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역사문화도시의 공공조형물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장소성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Placeness in Public Sculptures of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216 - 232  

이지엔화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윤지영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왕단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국 역사문화도시의 현대 공공조형물의 표현 특성을 분석, 공공조형물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역사 문화 요소에 개입하여, 장소성을 표출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함으로서 공공조형물이 지닌 장소적 의미와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고찰로 역사 문화 도시의 개념, 장소성의 개념 등을 이해하여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공조형물의 표현특성을 분석하며 10명의 조형 및 디자인 전문가로부터 특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장소성과 관련이 가장 많은 8개 요소를 선정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상해, 북경, 광주의 공공조형물 중 발행량이 가장 많은 7개 잡지에서 60개 사례를 선정하여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최종 15개 공공조형물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역사 문화 요소의 발굴이나 도시 현대 인문 정취를 표현함에 있어서 세 도시의 공공 조형물 모두 각기 다른 장소성을 구현하였다. 독자적인 선진 기술이 가져온 예술적 독창성과 대중과의 상호작용을 결합하여 도시만의 독특한 역사 인문적 요소를 활용하여 다른 지역과 다른 장소를 만들어내는 것이 공공 조형물의 발전 추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ublic sculptures in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and explore how public sculptures can effectively intervene in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to show their placenes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

주제어

표/그림 (1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경관에 있어서 공공조형물에 대해 역할을 연구하는 것은 무엇에 도움 되는가? 도시경관에 있어서 공공조형물에 대해 역할을 연구하는 것은 도시의 과거, 현재, 미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도시의 독특한 심미적 정취와 지역의 특색 및 풍습의 이해증진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도시의 공공조형물은 도시 환경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한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우리들의 생활공간을 더욱 이상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고 도시의 감성과 문화적 함의를 보다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시각화 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작가가 광주의 깊은 인문 배경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였기에 단순히 강한 시각 충격을 주는 예술작품으로 인문환경과 완벽한 융합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의 조형물 예로 무엇이 있는가? 첫째, 3개 도시의 공공조형물의 표현 특성을 환경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 작용성, 기술성, 경제성, 지속가능성 등 8개의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환경성 측면에서, 세 도시의 부분 공공조형물은 자연환경과 인문환경과 융합을 이룰 수 있었지만 조형물은 작가가 광주의 깊은 인문배경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였기에 단순히 강한 시각충격을 주는 예술작품으로 인문환경과 완벽한 융합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외국의 당대 예술가 구사마 야요이의 ‘광주의 꽃’이다. 상징성 측면에서, 공간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단순하고 추상적인 조형물들은 랜드마크를 형성할 수 있었지만, 북경 왕푸징거리에 위치한 화수은화의 공간적 특성이 불분명하여 상징성이 강하지 않았다.
문화예술, 사회과학, 도시계획 등의 분야에서 공공조형물에 대해 어떻게 논의하는가? 공공조형물은 문화예술, 사회과학,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공공조형물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 모뉴먼츠와 메모리얼 등의 공간예술로서 인식해온 반면, 사회과학에서는 정치적 이념 및 장소성의 맥락에서 다루어왔다. 도시계획 분야의 논의는 공공조형물의 문화·경제적 가치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이슬기, 시공간 영역의 공공미술 연구- 현대 공공미술의 장르 다각화와 행정체제의 변화 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 2014. 

  2. 강산, 중국 현대 공공조형물의 전개와 조망, 원광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 2019. 

  3. 류선정, 안동만, 대구광역시 공공조형물에 대한 평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7, 2013. 

  4. 김란경, 공공조형물에 대한 방문동기가관광지 소성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종로구.중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2020. 

  5. Malcolm Miles, 박삼철, 미술, 공간, 도시: 공공미술과 도시의 미래, 단행본(다권본), 서울: 학고재, p.2, 2000. 

  6.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혼합연구방법을 통한 인사동과 대학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 2013. 

  7. 심현섭, 상호소통과 공동체적 방법론에 의한 공공미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p.6, 2016. 

  8. ??玉, ??史文化名城的公共????, 景德?陶瓷大?, ?士?文, p.6, 2008. 

  9. 류유희, '장소정체성'을 위한 공공캐릭터의 가치 연구-새로운 장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7, 2020. 

  10. 이석환, 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2권, 제5호, p.175, 1997. 

  11.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혼합연구방법을 통한 인사동과 대학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 2013. 

  12. 강산, 중국 현대 공공조형물의 전개와 조망,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3. 武定宇, 演??建?: 1949年以?的中?公共???展?程?究, 中????究院, 博士?文, 2017. 

  14. 양석, 공공미술을 통한 도시 활성화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5. ??山, 上海外?城市公共雕塑的演??究, 上海大?, 博士?文, 2019. 

  16. 이슬기, 시공간 영역의 공공미술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7. 류유희, 장소정체성을 위한 공공캐릭터의 가치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8. 송천, Placemaking을 위한 공공미술-프로젝트의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9. 胡哲, China Urban Public Art Planning Working Framwork and Planning Content, ?中科技大?, 博士?文, 2012. 

  20. ?雅?, ?志, 中共北京市委主管主?, 2018年 第03期, 2018. 

  21. ?士新, 走向公共空?的??, 北京九州出版社, p.28, 2017. 

  22. 郭公民, 介入公共?域的?美交流, 上海城市公共??, 上海社?科?出版社, p.20, 2017. 

  23. 왕스타, 진수명, 왕융핑, 광주시 사회과학연합회 이론 보급 도서 편찬 프로젝트, p.38,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