 구조적 기반 확립을 통해 조직몰입에 대한 실천적 대응 전략을 탐색하기 위해서 팀프로세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매개변인에 대한 종합적 연구 프레임 설정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다음과 같은 측면을 고려하였다. 첫째, 팀프로세스의 개념 및 구조적 기반에 대한 확립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결과론적인 관점에서 팀프로세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본 연구는 기업체에서 팀프로세스와 정서상태유형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임직원 241명으로부터 유효한 설문을 받았으며 통계적 자료 처리는 SPSS 21.
  • 본 연구에서는 일반 기업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구성원이 지각하는 팀프로세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정서상태의 매개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실증적인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이 설정하였다.
  •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조직몰입의 3가지 차원은 구성원들과 조직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구성원들이 조직에 남을지 떠날지를 파악할 수 있는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3가지 차원 중 조직에 대한 정서적인 친밀감 및 조직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하는 정서적 몰입을 중심으로 조직몰입을 개념화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약3주간 국내 일반기업체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한 인원은 252명이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분석에 활용할 수 없었던 11명을 제외한 241명의 자료가 최종 연구결과의 도출에 활용되었다.
  • 부정비활성화는 피곤한(tired), 음울한(gloomy), 불행한(unhappy)으로, 부정활성화는 언짢은(upset), 초조한(jittery), 과한(hyperactivated)의 형용사로 구분하여 표현 하였다. 이상으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서상태는 크게 긍정과 부정으로 분류를 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서상태의 보다 상세한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세부 구성요소를 4개의 요인으로 정서상태를 개념화하고자 한다.
  • 이상으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팀프로세스의 구성요소는 연구자마다 다소 상이하나, 본 연구에서 팀프로세스의 세부 구성요소는 3개의 요인으로 팀프로세스를 개념화하고 매개효과 파악 시에는 세부 구성요소의 구분 없이 팀프로세스 하나의 요인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팀프로세스의 전환과정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 효과성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형은 무엇을 들 수 있는가? 팀 효과성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형은 McGrath의 투입(input)-과정(process)-산출(output)의 체제 모형프로세스를 들 수 있다[8]. 팀 체제 모형 중에서 과정단계인 팀프로세스는 팀의 목표, 과제, 상황, 환경과 관련하여 팀 행동에 의거한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단계이며[9], 팀의 목표 달성을 위해 인지적, 행동적 사고를 통한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단계이다[10].
조직이란? 조직이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 간에 상호작용 하는 인간들의 협동집단이며[1], 특정한 목표를 추구하고자 의도적으로 구성하고 다시 재구성되는 사회적 단위이다[2]. 조직 내 중요 단위로서 팀이 그 우월성을 드러내기 시작한 시기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부터이다[3].
조직 내 중요 단위로서 팀이 그 우월성을 드러내기 시작한 시기가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부터인 이유는 무엇인가? 조직 내 중요 단위로서 팀이 그 우월성을 드러내기 시작한 시기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부터이다[3]. 이는 급격한 환경변화와 심화된 경쟁 속에서 성장과 혁신을 위해 많은 조직들이 경영관리 방법의 하나로 팀을 기본 단위로 도입하여 유지 및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4]. 과제가 더욱 도전적이고 복잡해지고, 그리고 중요할수록 개인이라면 실패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구성이 잘 된 팀은 그 과제를 성공할 가능성이 더 크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 Weber, The theory of economic and social organization. Trans. AM Henderson and Talcott Pars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47. 

  2. A. Etzioni, P. Marcus, R. K. Merton, A. Reiss, J. Q. Wilson, and H. White, Organizations. Prentice-Hall Publishing Co., Englewood Cliffs, NJ, 1964. 

  3. E. Sundstrom, M. McIntyre, T. Halfhill, and H. Richards, "Work groups: From the Hawthorne studies to work teams of the 1990s and beyond,"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4, No.1, p.44, 2000. 

  4. P. S. Widmer, M. C. Schippers, and M. A. West, "Recent developments in reflexivity research: A review," Psychology of Everyday Activity, Vol.2, No.2, pp.2-11, 2009. 

  5. E. Salas, N. J. Cooke, and M. A. Rosen, "On teams, teamwork, and team performance: Discoveries and developments," Human factors, Vol.50, No.3, pp.540-547, 2008. 

  6. M. A. Campion and A. C. Higgs, "Design work team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satisfaction," Hr Magazine, Vol.40, No.10, pp.101-104, 1995. 

  7. E. D. Sundstrom, Supporting work team effectiveness: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fostering high performance, Jossey-Bass Publishers, 1999. 

  8. G. E. Prussia and A. J. Kinicki, "A motivational investigation of group effectiveness using social-cognitive theor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2, p.187, 1996 

  9. J. E. McGrath, Groups: Interaction and performance (Vol.14),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4 

  10. M. A. Marks, J. E. Mathieu, and S. J. Zaccaro, "A temporally based framework and taxonomy of team process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3, pp.356-376, 2001. 

  11. J. Mathieu, M. T. Maynard, T. Rapp, and L. Gilson, "Team effectiveness 1997-2007: A review of recent advancements and a glimpse into the future," Journal of management, Vol.34, No.3, pp.410-476, 2008. 

  12. W. S. Silver and K. M. Bufanio, "The impact of group efficacy and group goals on group task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Vol.27, No.3, pp.347-359, 1996. 

  13. J. A. LePine, R. F. Piccolo, C. L. Jackson, J. E. Mathieu, and J. R. Saul, "A meta­analysis of teamwork processes: tests of a multidimensional model and relationships with team effectiveness criteria," Personnel psychology, Vol.61, No.2, pp.273-307, 2008. 

  14. 김진희, 정재삼,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 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제2호, pp.372-390, 2015. 

  15. 오인수, 급진적 창의성, 점진적 창의성에 관한 다수준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6. D. R. Forsyth, Group dynamics, Cengage Learning, 2018. 

  17. H. W. Weiss and R. Cropanzano, Affective events theory: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struc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ffective experiences at work, 1996. 

  18. S. Lyubomirsky, L. King, and E. Diener,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1, No.6, p.803, 2005. 

  19. J. Yang and J. M. Diefendorff, "The relations of daily counterproductive workplace behavior with emotions, situational antecedents, and personality moderators: A diary study in Hong Kong," Personnel Psychology, Vol.62, No.2, pp.259-295, 2009. 

  20. R. A. Guzzo and G. P. Shea, Group performance and intergroup relations in organizations, 1992. 

  21. R. Saavedra and S. K. Kwun, "Affective states in job characteristics theor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Vol.21, No.2, pp.131-146, 2000. 

  22. B. E. Ashforth, and R. H. Humphrey, "Emotion in the workplace: A reappraisal," Human relations, Vol.48, No.2, pp.97-125, 1995. 

  23. H. M. Weiss and R. Cropanzano, Affective events theory: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struc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ffective experiences at work, 1996. 

  24. D. Watson, D. Wiese, J. Vaidya, and A. Tellegen, "The two general activation systems of affect: Structural findings, evolutionary considerations, and psychobiological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6, No.5, p.820, 1999. 

  25. M. Yik, J. A. Russell, and J. H. Steiger, "A 12-point circumplex structure of core affect," Emotion, Vol.11, No.4, p.705, 2011. 

  26. J. P. Meyer and N. J. Allen,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Sage, 1997. 

  27. J. A. Wagner III, "Studi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Effects on cooperation in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1, pp.152-173, 1995. 

  28. C. Hulin, Adaptation, persistence, and commitment in organizations,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1. 

  29. J. P. Meyer and N. J. Allen,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 No.1, pp.61-89, 1991. 

  30. J. E. Mathieu, M. M. Luciano, L. D'Innocenzo, E. A. Klock, and J. A. LePine,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ity of a team processes survey measur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23, No.3, pp.399-431, 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